KCI등재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역량수준 예측요인 분석: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저자
김수경(Kim, Su-Kyoung) ; 김영선(Kim, Young-Sun) ; 신혜리(Shin, Hye-Ri) 연구자관계분석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43(23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역량수준은 다른 취약계층(결혼 이민자, 저소득, 장애인 등)에 비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정보역량수준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디지털정보역량수준과 관련된 변인들을 검증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인, 신체 및 정신건강 변인이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역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 중 55세에서 84세에 해당하는 1,65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성과 여성 중고령자 모두 교육수준과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디지털정보역량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 중고령자의 경우 일상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여성 중고령자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디지털정보역량수준이 높게 나타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남·여성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역량수준과 관련된 특성들을 이해하고,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역량수준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as been increasing at a faster pace than other groups such as the handicapped and adolescents. However, studies related to the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of middle and older adults are scarce. In order to examine variables affecting capability to digital information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this study researches the impacts of sociodemographic, physical and mental health variables on the capability of digital information. We analyzed data of 1,656 people between the age of 55 and 84 from 2018 survey on the digital information gap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higher education and the economic levels are, the higher the digital capability levels of both male and female are. The resul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middle and older adults to learn and understand digital information levels in consideration of their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when developing information education programs and to encourage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The result of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the aged male has a higher capability as Daily Life Satisfaction is higher, and meanwhile, the aged female has a higher digital capability as her age is higher, which describes that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eveloping and operating an integrated program centered on acti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which middle and older male adul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order to enhance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of male middle and high-aged people even within middle and high-aged people. Also, the older the age, the middle and older female adults have a higher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compared to the past when they were not able to use the digital information device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ossession and use rate of smart devices by middle and old people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oncept of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or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which is a concept of more application than the concept of access, such as digital information access level.
Lastly,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various predictors could not be examin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analysis data. Given that a number of studies have reported that changes in retirement and aging are likely to affect depression, anxiety, and self-efficacy, it is necessary to verify whether they affect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of middle-aged and elder people, including those that can measur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elf-efficacy in terms of mental health.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8-1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정보와 사회 -> 정보사회와 미디어외국어명 : Korea Journal of Information Society -> Information Society & Media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9 | 0.93 | 1.391 | 0.1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