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2022년도 형사법분야 대법원 주요판례와 평석 = Analysis of the Major Criminal Law and Criminal Procedure Cases in 2022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9-192(5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In a case where statutory sentences were eased by a general law revision among the precedents established by the Supreme Court in 2022, invoking temporal application at the time of decision without asking what derives such revision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 1 Paragraphs 2 and 3 of the Criminal Act confirms the obvious principle of trial by law. Offender who is not in a position of specific legal status cannot be the principal offender in obstructing another from exercising one’s right which is status crime. Therefore, a simple logic that the person who instigate another to commit a crime from behind cannot be punished as an abettor in accordance with dependency on the principal offender in accomplice liability, should be modified by considering the criteria in the defendant’s disvalue of the act. Following precedents are pursuing the trend of recent precedents of Supreme Court; the precedent in which it shows that prerequisite of housebreaking cannot be fulfilled even if an offender trespassing the house for the purpose of a crime, unless de facto tranquility of residents is disturbed, and another precedent in which it does not constitute embezzlement when transferor of credits who transferred the bond to a third party, received and used the reimbursement without notifying the debtor.
If the Suspension of statute of limitations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surpasses certain period of time without final judgment after the indictment, it would be inevitable under literary interpretation not to apply a statute of limitations which is deemed to be completed. In a precedent in which procedural defect where defendant’s right to cross-examination is not actually protected on account of absence of witnesses, cannot be resolved and also in another precedent in which the Supreme Court corrected the error of lower court judge who changed imposed sentence into three times heavier one just because of the defendant’s disturbance after the sentencing orders, we can get a sense of reasoning process of the Supreme Court. The majority opinion of en banc decision, admitting that the direct appeal from the defendant has the effect as an appeal, when prosecutor appeals while defendant makes direct appeal about the verdict of the first trial, is obviously persuasive compared to adverse opinion.
2022년 대법원판례 가운데, 일반적인 법개정으로 법정형이 완화된 경우에 그 개정 동기가 무엇인지 묻지 않고 형법 제1조 제2항에 따라 재판시법을 적용하게 한 것은 법률에 따른 재판이라는 지극히 당연한 원리를 확인한 것이다. 비신분자는 신분범인 권리행사방해죄의 정범이 될 수 없기에 공범종속성에 따라 배후에서 그 행위를 시킨 신분자도 교사범으로 처벌할 수 없다는 단순한 논리는 해당 피고인의 행위불법을 평가대상으로 하여 수정되어야 한다. 거주자의 사실상 평온을 해치지 않은 이상 행위자가 범죄의 목적으로 주거에 들어섰다고 하더라도 주거침입죄가 성립하지는 않는다는 판례와, 채권을 제3자에게 양도한 채권양도인이 채무자에게 그 사실을 통보하지 아니하고 변제금을 받아 사용한 경우 횡령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판례는 최근 대법원의 입장을 그대로 이어가고 있다. 형사소송법상 시효정지가 공소제기 후 판결 확정 없이 일정기간을 경과할 경우 공소시효완성으로 간주하는 시효에 적용하지 않는 것은 문리해석에 따를 때 불가피하다. 증인이 출석하지 않아 피고인의 반대신문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되지 않은 절차상의 하자가 치유될 수 없다고 본 판례와, 하급심 재판장이 선고주문을 낭독한 이후 피고인이 난동을 부렸다고 해서 이미 선고한 형의 3배에 해당하는 선고형으로 변경한 잘못을 시정한 판례에서 대법원의 합리적인 논증방식을 읽을 수 있다. 제1심 판결에 대해 피고인이 비약상고를, 검사는 항소를 한 경우에 피고인의 비약상고에 항소로서의 효력이 인정된다는 전원합의체 다수의견은 반대의견에 비할 때 뚜렷한 설득력이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