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스포츠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방안 = A Study on the Using of Sports Big Dat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5-102(1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concept and role of sports has expanded, and industries in related fields have diversified. The sports industry paradigm is changing as a result of the fusion and compounding of new technologies and sports that emerged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le the need for sports big data in the sports industry has been recognized and its role has been emphasized, an analysis of the issues that are preventing the active use of big data in sports It will be an important essence for activation. The sports construction industry, sports manufacturing industry, and sports service industry are already using sports big data to build smart stadiums and provide customized sports equipment and services to consumers. In order to utilize sports big data,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onceptual arrangement of sports big data and a legal basis for utilizing it from the viewpoint of the sports industry. A sports big data center must be established and operated based on these concepts and legal grounds. By granting the status of a public research institution to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Sports Big Data Center,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threat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in a pan-governmental manner and to use safe data, and to comply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By applying the exceptions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pecified in the above, it will be possible to generate custom information required by the sports industry by collecting and analyzing more data. The Sports Big Data Center will first provide sports-related data that the country has through the sports big data open system, and provide quality information to various consumers who want to use sports big data such as the public and sports-related businesses. Must be able to do. Secondly, comprehensiv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data market can be activated by operating a big data exchange for sports to form a market for data to be traded between consumers and suppliers. A support system must be built. Finally, by training professionals related to the sports big data specialist training system and supporting systems that can make use of them, sports big data in the sports industry are actively utilized. I have to do so.
더보기정보통신기술과 IoT 등의 발전이 제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가운데 다양한 산업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관련 산업의 부흥을 주도하고 있다. 스포츠산업에서도 스포츠 관련 분야에서 발생하는 복잡・다양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유의미한 데이터로 재가공하여 관련 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활용하고 있다. 고부가가치 및 신성장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는 스포츠 관련 시장에서 국가 경쟁력과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스포츠 빅데이터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특성을 이해하여 스포츠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때라 할 수 있다. 이에 스포츠 건설업, 스포츠 제조업, 스포츠 서비스업에서 스포츠 빅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데이터의 활용과 보호, 관련 법령의 부재 및 전문인력 부족과 같은 스포츠 빅데이터 활용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스포츠산업에서 스포츠 빅데이터의 활용을 위하여 「스포츠산업진흥법」 에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스포츠 빅데이터 센터의 설립 및 운영 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6-1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스포츠와 법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9-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스포츠법학회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 Entertainment Law | KCI후보 |
2007-09-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orts and Law ->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78 | 0.741 | 0.2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