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춘향』의 창작방식과 판소리 = The Creative Method of Chunhyang and Pansori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67-192(2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Chunhyang is a Chinese novel created by Chinese Joseon writer Kim In-soon. This is a re-creation of Korea's Chunhyangjeon. Chunhyang is divided into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mong which the story of Hyangbuin (Lady Hyang; Chunhyang’s mother) is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and the story of Chunhyang is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The writer describes in the upper part the process of a woman who was the daughter of a pharmacist becoming an ‘Hyangbuin’, the fact that the Hyangbuin symbolizes Namwon, and the fact that men outside Namwon hear the fame of Hyangbuin and flock to Namwon. For this reason, the focus of figure formation is focused on Hyangbuin. What is noticeable is that Pansori is used as a way to focus on the Hyangbuin. Hyangbuin’s reputation and presence are secured by people outside Namwon who recognize her and express interest in her. The reason why people outside Namwon became aware of the presence of Hyangbuin was because the story of Hyangbuin was made with Pansori ‘Hyangbuinga’ and reading ‘Hyangbuinjeon.’ The main contents of the lower part are the meeting and separation and reunion of Chunhyang and Lee Mong-ryong, Byun Hak-do requests marriage to Chunhyang, and the contents of the Hyangbuin’s refusal to accept it, and Byun Hak-do and Hyangbuin, who drank alcohol with poison, go crazy, and Chunhyang is the owner of Hyangsa. And so on. From the character and conflict structure,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part is closely related to the Korean Chunhyangjeon. In the lower part, there is a scene where a Pansori singer sings ‘Chunhyangga’, and a writer produces and spreads ‘Chunhyangjeon’ of various pieces. However,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contents of ‘Chunhyangga’ and ‘Chunhyangjeon’ in the work are almost identical to those of Korean Chunhyangjeon. The writer used the world of the Korean Chunhyangjeon to reveal the intention of Hyangbuin. However, Chunhyang refused to think of Hyangbuin. The composition of the writer was mad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ursuing a free and individual life for each person. Chunhyang is a reinterpretation of Pansori literature Chunhyangje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an interesting work in that it uses Pansori.
더보기『춘향』은 중국 조선족 작가 김인순이 창작한 중국어 소설로서, 한국의 『춘향전』을 재창조한 작품이다. 『춘향』은 상편과 하편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그중 상편은 향부인(춘향 모) 이야기가 중심이고 하편은 춘향 이야기가 중심이다. 작가는 상편에서 약사 딸이었던 여인이 ‘향부인’이 된 과정, 향부인이 남원을 상징하는 인물이라는 사실, 남원 밖의 남성들이 향부인의 명성을 듣고 남원으로 몰려드는 내용 등을 춘향의 시선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물 형상화의 초점은 향부인에게 맞춰져 있다. 주목되는 것은 향부인을 초점화하는 방식으로써 판소리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향부인의 명성과 존재감은 남원 밖 사람들이 그를 인정하고 그에게 관심을 표함으로써 확보되고 있는데, 남원 밖 사람들이 향부인의 존재를 인지하게 된 것은, 한국의 춘향 이야기가 <춘향가>와 <춘향전>으로 확산된 것처럼, 향부인 이야기가 판소리 <향부인가>와 독서물 <향부인전>으로 만들어져 전파되었기 때문이다. 『춘향』에는 실제로 판소리꾼이 등장하여 <향부인가>를 전승하고 서생들이 <향부인전>을 만들어 전파하는 내용이 그려져 있다.
하편의 주된 내용은 춘향과 이몽룡의 만남과 이별과 재회, 변학도가 춘향에게 혼인을 요청하고 향부인이 그에 거절하는 내용, 독약이 든 술을 먹은 변학도와 향부인이 실성인간이 되고 춘향은 향사의 주인이 되는 것 등이다. 등장인물과 갈등구조를 볼 때, 하편은 한국 『춘향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편에는 판소리꾼이 <춘향가>를 부르는 장면이 등장하고 서생이 여러 각편의 <춘향전>을 제작하여 퍼뜨리는 내용이 나타난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작품 내의 <춘향가>와 <춘향전>이 한국 『춘향전』과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는 점이다. 이렇게 된 것은 향부인의 기획에 의한 것인데, 그 이유는 두 가지다. 하나는 『춘향전』과 같은 내용의 <춘향가>, <춘향전>을 퍼뜨려 변학도의 핍박이 부당한 것임을 세상에 알리고자 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춘향전』의 내용과 같이 춘향과 이몽룡의 결연을 성시시키기 위한 것이다. 향부인은 한국 『춘향전』과 같은 내용의 <춘향가>와 <춘향전>이 퍼져나가면, 실제로 『춘향』의 춘향과 이몽룡도 결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나 춘향은 향부인의 기대와 달리 향사의 주인으로서 남성을 접대하는 기생의 삶을 선택했다. 작가가 『춘향』의 하편을 구성하면서 한국 『춘향전』의 세계를 적극 활용한 것은 그것으로 향부인의 삶의 지향을 드러내고 그 지향을 춘향이 거부하는 것으로 설정함으로써, 자유롭고 개아적인 삶의 지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주제의식을 형상화하고자 했던 것이다. 『춘향』은 판소리 문학 『춘향전』을 재해석한 작품이면서 동시에 그 창작방식도 판소리를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작품이 아닐 수 없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6-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3 | 0.724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