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전 휴전 협정에서 ‘Korea’ 번역 문제 = The Issue of Translating “Korea” in the Korean Armistice
저자
고선정 (한국외국어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40(36쪽)
제공처
본 연구는 한국전쟁기 휴전 회담 가운데 <휴전 협정 초안 단어와 번역에관한 참모장교 회의>에 기록된 유엔군과 공산군의 대화를 바탕으로 ‘Korea’ 번역 논쟁을 재구성해 보았다. 이 회의에서 유엔군은 ‘Korea’를 ‘HANKUK’으로 표기하고자 했고, 북한군은 ‘CHOSON’을 주장했다. 이는 ‘Korea’에 대응하는 토착지명의 번역 문제이기도 했으며, ‘조선/한국’이라는 국호와 ‘조선어/한국어’라는 국어의 지위를 대외적으로 공식화하는 것이기도 했다. 또한북한군 대표는 유엔군이 제시한 한국어와 조선어의 차이를 지속적으로주장하며, 언어적 차이를 부각시켰다. 그 결과 휴전 회담 중에 ‘Korean’은‘Our Korean’과 ‘Your Korean’으로 나눠지고, 두 언어의 차이를 명시적으로구분하기에 이른다. 그 가운데 가장 논쟁적인 부분이었던 ‘Korea’가 어떻게번역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북한과 한국에 공개된 휴전 협정문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영문본에서 ‘Korea’ 지명은 북한에서 공개한[조선문]에서는 ‘조선’으로, [국문]에서는 ‘한국’으로 번역되었음을 확인했다.
이때 ‘Korea’를 ‘조선’으로 번역할 때와 ‘한국’으로 번역했을 때 지리적·정치적 의미가 달라지면서 맥락이 바뀔 여지가 있었다. 그런데 지명 번역에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채 각자 선호하는 번역어를 적용하다 보니, [조선문]에서는 조항이 미치는 지리적 범위와 정치적 공간을 북한에 집중시켰다면, [국문]에서는 한국에 국한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따라서 휴전 협정에 대한 다양한 논의에는 휴전 협정문의 언어적 차이로 인해 발생한 문제점들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reconstructs the translation dispute over the term “Korea” during the negotiations for the armistice to end the Korean War. The reconstruction is based on dialogues between the United Nations forces and the Communist forces recorded during the Meeting of Staff Officers on Details of the Wording and Translations of the Draft Armistice Agreement. Over the course of the meetings, the United Nations Command proposed using HANKUK to represent “Korea,” whereas the North Korean forces insisted on CHOSON. This issue involved the translation of the endonym corresponding to “Korea,” as well as the official recognition of the national title CHOSON/HANKUK and their respective national languages. Moreover, North Korean representatives have emphasized the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is claim led the United Nations Command to highlight the linguistic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Koreas.
Consequently, during the armistice meetings, “Korean” was divided into “Our Korean” and “Your Korean,” leading to an explicit differentiation between the two language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armistice agreements released i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o investigate how the contentious term “Korea” was translated. The findings reveal that in the English version, the place name “Korea” was translated as CHOSON and HANKUK in the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official documents, respectively. However, the contextual implications could vary depending on whether “Korea” was translated as CHOSON or HANKUK with potential shifts in the concepts of geographical scope and political space.
As each party applied its preferred translation without reaching a consensus on the place name, the North Korean version concentrated on North Korea's geographical scope and political space, whereas the South Korean version limited itself to South Korea. Therefore, various discussions regarding the Korean Armistice should also consider issues arising from linguistic differences in agreemen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