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러시아어의 필요성과 관련된 양상술어의 문법화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31(29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러시아어에서 서법적 의미는 다양한 형태적, 통사적 그리고 어휘적 범주를 통하여 표현되고 있다. 영어나 독일어 등에서 “양상술어”는 독특한 형태ㆍ통사적 특징을 보유하고 있어 문법서에서도 잘 정리되어 있는데 반하여, 러시아어 문법서에서는 하나의 문법적 범주로 다루지 못하고 어휘적 현상으로 간주되고 있다. 러시아어에서 필요성을 나타내는 양상술어의 상태를 문법화의 관점에서 고찰하여 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주동사와 결합하게 되는 양상 보조술어는 러시아어에서 동사, 형용사 혹은 부사로 나타날 뿐 아니라, 행위자가 주격으로도 나타나지만, 비인칭 양상술어는 여격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이들은 폐쇄된 집합체를 형성하지 못하고, 문법화 연쇄에 놓여 있어서 어휘적 내용어로부터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기능어에 이르기까지 산재하여 분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보조화란 어휘통사적 표현으로부터 자립적 문법적 기능을 가진 단어로 되어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다양한 기원의 서법성을 지닌 어휘들은 보조술어로 사용되면서 많은 경우 음운축소나 융합 등을 겪었을 뿐 아니라 은유나 환유를 통한 의미 축소나 전이를 겪게 되었으며 전문화나 흡수와 같은 현상을 보여 주기도 하였다.
필요성을 나타내는 수많은 양상술어 가운데 dol?en만이 은유적 확장을 거쳐 인식 서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양상술어들은 양상 경험주가 여격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연구를 통하여 어원어는 idti/xodit'와 같은 이동동사, 배치ㆍ자세동사를 포함하여 na dob?>nado, ne lga>nel'zja와 같이 형태통사적 변화뿐 아니라 의미상의 감소 및 일반화와 기능상의 전문화를 겪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문법화 이론을 통하여 러시아어의 양상 보조술어들을 체계적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게르만 계통의 양상체계와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것에 대한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러시아어의 양상술어는 영어에 비하여 문법화의 정도가 낮은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어휘적 지위를 벗어버리고 문법적 지위로의 다양한 단계로의 이행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점진적, 과도기적 현상들은 매우 흥미로울 뿐 아니라 많은 연구 과제를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how the theory of grammaticalization can explain the states of affairs of the modal expressions denoting necessity in Russian.
Modal meanings are expressed in Russian by various morphological, syntactic, and lexical categories. While in such languages as English or German 'modals' have specific morpho-syntactic properties and are well established in grammar, in Russian the category of 'medals' is not an established notion and is treated as a lexical phenomenon, which means that the modal system of Russian is not as grammaticalized as the Germanic system.
Russian modals expressing necessity exhibit diverse morphological and syntactic manifestations. Russian modal auxiliaries, which serve as predicates in sentence and can be combined with a main verb, can take the forms of verbs, adjectives or adverbs. Personal modals require a subject in the Nominative, while impersonal modals require a subject in the Dative. Thus, they do not form a closed set and can only be determined by being located on a grammaticalization chain extending from content words with a lexical meaning to function words with a grammatical meaning. In this way, auxiliation can be understood as a partial phenomenon from lexical-syntactic expressions to free-grammatical expressions of a concept.
The observation with regard to the modality denoting necessity in Russian really shows the gradual development from lexical content words to grammatical function words.
Among the modal predicates only dol?en can express epistemic modality owing to metaphorical extension. The motion verb idti/xodit' alone could not proceed from spatial meaning to modal auxiliary's meaning, but with the suffix -sja through metonymic inference. The modal predicates dol?en and nel'zia lost specific features of meaning and thus show generalization in meaning and specialization in function.
In conclusion, through the grammaticalization theory we could categorize the modal auxiliary system more insightfully and explain why these modals are so different from English and German counterparts. The modal system of Russian is not as grammaticalized as these counterparts, but the development of modals in Russian shows very interesting gradual transitional evolution from a lexical status into more or less grammatical status as well as the interference phenomena with diverse levels and types of grammaticalit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6 | 0.16 | 0.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 | 0.19 | 0.374 | 0.0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