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산불연료량 분포 추정 및 산불잠재성위험성 평가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structure of forests in the Republic of Korea is uncomplicated, which makes a forest fire severe once it happens. In particular, as forest in Korea are in a dry condition during the spring season and mainly composed of coniferous forest, the forest fire in this region spreads in large-scale. Thus, it is crucial to analyze the impact of forest structure and biomass on a forest fire in Korea. The potential forest fuel load decides the occurrence and effects of forest fire by forest stand. Vertical structure of forest fuel load influences the environment of combustion, the area and rate of diffusion of a forest fire, and the effect of combustion. For preparation and prevention to forest fire repeated annually, it is necessary to estimate forest fuel load by vertical strata in the forest and assess the potential risk of forest fire.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distribution of forest fuel load by forest vertical strata i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 of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and Pinus Thunbergi forest except Pinus densiflora forest and assesses the risk of forest fire by drawing the forest fuel load map by crown layer, shrub layer and ground layer in the forest.
    From the distribution analysis of forest fuel load by vertical strata of the forest, a fuel load of deciduous forest in the crown layer including stem, branch, leaves and bark is 2.97∼270.91 ton/ha, which constitutes 31.4∼96.0% of the total fuel load. And the fuel load of the crown layer in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age class of forest. The fuel load in the shrub layer is 0.06∼3.45 ton/ha, accounting for 0.1∼20.0% of the total fuel load, and increase with age class as well. The fuel load of ground layer of herb, litter, and litterfall is 0.04∼3.43 ton/ha, 0.29∼17.92 ton/ha, 0.14∼10.22 ton/ha, which is 0∼29.7%, 2.2∼53.6%, 0.7∼9.7% of total fuel loa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ge class, the fuel load of herb decreases and that of litter and litterfall increases. In deciduous forest, fuel load in the crown layer is 2.57∼315.33 ton/ha, constituting 28.3∼97.3% of the total fuel load. And fuel load rises with an increase in age class. The fuel load in the shrub layer is 0.02∼3.10 ton/ha and it accounts for 0.07∼17.8% of the total fuel load. However, it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age class.
    And the fuel load of herb, litter and litterfall in a deciduous forest is 0.03∼1.38 ton/ha, 1.89∼15.89 ton/ha, 0.32∼7.19 ton/ha by each, which is 0.01∼14.3%, 1.8∼45.7%, 0.3∼19.5% of the total fuel load. With the increase in age class, the fuel load of herb shows decrease while the fuel load of litter and litterfall increases. In a nut pine forest, the distribution of fuel load is 7.19∼80.51 ton/ha in the crown layer, 0.13∼0.75 ton/ha in shrub layer, and 2.84∼9.48 ton/ha in the ground layer. In pitch pine forest, the crown layer has 7.76∼136.18 ton/ha, shrub layer has 0.09∼0.64 ton/ha, and the ground layer has 6.04∼13.48 ton/ha of the fuel load. In the black pine forest, the fuel load of the crown layer, shrub layer, and the ground layer is 5.83∼55.48 ton/ha, 0.08∼1.86 ton/ha, and 0.99∼4.01 ton/ha respectively.
    The fuel load in crown and ground layer of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and Pinus Thunbergi forest increases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age class while the shrub layer of those shows no differences through the age class. To analyze the type of fuel load of the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and Pinus Thunbergi forest, 9 different types are classified by soil humidity and DBH class.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and development of fuel load model, each forest i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f A, B, C with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For the assessment of potential forest fire risk by forest fuel load, three parameters, fuel load humidity (FMC), belowground length (CBH), and intensity of surface fire (SFI), are generated and surface fire deciding intensity which determines spread to crown fire is estimated. And it is assumed that if SFI is higher than CSI, spread to crown fire appears and if SFI is not higher than CSI, the ground fire appears. In general, high SFI tends to dry fuel load in the crown layer. Fuel load in the crown layer is the factor affecting spread to crown fire and it works as a motive power to spread forest fire from crowns and shrub to crowns near-around. Shrub and Forbs take a role of ladder fuels and increase CSI, providing vertical continuity for spreading forest fire from ground layer to crown lay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fuel load in the crown layer, shrub layer, and the ground layer of coniferous forest (Pinus densiflora forest,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and Pinus Thunbergi forest) and deciduous forest and develop fuel load prediction model quantifying of fuel load in the forest. This study mapped fuel load distribution for assessing potential forest fire risk due to the change in fuel load. CSI due to the change in FMC and CBH of coniferous forest is required much according to increase in CBH. In case of crown, FMC is 50, which is the fuel load humidity in the dry spring season, spread to crown fire could be more rapid, which requires the removal of potential forest fire risk by thinning, pruning, and removing of fuel load in the ground layer.

    더보기

    산불행동과 강도는 다양한 연료층의 특성과 수평․수직적인 연속성에 따라 결정되며, 특정 임분에서의 산불위험도는 잠재된 연료량에 따라 산불행동과 영향을 좌우한다. 산림연료의 층위구조는 연소 환경, 산불확산 및 속도, 연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해마다 반복되는 산불에 대비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림 내 층위별 연료량을 추정하고 산불잠재위험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치임상도와 현장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침엽수림, 활엽수림 그리고 소나무를 제외한 잣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곰솔림 층위별 연료량 분포를 추정한 후 최종적으로 산림 내에 존재하는 수관층, 관목층 그리고 지표층에 대한 산불연료량 지도를 작성하여 임내에 잠재되어 있는 산불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영급변화에 따른 임분의 층위별 연료량 분포 분석 결과, 우리나라 침엽수림의 지상부 연료량 중 수피를 포함한 줄기목질부, 생지부, 생엽부를 모두 합친 수관층의 연료량은 2.97∼270.91 ton/ha로서 전체 연료량의 31.4∼96.0%를 차지하였고 영급이 증가할수록 수관층 연료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목층의 연료량은 0.06∼3.45 ton/ha로 전체 연료량의 0.1∼20.0%의 분포를 보였으며, 수관층과 마찬가지로 영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표층에 해당하는 초본, 낙엽, 낙지의 연료량은 각각 0.04∼3.43 ton/ha, 0.29∼17.92 ton/ha, 0.14∼10.22 ton/ha로서 전체 연료량 중 각각 0∼29.7%, 2.2∼53.6%, 0.7∼9.7%의 분포를 보였다. 초본은 영급이 증가할수록 연료량이 감소하고, 낙엽과 낙지는 영급이 증가할수록 연료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활엽수림 수관층 연료량은 2.57∼315.33 ton/ha로서 전체 연료량의 28.3∼97.3%를 차지하였고, 중층의 연료량은 0∼4.19 ton/ha로서 전체 연료량의 0∼4.4%를 차지하였으며, 영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목층의 연료량은 0.02∼3.10 ton/ha로 전체 연료량의 0.07∼17.8%의 분포를 보였으며 침엽수림과는 다르게 영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다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활엽수림의 초본, 낙엽, 낙지의 연료량은 각각 0.03∼1.38 ton/ha, 1.89∼15.89 ton/ha, 0.32∼7.19 ton/ha로서 전체 연료량 중 각각 0.01∼14.3%, 1.8∼45.7%, 0.3∼19.5%의 분포를 보였고 초본의 연료량은 영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반면에 낙엽과 낙지의 연료량은 영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잣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곰솔림 연료량 분포 결과, 잣나무림의 수관층은 7.19∼80.51 ton/ha, 관목층은 0.13∼0.75 ton/ha, 지표층은 2.84∼9.48 ton/ha로 분포하였다. 리기다소나무림의 수관층은 7.76∼136.18 ton/ha, 관목층은 0.09∼0.64 ton/ha, 지표층은 6.04∼13.48 ton/ha로 나타났다. 곰솔림의 수관층은, 5.83∼55.48 ton/ha, 관목층 0.08∼1.86 ton/ha, 지표층은 0.99∼4.01 ton/ha로 분포하였다. 세 임분 모두 영급이 증가할수록 수관층과 지표층은 연료량이 증가하였다. 관목층의 경우는 큰 차이가 없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세 임분의 연료형 구분을 위해 토양건습도와 경급의 9개 유형을 구분하였고 통계분석 및 연료모델개발 결과 세 임분 모두 A, B, C 그룹으로 되었고 각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각 그룹의 연료모델을 개발하였다.

    산림내의 잠재위험성 평가를 위해 지표화에서 수관화로 전이되는 조건으로 연료습도(FMC), 지하고(CBH), 지표화 강도(SFI) 등 3가지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수관화 전이를 결정하는 지표화 결정강도(CSI)를 추정하여 연료량 변화에 따른 임내 산불잠재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SFI가 CSI보다 크면 수관화로 전이되고, SFI가 CSI보다 작거나 같으면 지표화로만 진행된다고 가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높은 SFI는 수관층의 연료를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관층의 연료는 수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하층의 관목과 수목 또는 수관으로부터 주변의 수관으로 산불이 확산될 수 있는 원동력 역할을 한다. 관목과 치수는 산불이 지표층의 연료에서 수관층의 연료로 전이될 수 있는 수직적 연속성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수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다리연료(ladder fuels) 역할을 제공하고 CSI를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전국의 주요 침엽수림(소나무림, 잣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곰솔림)과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수관층, 관목층, 지표층의 연료량 분포와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정량량화 할 수 있는 연료량 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료량 변화에 의한 임내 산불잠재위험성 평가를 위해 지하고 분포 및 지표층(낙엽, 낙지, 초본층) 연료량의 공간적 분포를 지도화하였다. FMC와 CBH의 변화에 의한 침엽수림의 수관화 전이 CSI는 CBH가 높아질수록 수관화로 전이되기 위해서는 더 많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관 FMC가 50일 경우(봄철 건조기에 해당하는 연료습도)를 가정했을 때의 CSI를 평가하였다. CSI가 낮은 지역에서는 수관화 전이가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보다 빨리 진행될 수 있으므로 간벌, 가지치기, 하층 연료제거 등의 방법을 통해 임내에 잠재된 산불위험성을 사전에 제거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 Abstract ⅰ
    • 국문초록 ⅲ
    • Ⅰ. 서론 1
    • Ⅱ. 연구사 5
    • Ⅲ. 재료 및 방법 11
    • 1. 연구대상지 11
    • 2. 현장조사 및 분석방법 15
    • 2.1 현장조사 방법 15
    • 2.2 분석방법 19
    • 2.2.1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층위별 연료량 분포 추정 및 연료지도 작성 19
    • 2.2.2 잣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곰솔림 층위별 연료량 추정, 연료지도 작성, 연료형 구분 및 모델 개발 23
    • 2.2.3 전국 도별 산불잠재위험성 평가 26
    • Ⅳ. 결과 및 고찰 29
    • 1. 전국 도별 산불연료량 분포 추정 29
    • 1.1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연료량 분포 추정 29
    • 1.1.1 강원도(영동, 영서) 권역 29
    • 1.1.2 경상북도(대구광역시 포함) 권역 33
    • 1.1.3 경상남도 권역 35
    • 1.1.4 전라북도 권역 37
    • 1.1.5 전라남도(광주광역시 포함) 권역 39
    • 1.1.6 충청북도 권역 41
    • 1.1.7 충청남도(대전광역시 포함) 권역 43
    • 1.1.8 경기도(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 포함) 권역 45
    • 1.2 잣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곰솔림 연료량 분포 추정 및 산불연료형 구분 47
    • 2. 전국 도별 산불연료지도 작성 64
    • 2.1 침엽수림 및 활엽수림 산불연료지도 64
    • 2.2 잣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곰솔림 연료지도 67
    • 3. 산림내 산불잠재위험성 평가 71
    • Ⅴ. 결론 79
    • 참고문헌 81
    • 부록 1 103
    • 부록 2 125
    더보기
    • 1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재해백서", 2013
    • 2 산림청, "산림청 홈페이지", . http://www.forest.go.kr/, null
    • 3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자원평가 프로그램", 2004
    • 4 이시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정보", 162호 6-7, 2006
    • 5 김래현, 이경학, 손영모, "우리나라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한국임학 회지 96(4): 477-482, 2007
    • 6 김래현, 이경학, 손영모, 김종찬, "우리나라 산림 바이오매스자원 평 가", 국립산림과학원 14p, 2007
    • 7 이명보, 이병두, "1991년부터 2007년까지 산불의 공간적 특성", 한국화 재소방학회지. 23(1) : 15-60, 2009
    • 8 김성호, 정세경, 이우균, 이경학, 손영모, "임목 자원 분석론-측정․생 장모델․평가",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신서 제4호. pp36, 2004
    • 9 구교상, 이병두, 이명보, 원명수, "대구 팔공산 지역 소나무 수관층 연료 특성", 한국임학회지 99(1) : 52-56, 2010
    • 10 박민수, 이영진, 이경학, 손요환, 손영모, 서정호, 박인협, "소나무의 임령에 따른 물질 현존량 확장계수", 한국임학회지 94(6) : 441-445, 2005
    • 11 곽한빈, 이우균, 이시영, 이명보, 원명수, 구교상, "산불 발생 분포와 지형, 지리, 기상 인자간의 관계분석", 한국GIS학회. 465-470p, 2008
    • 12 김성용, 이영진, 이병두, 서연옥, "영주지역 소나무림의 수관연료특성 및 수관연료량 추정", 한국임학회지 100(2) : 266-272, 2011
    • 13 신영철, 이시영, 이명보, 원명수, 안상현, "공간분석에 의한 산불발생 확률모형 개발 및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4) : 57-64, 2004
    • 14 김현, 이상현, 서병수, "전북 완주군 경제림 육성단지의 목표임상 및 목재 생산목표", 한국임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500-501p, 2008
    • 15 국립산림과학원, "2010년도 연구사업보고서 – 산림보전 및 관리 원 천기술 개발", 2010
    • 16 권춘근, 이해평, 이시영, 이명욱, 염찬호, "산불적지에서 숲 가꾸기 실 행 유무와 산불 위험성 비교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지 23(4) : 32-29, 2009
    • 17 박상문, 이영진, 이미향, 이경학, 손요환, 손영모, 서연옥, 박인협, "예 산지역 리기다소나무의 지상부 및 지하부 바이오매스 추정", 한국 산림측정학회지 9 : 1-9, 2006
    • 18 김성용, 장미나, 이영진, 이병두, 서연옥, "경북 봉화 지역 소나무림에 대한 수관연료 특성과 연료량 추정", 한국임학회지 100(3) : 402-407, 2011
    • 19 김선영, 이병두, 이명보, 윤석희, 원명수, "소나무 수관 부위별 연료량 추정식 개발 및 수관연료밀도 분석", 한국임학회지 99(3) : 391-396, 2010
    • 20 김형호, 정주상, 이병두, "GIS 및 판별분석에 의한 삼척산불지역의 소나무임분 피해도 추정", 한국임학회지 91(3) : 355-361, 2003
    • 21 곽한빈, 이우균, 이시영, 원명수, 구교상, "이병두, 이명보. 우리나라 산불 발생의 원인별 공간적 특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99(3) : 259-266, 2010
    • 22 국립산림과학원, "2013년도 연구사업보고서 – 안전하고 건강한 산림 환경 유지 증진", 2013
    • 23 국립산림과학원, "2014년도 연구사업보고서 – 안전하고 건강한 산림 환경 유지 증진", 2014
    • 24 국립산림과학원, "2015년도 연구사업보고서 – 안전하고 건강한 산림 환경 유지 증진", 2015
    • 25 문광선, 박인협, ". 주요 참나무류 천연림의 물질생산 및 현존량 추정 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3(2) : 246-253, 1994
    • 26 이찬용, 채희문, "산불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임지내 산림연료와 경 사도에 관한 연구", 한국농림기상학회지 5(3) : 179-184, 2003
    • 27 구교상, 이명보, 원명수, "우리나라의 봄철 순평년 온․습도 변화에 따른 산불발생위험성 분석", 한국농림기상학회지. 8(4) : 250-259, 2006
    • 28 김준선, 박인협, "한국산 4개 지역형 소나무 천연림의 물질현존량 추 정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8(3) : 323-330, 2008
    • 29 박영주, "산림연료의 연소특성을 이용한 영동지역의 산불위험성에 관 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p, 2009
    • 30 권성민, 전근우, 김남훈, "산불 피해 소나무 목재의 해부 및 물리적 특성-피해 정도에 따른 차이", 목재공학 36(4) : 84-92, 2008
    • 31 김성용, "산불위험성 평가를 위한 주요 침엽수종의 연료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2-65p, 2015
    • 32 이수욱, "강원도산 소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Biomass 및 Net Primary Production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1 : 74-81, 1985
    • 33 박인협, 최영철, "전남 모후산 지역 굴참나무 천연림과 현사시나무 인공림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2(2) : 188-194, 2009
    • 34 박관화, 이수욱, "한국의 소나무 및 참나무 천연림의 생태계의 Biomass 및 유기 Energy 생산에 관한 연구", 임산에너지학회지 6(1) : 46-58, 1986
    • 35 강성철, 윤석희, 원명수, "사례분석을 통한 소나무림에서의 풍속과 실 효습도 변화에 의한 대형 산불 위험예보",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9(4) : 146-156, 2016
    • 36 김래현, 표정기, 이영진, 이경학, 손영모, 서연옥, "충남 청양, 보령지 역 소나무림의 지상부와 지하부 바이오매스 및 순생산량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9(6) : 914-921, 2010
    • 37 이병두, ". GIS와 RS를 이용한 2000년 삼척산불 행동 특성 분석 및 산불확산예측모델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16p,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