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livery syste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KDC
338.3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5-86(22쪽)
제공처
「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직업재활 실시기관들의 역할을 정립함으로서 장애인들이 효율적인 직업재활 서비스를 받도록 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정책분석, 설문조사 등의 방법을 도입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전달체계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해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직업재활 서비스 실시기관의 전달체계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정책기법과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문가와 장애인을 대상으로 2001년 8월 3일부터 8월 20일까지 시행되었는데 전문가 조사는 직업재활 실시기관인 직업재활센터, 직업재활시설, 장애인복지단체 직원 700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한 결과, 147개가 회수되었고, 장애인 조사는 대구․경북지역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전국적인 인터넷 조사를 통해 총 903개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해 제시된 직업재활 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적절성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의 전달체계보다 노동부의 전달체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둘째, 통합성과 연속성과 관련하여 ① 중앙정부의 경우, 장애인복지조정위원회의 역할이 극히 형식적이며, ② 지방행정 전달체계의 경우, 서비스의 통합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③ 일선 서비스 실시기관들의 경우, 통합성이 더욱 고려되지 않은 채,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셋째, 접근성과 관련하여 가장 바람직한 형태는 기초자치단체별로 접근성이 확보되는 것이지만 실제로 그렇지 못한 것으로 진단되었다.
넷째, 효과성과 관련하여 공단 지방사무소와 장애인복지관의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비용/효과면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전문가 의견조사에서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다섯째, 전문성과 관련하여 ① 공단 직원의 자격기준이 일반화되어 있어 전문인력 채용에 한계가 있으며, ② 전담인력이 부족하고, ③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인력관리 체계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방안, 즉 장애인 직업재활 업무를 보건복지부로 통합하는 방안, 현행 이원화된 보건복지부 체계와 노동부 체계를 보완하는 방안, 현행 체계를 유지하면서 이원화된 보건복지부․노동부 체계를 보완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Depart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aegu University This research project titled "A study on the delivery syste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conducted for delineating roles of various vocational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For the research purposes, policy analyses, and survey research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team analyzed components of current service delivery systems. For the survey research, a questionnaire package was mailed to 700 staff members of the above agencies and organizations August 3rd through August 20th of this year, 2001. A total of 147 usable questionnaires was analysed. In addition, a different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903 people with disabilities via Internet surveys and personal interviews, who lived in the geographic areas Taegu City and Kyungbuk provide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Problems & Issues of service delivery systems
·Lack of adequacy in the service delivery, especially the Ministry of Labor side
·Lack of integrity and continuity service delivery
·Lack of accessibili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mong local governments
·Lack of effectiveness of service delivery systems of bo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Lack of manpower, qualification of staff members, and organizational financial reward systems
The following three major strategies to improve current situations and service delivery of vocational rehaiblitation should be pursued.
1. Transfering the budget and manpower of KEPAD to Bureau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 Making up for both service delivery systems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Ministry of Labor.
3. Making up for current service delivery system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