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문화적 배경 차이에 따른 뉴스가치 비교 분석 = Analysis on Comparing News Value in Selecting Top News According to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Focusing on Domestic English Newspapers Case Stud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9-71(13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신문의 1면은 그날의 가장 중요한 뉴스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신문사가 기사 선택과정에서 어떠한 가치관을 우선하는가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공간이다. 언론사의 복잡하고 다양한 의사결정 구조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가치 중에서 ‘문화적 배경’에 대한 분석은 국가나 문화, 언어
가 다른 이질적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언론인들간의 뉴스가치의 비교에 유용한 이론적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토양이 다른 에디터들이 다양한 기사 소재를 놓고 톱뉴스로 다루는 과정에서 어떤 기준에 따라 기사 선택에 나서며, 그 차이는 지면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주목해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외국 언론인들이 제작에 다수 참여하고 있는 국내 영자신문 중에서 미국인 에디터들이 주도적으로 기사 선정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Korea JoongAng Daily의 편집회의에 대한 참여관찰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미국인 에디터들은 한국언론인들과는 상이한 뉴스가치를 기준으로 기사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에 비해 부서별 균형(balance)을 중시해 다양한 기사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대통령 선거과정을 다룬 보도에서도 한국언론인들은 하나의 사안에 대해 여러 개의 기사를 별도로 작성해 전체 현실을 설명하는 조합식 구성(mosaic style)을 선호하는데 비해 미국 언론인들은 다양한 관련 요소를 하나의 기사에 최대한 통합, 포괄해 제시하는 통합적 기사(integrated story)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정한 사회적인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도 미국인 에디터들은 문제를 불러오게 만드는 사회적 상황이나 시스템에 대해 주목하는 한국특유의 종합적인 사고방식 대신 개인적인 차원에서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분석적 사고방식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뉴스를 바라봤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한국 언론이 제시하고 있는 기사 가치 중에서 특히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들과 갈등을 빚거나 낮은 평가를 내리는 유형들로는 추가적인 사실(fact)가 제시되지 않아 내용의 발전(development)이 없거나 기사의 의미나 배경이 담겨 있지 않은 기사 , 의견이 담겨있는 주관적인 기사나 주장의 근거나 출처(attribution)가 없는 기사, 인간적인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재미’가 없는 기사들이 꼽혔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앞으로 문화적 배경이 다른 문화권과의 교류에서 우리와 상이한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문화산업으로서의 한국 언론의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데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ery first page of the newspaper is a space where the most important news of the day is published on, and thus, it shows what each newspaper company values the most.
Among theoretical models on how media selects certain article, there is a ‘gate-keeping theory’ under which mass media selects certain items through its traditional way. This theory is evaluated in a way that it explains complex and various structures of mass media. Among individual values that influence gate-keeping courses, analysis on ‘cultural background’ is a useful and theoretical base that compares news values selected by journalist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ith different nationality, culture and language.
In this research, how editor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values choose articles, especially on what standards, and how those articles turn out on papers. For this research, I, as an observer, participated in an editor meeting of Korea JoongAng Daily (KJD), a domestic English newspaper where American editors select Korean news articles and pick out headlines.
In result, American editors choose their articles on their own standards which tend to be different from Korean journalists. American editors tend to put various types of stories on the front page, meaning not just articles from a politics department, but also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 departments as well. So they are trying to balance out the number of articles so that each department gets to publish an article on the front page.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Korean journalists preferred a mosaic style where various types of articles on one particular item while American journalists preferred an integrated story where a number of different items are integrated in one big article. When big news breaks in, American journalists tend to put out an article that is more like an analysis, presenting solutions to the problem, instead of focusing on social circumstances or systems that caused the problem.
Here are types of articles that are evaluated to have not much news values by American journalists: an article that has already been reported but has no additional facts, an article with no meaning and backgrounds, an article with subjective opinions, an article with no sources, and an article that raises no human interest.
신문의 1면은 그날의 가장 중요한 뉴스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신문사가 기사 선택과정에서 어떠한 가치관을 우선하는가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공간이다. 언론사의 복잡하고 다양한 의사결정 구조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가치 중에서 ‘문화적 배경’에 대한 분석은 국가나 문화, 언어
가 다른 이질적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언론인들간의 뉴스가치의 비교에 유용한 이론적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토양이 다른 에디터들이 다양한 기사 소재를 놓고 톱뉴스로 다루는 과정에서 어떤 기준에 따라 기사 선택에 나서며, 그 차이는 지면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주목해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외국 언론인들이 제작에 다수 참여하고 있는 국내 영자신문 중에서 미국인 에디터들이 주도적으로 기사 선정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Korea JoongAng Daily의 편집회의에 대한 참여관찰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미국인 에디터들은 한국언론인들과는 상이한 뉴스가치를 기준으로 기사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에 비해 부서별 균형(balance)을 중시해 다양한 기사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대통령 선거과정을 다룬 보도에서도 한국언론인들은 하나의 사안에 대해 여러 개의 기사를 별도로 작성해 전체 현실을 설명하는 조합식 구성(mosaic style)을 선호하는데 비해 미국 언론인들은 다양한 관련 요소를 하나의 기사에 최대한 통합, 포괄해 제시하는 통합적 기사(integrated story)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정한 사회적인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도 미국인 에디터들은 문제를 불러오게 만드는 사회적 상황이나 시스템에 대해 주목하는 한국특유의 종합적인 사고방식 대신 개인적인 차원에서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분석적 사고방식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뉴스를 바라봤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한국 언론이 제시하고 있는 기사 가치 중에서 특히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들과 갈등을 빚거나 낮은 평가를 내리는 유형들로는 추가적인 사실(fact)가 제시되지 않아 내용의 발전(development)이 없거나 기사의 의미나 배경이 담겨 있지 않은 기사 , 의견이 담겨있는 주관적인 기사나 주장의 근거나 출처(attribution)가 없는 기사, 인간적인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재미’가 없는 기사들이 꼽혔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앞으로 문화적 배경이 다른 문화권과의 교류에서 우리와 상이한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문화산업으로서의 한국 언론의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데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ery first page of the newspaper is a space where the most important news of the day is published on, and thus, it shows what each newspaper company values the most.
Among theoretical models on how media selects certain article, there is a ‘gate-keeping theory’ under which mass media selects certain items through its traditional way. This theory is evaluated in a way that it explains complex and various structures of mass media. Among individual values that influence gate-keeping courses, analysis on ‘cultural background’ is a useful and theoretical base that compares news values selected by journalist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ith different nationality, culture and language.
In this research, how editor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values choose articles, especially on what standards, and how those articles turn out on papers. For this research, I, as an observer, participated in an editor meeting of Korea JoongAng Daily (KJD), a domestic English newspaper where American editors select Korean news articles and pick out headlines.
In result, American editors choose their articles on their own standards which tend to be different from Korean journalists. American editors tend to put various types of stories on the front page, meaning not just articles from a politics department, but also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 departments as well. So they are trying to balance out the number of articles so that each department gets to publish an article on the front page.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Korean journalists preferred a mosaic style where various types of articles on one particular item while American journalists preferred an integrated story where a number of different items are integrated in one big article. When big news breaks in, American journalists tend to put out an article that is more like an analysis, presenting solutions to the problem, instead of focusing on social circumstances or systems that caused the problem.
Here are types of articles that are evaluated to have not much news values by American journalists: an article that has already been reported but has no additional facts, an article with no meaning and backgrounds, an article with subjective opinions, an article with no sources, and an article that raises no human interes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8-04-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8 | 0.88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6 | 0.83 | 1.366 | 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