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1년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조선 내 종교계 동향 조선총독부 『사사종교(社寺宗敎)』 자료를 중심으로 = Utilizing the Primary Source Religions of Shrines and Templ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주제어
KDC
8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07-230(24쪽)
제공처
이 글에서는 일제의 식민지 종교정책이 정착되기 위한 과도기적 양상을 『사사종교(社寺宗敎)』라는 조선총독부 자료를 중심으로 종교정책과 조선과 일본 종교계의 동향에 중점을 두고 고찰하고 있다. 지금까지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관련된 연구는 조선의 종교를 장악하기 위한 규제, 탄압이라는 측면에서 전개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종교정책이 식민지 종교를 통치하기 위한 법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식민지 조선의 미분화된 종교적 상황과 일본 내지의 종교에 대한 인식이 충돌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과 모순이 야기되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조선총독부, 해당 업무에 종사하는 직원, 나아가 종교 교단은 물론 현지 종교 종사자들 간에는, 제도화된 종교정책의 인식 결여로 한국병합 직후의 종교정책은 과도기적 양상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시행착오와 불협화음 속에 식민지 조선의 종교정책은 정착되어 갔던 것이다. 이른바 이글에서는 이 시기 종교정책이 한국 종교 내지는 일본 종교에 끼친 영향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닌, 종교정책 관련 법규가 정착되기 전의 종교현상에 주목하여 『사사종교』 속에 나타난 1911년의 조선과 일본 종교계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보기This study investigates transitional aspects of the Japanese Empire’s policies towards colonial religions, focusing on its policy towards religions and the trend of religious world in Joseon and Japan and centering on primary sources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eligions of Shrines and Temples. Studies conducted previously concerning the religious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ave been developed in terms of the regulations and resulting suppression for gaining control of the religions of Joseon. However, examining the various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caus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undifferentiated religious situations in colonial Joseon and the awareness of religions in inland Japan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se religious policies were transformed into laws regulating colonial religions is necessary. Among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mployees in relevant jobs, religious orders and local religious workers, the religious policies implemented immediately after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came to show transitional aspects due to a lack of recognition of the institutionalized religious policy. From trial and error and discords, the religious policy in colonial Joseon was finalized. This study does not focus on the impact of these policies on the religions of Korea or Japan, but examines the religious phenomena before legislation related to those policies was passed. To do so, it studies the aspects of the religious world of Korea and Japan as represented in 1911 in Religions of Shrines and Temple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