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협상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영화 ‘네고시에이터’ 대화분석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developing the contents of Negotiation education utilizing movie text -Conversation Analysis of the Movie “the Negotiator”-
저자
신희선 (숙명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05-251(47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Negotiation, as a tool for problem solving, is a communication method proceeded under conflicting situation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Negotiation for cooperative problem solving to eliminate mutual conflicts requires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This research paper points out meaningfulness of communication education helped by movie, examining negotiation strategies and principles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The Negotiator’. ‘The negotiator’ is a dynamic style movie: the most outstanding negotiator in the police station is entangled in the plot and framed, and becomes a hostage-taker by himself to catch a real criminal. The movie shows how he solves the problems with his counter-negotiator using the negotiation process.
First of all,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verbal, and nonverbal, this paper examines how the basic attitudes of negotiation are revealed in the movie by analyzing dialogue scenes. First, forms a bond of sympathy emphasizing something in common. Second, responds with positive language. Third, starts with petty gossip in small talks. Fourth, utilizes questions and silence properly. Fifth, reads counterpart’s nonverbal message. For problem solving, through an analysis of the movie, this paper also points out and emphasize notable principles and strategies should be in each stage of communication process; first of all, set an objective clearly; design and prepare the negotiation meticulously; use a strategy enhancing negotiation leverage; seek win-win prospects by exchanging concession.
The movie ‘the negotiator’ which was used in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class, a liberal art’s selective course, has a value of suggesting practical negotiation skills through its maximal conflict of hostage situation. The movie ‘the negotiator’ is like the negotiation text book, intriguingly showing two negotiators’ different negotiation styles and various negotiating principles and strategies through the process. Movie, as a socially powerful cultural content, is a mass media can make people’s view on the world plentiful. From this point of view, the negotiation class utilizing movies is educationally effective, and the program and contents related with negotiation should be expanded in the university’s education.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협상은 ‘경쟁’과 ‘협력’이라는 이중적인 상황 에서 전개되는 의사소통이다. 서로간에 갈등이 되고 있는 문제를 상호 협력적으 로 해결하는 위한 협상은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영화 ‘네고시에이터(The negotiator)’의 사례분석을 통해 협상의 원칙과 전략을 살펴보 며, 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협상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네고시에 이터’는 경찰서 내에서 가장 뛰어난 협상가가 음모에 휘말려 누명을 쓰면서 실제 범인을 잡기 위해 스스로 인질범이 되면서, 상대 협상가와 어떻게 협상과정을 통 해 문제를 풀어가는 가를 보여주는 역동감 있는 텍스트로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먼저 본고는 영화에서의 대화 장면을 분석하며 심리적, 언어적, 비언어적 측면 에서 협상에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자세들이 어떻게 영화에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첫째 공통점을 강조하여 공감대를 형성하라, 둘째 긍정의 언어로 대응하 라, 셋째 사소한 잡담으로 시작하라, 넷째 질문과 침묵을 적절히 활용하라, 다섯 째 상대의 비언어적 메시지를 읽어라 등 영화는 협상의 기초를 보여주는 텍스트 의 유용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영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상과정의 각 단계마다 협상가가 유념해야 할 원칙과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무엇보다도 협상 상황의 목표를 명확히 해야 한다는 점과 협상을 치밀하게 계 획하고 준비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협상 레버리지(leverage)를 높이는 전략과 전략적으로 양보를 교환하는 과정을 통해 윈윈(win-win)의 가능성을 모색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영화 ‘네고시에이터’는 최고조의 대립 상황인 인질극을 통해 협상의 기술에 대 한 실용적인 지침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결과적으로 교육적 가치가 있는 텍스 트이고, 이는 대학 교양수업인 <대화와 협상>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 두 협상가 의 협상 스타일의 차이와 협상과정에서의 다양한 원칙과 전략을 흥미롭게 보여주 고 있어 ‘네고시에이터’는 영화를 활용한 협상교본으로 손색이 없다고 하겠다. 영 화는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문화 콘텐츠로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보다 풍성하게 도와주는 대중매체라는 점에서 영화를 활용한 협상교육은 교육적 효과 가 높고, 대학 교육에서도 협상 관련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컨텐츠 개발이 계속해 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10-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Thinking and Communication | KCI후보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3-10-0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고와표현학회 -> 한국사고와표현학회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2 | 1.12 | 1.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2 | 1.35 | 1.637 | 0.2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