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량형 버즈수업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advanced buzz learn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3(13쪽)
제공처
소장기관
서양 정신문화의 뿌리이자, 서양 최초의 사설(私設) 교사인 소크라테스는 학생을 가르침에 있어서 토론식 대화 방법을 사용하였다. 플라톤의 여러 저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크라테스는 집요한 질문을 통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먼저‘무지’를 자인케한 다음, 대화를 통하여 상대방이 자신의 능력을 사용하여 스스로 지적인 문제를 해결하게 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소크라테스의 학맥을 잇는 아리스토텔레스는 토론식 대화법이 아닌 강의식방법을 사용하여 제자들을 가르쳤다. 그가 세운 학교인 뤼케이온에서는 강의법이 교육의 주 방법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강의식 방법은 서양의 주류 종교인 기독교와 결합하면서 서양의 주류적 교육방법으로 정착하였다. 다시 말해 가톨릭이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던 중세 시절, 절대적 신의 존재, 신의 말씀을 담은 성경내용, 그리고 신의 대리인으로서 교황 및 사제의 정당성에 대하여 교사와 학생 간에 질문을 주고받거나, 토론의 형태로 비평‧비판하는 일은 절대로 있을 수 없는 것이기에 권위자에 의한 일방적인 정보 지식 전달식인 강의만이 수업방법으로 허락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종교개혁 이후에 오히려 더 강화되었다. 개신교 지도자 마르틴 루터는‘신의 두려움을 알게 해야한다’는 취지 아래 교사 중심의 일방적 전달 중심의 수업을 하라고 지도하였고, 여기에 더하여 개신교 지도자들의 공교육, 보통교육, 의무교육 주장으로 인하여 매우 크게 늘어난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도 다수의 학생을 효율적으로 가르치는 수업방법인 강의식 방법이 불가피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같이 강의법을 중시하는 서양의 교육전통은 우리의 교육전통과는 다르다. 우리나라 전통교육은 교육방법으로서 토론식 대화를 중시하였다. 예컨대 조선조 성균관의 경우, 오늘의 대학학칙에 해당하는‘학령(學令)’11번째 조항은‘두 번째 북소리가 울리면 학생들은 각자 읽던 책을 가지고 교사에게 나아가 배운 것에 대해 질문과 변론을 통해 분명하게 이해하고 새로운 가르침을 받는다’고 되어있다. 질문과 변론이 성균관의 주 수업 방법이었던 것이다. 이것은 조선조 중등교육기관이었던 사학(四學), 향교, 서원에서 마찬가지였고, 초등학교인 서당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서당에서 학동의 공부는 주로 유학경전의 반복적 읽기를 통한 암송의 형태로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훈장은 학동에게 설명을 완전하게 해 주지 않고 학동 스스로 생각할 여지를 남기는 형태로 수업을 진행했으며, 생각해야 할 과제를 부여할 때에도 학동들이 대화식 토론을 통해서 협동적으로 해결하게 하였다(목영해, 2015 p.85).
그런데 개화기 이후 서구의 교육이념, 교육내용, 교육방법이 우리 전통교육을 제치고 교육의 주류 자리를 차지하면서, 우리나라 학교교육의 교육방법 또한 강의식 중심으로 바뀌었다. 교사가 교과서를 해설하는 일로 채워지는 수업 즉 강의식 수업이 한국교육의 일상적, 정상적, 상식적 모습이 되어버린 것이다. 이러한 강의식 수업법은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갖고 있다(변영계·김영환, 1996, p.117). 강의식 수업의 장점으로는 첫째, 정해진 시간 속에서 다양한 지식을 많은 학습자에게 동시에 가르칠 수 있고 둘째, 교육 내용을 수업상황에 따라 더하거나 빼는 등의 변화가 용이하며 셋째, 학습자의 감정 자극을 통한 직접적인 학습동기 유발이 가능하며 넷째, 다양한 예시적 설명 등을 통하여 추상적인 사물 사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요컨대 강의식 수업법의 장점은 정보 지식을 전함에 있어 효율성이 매우 높은 경제적인 수업법이다.
강의식 수업법이 갖는 단점이 여럿 있지만, 이 수업법의 치명적인 약점은 학습자가 매우 수동적인 존재 즉 정신적 노예가 된다는 점이다. 강의식 수업의 이같은 단점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개념은 비판적 교육학자 프레이리(Freire)가 제안하는‘은행저금식교육(banking concept of education)’개념이다. 돼지저금통에 동전이나 지폐를 집어넣듯이 이루어지는 이 교육은 학생의 생활현실과는 무관하게 선정된 교육내용을 교사가 권위적으로 강의식 설명을 행하고, 학생은 그 설명을 듣고, 필기하고, 암기만 하는 형태의 수업방식인 은행저금식 수업방식은 학생으로 하여금 자기 생각 없이 복종적이기만
하는 비주체적인 사람이 되게 하는 것이다(1970, p.59). 강의식 수업이 학생들의 주체적인 사고력 배양에 지장을 초래하는 메카니즘은 엄마가 씹어준 음식만을 받아먹은 아이의 소화능력이 키워지지 않는 것과 같다. 엄마가 아이의 소화능력을 믿지 못해 음식을 씹어 먹이는 것과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력을 믿지못해 교과서를 상세하고 명료하게 설명해주는 것은 같은 맥락의 것으로서, 교사의 상세하고도 명료한 설명에 길들여지는 학생은 학습해야 할 내용을 독자적이고 주체적으로 이해하여 습득하려 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학교교육에서와 같이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강의식 수업만을 받은 학생은 주체적 사고력과 함께 창의적 사고력도 부족한 사람이 된다. 정신적 노예가 되는 것이다.
강의식 수업이 길러낸,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과 창의적 상상력이 부족한 사람은 지나간 산업사회에도 적절하지 못한 인간상이지만, 그 부적절한 정도는 다가오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더욱 그러하다. 지적 자율성과 창조성을 요구하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성태제, 2017, p.11)에는 자율적 사고력과 창의적 상상력 없는 정신적 노예 상태로 는 적응·생존이 불가능한 것이다. 이 점을 인식한 우리나라 교육정책 당국 또한 강의식 일변도의 수업을 탈피하기 위한 여러 정책을 취하고 있는 데, 그 조처 중의 하나가 토론식 수업에 관한 것이다. 설명컨대 우선 교육부는 국가수준 2015년 교육과정을 수업현장에 토론을 도입하는 내용의 것으로 구성하였고, 교육부가 2016년 12월에 공개한‘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
정책의 방향과 전략 (試案)’이라는 이름의 보고서에서는 초·중등학교에서 강의식, 암기식 수업을 지양하고, 토의·토론· 협력수업을 본격적으로 도입할 것을 천명하였다(교육부, 2016. pp.12, 14). 그리고 이에 응하여 각 지방교육청 또한 토론식 수업이 활성화 되도록 하기 위한 여러 정책적 활동을 하고 있다. 예컨대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경우 수업현장에 토론식 수
업을 도입하여 착근시키기 위해서는 교사로 하여금 토론식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게 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 교사연수를,‘중등 다 같이 토의·토론수업 지원단 캠프’라는 이름 아래, 2016년-2017년 동안 다섯 번에 걸쳐 실시하였다.
첫째, 미래 인재 역량강화를 위한 토의·토론수업 운영 전문성 신장
둘째, 토의·토론수업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지도 역량 강화
셋째, 수업 디자인 역량을 키우며, 토의·토론수업에 대한 인식 제고
넷째, 토의‧토론수업을 위한 학교문화조성에 기여할 선도 교사 양성
위와 같은 교육정책당국의 문제의식에 공감하는 본 연구자는 한국 교실수업현장에 토론식 수업법을 도입·착근시키기 위한 조력 활동의 일환으로서 버즈(Buzz)수업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토론식 수업법의 한 종류인 버즈수업법을 개관하고, 버즈수업법이 가지는 토론식 수업에서의 위상을 조명한 후, 토론식 수업에서 버즈수업이 갖는 위상에 충실하도록 설계된 버즈수업법의 발전된 형태를 도출한 다음, 발전된 버즈수업법을 수업현장에서 시험적으로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dvanced buzz learning technique' and analyse on the significant of the advanced one. Instruction is the most popular teaching method in the Korean classroom. But the instruction is not appropriate to cultivate reflective and creative person that the 4th industrial society require to. The buzz learning is good to cultivate a reflective and creative persons. The buzz one is the classroom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2-3 students consist of one group and discuss about the particular topic, and than 4-6 student consist of a new group and talk about, and than 8-12 students consist of a another new group and discuss about, and then they get results on the topic. Because of the old buzz one is not enough to develop the reflective thinking, the old one is needed a writing procedure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 The advanced buzz learning method is the one which the writing procedure is added.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