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정조 2년(1778) 영조・진종의 祔廟와 禘의 기록 = Enshrinement ritual of Yeongjo and Jinjong’s ancestral tablet and Records of Dì(禘) in the 2nd Year of King Jeongjo’s Reign (1778)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6(36쪽)
제공처
이 연구는 정조 2년에 시행된 영조와 진종의 부묘의례가 ‘禘’라는 이름으로 기록된 사례에 대해 검토한 결과물이다. 禘와 祫은 五享大祭보다 위격이 높은 종묘 제사였다. 조선 초엽 국가의례가 정비될 무렵에 체제에 대해서는 천자의 예라 여겨 시행을 모색하지 않았던 반면, 협제에 대해서는 『世宗實錄』 「五禮」 단계에서 일정부분 구상되다가 결국 『국조오례의』가 성립될 때 수록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조선의 국가제사 항목에서 협제는 완전히 사라졌다.
그런데 정조 2년에 이르러 ‘체’라는 글자가 영조와 진종의 부묘를 의미하는 단어로 등장하게 된다. 정조는 영조와 진종의 부묘를 친제할 때 사용할 제문을 직접 확인하다가 제문에서 영조와 진종의 부묘를 ‘체’라고 표현한 글자를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정조는 ‘체’라는 글자를 감히 사용할 수 없다고 지적하며 고치도록 하였다. 하지만 18세기에 이르러서는 체와 협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분석이 진행되었고, 부묘 의식을 길체의 의미를 가진 ‘체’나 합사의 의미를 가진 ‘협’이라는 글자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었다. 정조 역시 이러한 이해 경향에 대해 알고 있었다는 것을 『노론하전』과 『경사강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정조는 『논어』의 경문을 몸소 본받기 위해 국가 제사의 주관자로서 체라는 글자를 쓰는 것은 참람하다는 뜻을 표명했던 것이다. 때문에 정조 2년의 부묘 의례를 ‘체’와 ‘협’으로 표현한 내용은 『일성록』과 『정조실록』에 모두 기록됨으로써 정조의 학문적 지향과 이해를 기록물을 통해 모두 드러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ocumentation of the ancestral rites conducted for King Yeongjo and King Jinjong, known as ‘Dì(禘)’ in the second year of King Jeongjo's reign. ‘Dì(禘)’ and ‘Xiá(祫)’ were ceremonies of higher significance than the Five Grand Sacrificial Rites(五享大祭), for the royal ancestral shrine.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when national rituals were being organized, the regime did not attempt to implement the ‘Dì(禘)’ as they considered it to be the rule of the emperor and did not seek to carry it out. However, when it came to the ‘Xiá(祫)’, it was partially developed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Five Rites’ as recorded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Eventually, when the <Analysis of Gukjo-Oryeeui> were established, ‘Xiá(祫)’ was excluded from the list of subjects, leading to the complete disappearance of ‘Xiá(祫)’ from the national ritual items in Joseon.
However, during the preparations for the enshrinement rites of King Yeongjo and Jinjong at the royal ancestral shrine in the 2nd year of King Jeongjo’s reign, King Jeongjo personally reviewed the sacrificial texts that would be used during the ancestral rites and, in doing so, discovered the character ‘禘’ used to refer to the enshrinement rites for King Yeongjo and Jinjong.
King Jeongjo pointed out that the character ‘禘’ should not be used and insisted on making corrections. However, by the 18th century, various theoretical analyses regarding ‘Dì(禘)・Xiá(祫)’ had been conducted, and King Jeongjo himself was aware that theoretically, the ancestral rites could be expressed using the character ‘禘’ or ‘祫’.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Noroanhaejeon> and <Gyeongsa Gangui>. However, King Jeongjo, in his role as the leader of the national rituals, expressed that he couldn’t dare to use the character ‘禘’ in order to personally embody the teachings of Confucius in the conduct of state ceremonies.
As a result, by describing the ancestral rites of the 2nd year of King Jeongjo’s reign as both ‘禘’ and ‘祫’ in the <Ilseongrok> and <Jeongjosillok>, it can be seen that King Jeongjo’s scholarly orientation and understanding are both clearly documented through these record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