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국내 의학자가 국내외에 발표한 의학논문현황에 대한 분석 : 2007년에 국한하여 = Analysis of Medical Article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by Korean Researchers in 2007
연구목적: 국내학자에 대한 평가가 SCI등재논문이 절대적 기준으로 작용하면서 국내학자들의 국외 학술지에 논문 투고량이 증가 하였다. 이러한 현상이 국내 학술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학자에 의해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의 분야별, 형식별 분류에 대한 비교와 함께 국내학술지에 게재되는 논문의 양적 질적 수준의 변화를 고찰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7년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분류를 위한 자료는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정보센터(MedRIC)의 한국의학논문데이터 베이스(KMbase)에 구축된 자료 13,066건, 외국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MESLINE에 구축된 자료 7,239건, 총 20,305건을 대상으로 KMbase의 논문분류기준에 따라 학술지의 제목 및 초록을 참고하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3단계로 분류하였으며 논문형식은 원저(original article), 종설(review article), 증례보고(case report), 기타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결과: 분야별분류에서 중분류수준의 경우 기초의학분야는 보건학을 제외하면 모두 국외학술지의 발표비율이 높았다. 임상의학의 경우 내과학 12.69%, 신경과학 4.88%, 방사선과학 4.47%, 이비인후과학 2.32%, 임상병리학 0.79%의 순으로 국내보다 국외학술지에 발표비율이 높았고, 그 외 분야의 경우는 국내학술지의 발표비율이 높았다. 논문형식은 각 학문 분야별로 원저, 증례보고 종설의 순서로 비율이 높다. 하지만 원저의 경우 국내 47.86%, 국외 93.87%, 증례보고는 국내 14.87%, 국외 5.56% 종설은 국내 4.78%, 국외 0.86%로 국내외 분포에 차이를 보였다.
결론: 연구결과 학문분야별로 국내외 발표논문은 각 학문영역의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므로 의학분야에서 각 분야의 업적을 평가하기위해서는 국외발표논문 뿐 아니라 국내발표논문도 평가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was aimed to describe the publication status of medical articl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medical article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by Koran researchers.
Materials and Method : A total of 13,066 articles in KMbase and 7,239 articles in MEDLINE published abroad by Korean researcher were analyzed. All data were made comparisons with research field, research type and type of recruited journals by numbers and proportions of article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Results : Biomedical research showed higher proportion of international publication than domestic publication. In the case of clinical medicine, the proportion of domestic publication was higher than international publication. However Neurology, Internal Medicine and Radiology showed higher proportion of international publication. In the article type, the proportion of original articles was higher in the international publication than domestic publication. Classification of recruited journal showed that KCI is 56.5%, SCI 16.7% at home while SCI 97.7% abroad.
Conclusion : They suggest that domestic publications were also considered as well as international publications to evaluate the academic achievements in medicin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