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동·서양 문화 극복 차원에서 살펴본 윤이상 음악의 정체성 = The Identity of Isang Yun’s Music in Cross-cultural Comparis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5-92(28쪽)
제공처
소장기관
윤이상 음악의 음악 철학을 간단히 살펴본 후, 중요 연구 자료들을 토대 로그의 음악이 동양 철학사상 즉, 한국 전통음악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는 사항을 그의 중요 작곡 기법 상에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동·서양의 융화를 추구하는 예술 행위 면에서 드뷔시 음악 특성을 윤이상의 음악과 비교해 봄으로써 그 두 작곡가의 작품 정체성을 동·서양 문화 극복 차원상에서 비교, 고찰해 보았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몇몇 동·서양 현대 음악 작곡가들의 작품 성향과 이 종 문화 극복 사항을 간단히 살펴봄으로써 윤이상 음악이 현대 음악 역사에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했는지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위 사항을 동·서양의 문화 결속 농도에 따라 작곡가들의 음악 정체성을 두 가지 이론으로 즉, -‘융화형’과 ‘복합형’- 윤이상의 음악 정체성과 비교 검토해 보았다. 더 나아가 작곡가들의 음악 정체성도 음악 사회학적으로 생각해 보았는데 이러한 고찰을 통해 한국 전통음악과 서양 현대음악의 결속이라는 차원에서의 작곡 미학상의 문제점과 남겨진 과제도 추출해 보고자 했다.
This work deals with questions of interculturality and cultural identity of an East Asian composer's, Isang Yun’s, music. Firstly, it focuses on the philosophy and thought of Isang Yun, in which it is trying to observe his technique and aesthetics of composition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and through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and authenticity in his compositions.
By comparing the music of French composer Claude Debussy to the one of Isang Yun, in the context of interculturality, one should try to view the cultural differences of Debussy's music and that of Yun’s through the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In the same way, contemplate a Chinese composer’s, Chou Wen-chung’s, and a Japanese composer’s, Toru Takemitsu’s, music as those of East Asian provenance.
Finally, it seems that these composers operate within the integration/ subjugation tension field, to result in a dominant discourse, and ultimately in hybridization, defined as a balanced coexistence of multiple discourses. This field of tension, moreover,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already mentioned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and authenticity. However, the scholarly comprehension of the western musical's acceptance of the eastern culture discloses a strong contrast. For this reason, culture must be viewed from both standpoints, “etic” and “emic”.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