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題畫詩에 나타난 동물 형상과 그 의미 = Animal Figure and Its Meaning in Painting Poetry
저자
구본현 (동덕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7-124(38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As for a human being, an animal was an antagonist and a rival at the same time and was an existence of giving a help sometimes and a companion, too. According to this, a human being has regarded an animal as a material of picture and literature from a very early age.
A fact as saying that animals of appearing in old picture and painting poetry are very diverse just impli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 human being and an animal is so complex. However, the animals that appear in picture and literature show common aspect in that they have a symbolic meaning given by a human being.
A symbolic meaning of animals, which appear in an old picture and painting poetry, is very various and has even a case that one animal has many symbols. Yet, it can be divided largely into a few categories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animals that became the object of fear and envy because of having more excellent physical capability than a human being. A tiger and a horse can be said to be the typical example. In the meantime, like a case of deer or crane, this was ever regarded as the object of respect by giving a lofty symbol to its ecological nature.
Like a cat or an oriole, there is also a case of having been embodied as the object that a human being loves owing to usefulness and beauty. Like a quail and a rabbit, there is even a case of having become the object of Gamgye[鑑戒, mirror and reproof] owing to its ecological characteristic.
A symbol that animals have is not what is fixed. For instance, a wild goose in an old picture and painting poetry not only implies the heart of yearning for family or hometown, but also indicates stupidness sometimes of failing to realize that a hunter draws near.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fully consider eve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as well as the context when analyzing a symbol of being possessed by animals in picture and literature.
인간에게 있어서 동물은 적대자인 동시에 경쟁자였고 때로는 도움을 주는 존재이자 반려자이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인간은 매우 이른 시기부터 동물을 그림과 문학의 소재로 삼아 왔다.
옛 그림과 제화시에 등장하는 동물들이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은 곧 인간과 동물 사이의 관계가 매우 복잡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림과 문학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인간에 의해 부여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는 점에서 공통된 면모를 보인다.
옛 그림과 제화시에 등장하는 동물들의 상징적 의미는 매우 다양하며 하나의 동물이 여러 가지의 상징을 지니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크게 보아 다음의 몇 가지 범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먼저 인간보다 뛰어난 육체적 능력을 지녀 두려움과 부러움의 대상이 된 동물들이 있다. 호랑이와 말이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사슴이나 학의 경우처럼 그 생태적 성품에 高潔한 상징을 부여하여 이를 존경의 대상으로 삼기도 하였다.
고양이나 꾀꼬리처럼 유용성과 아름다움으로 인간이 愛好하는 대상으로 형상화된 경우도 있으며 메추라기와 토끼처럼 그 생태적 특성으로 인하여 鑑戒의 대상이 된 경우도 있다.
동물들이 지니는 상징이 고정적인 것은 아니다. 예컨대 옛 그림과 제화시 속의 기러기는 가족이나 고향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의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사냥꾼이 다가오는 것을 알아채지 못하는 우둔함을 가리키기도 한다. 따라서 그림과 문학 속의 동물들이 지니는 상징을 해석할 때에는 전후의 문맥뿐만 아니라 역사문화적인 배경까지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6 | 0.746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