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미국사(美國史) 연구의 회고와 전망, 2015~2016: 미국사 연구의 음영(陰影) = Significant Changes and Recent Trends in the Historiography of American History in Korea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review essay traces a historiography of American history in Korea over the past two years (2015~2016) to examine its significant changes and recent trends and, in so doing, aims to put the studies of American history in Korea into perspective.
    In general, the field of medical history, slavery, and African-Americans as well as women’s and the twentieth-century political history rank among the liveliest subjects. The studies of race, immigration, city, education, culture, and diplomacy have been stable. However, the evolution of research on American religion, military, corporate, and capitalism has not taken the attention they deserve. The lack of interest in those subfield has been chronic because of the scarcity of the related researchers. In that those subfields might be on the total decline, historian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m and to find a solution for their revival.
    Considering the limited number of historians majoring American history in Korea, it goes too far in saying that the studies of American history are too scanty. Just for that reason, however, it is all the more important for the historians to make collective and self-conscious efforts for the well-balanced development of the studies of American history. We can no longer postpone making research plans that would be able to revive the declining subfields. The delicate job of designing the plan for the well-balanced research on American history remains to be done.

    더보기

    본 비평적 논문은 지난 2년간 한국에서 이루어진 미국사 관련 연구 성과물에 대한 추적·분석을 통해 미국사 연구의 변화와 새로운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그 전망에 대한 소견을 밝혀보고자 마련되었다. 2015년에서 2016년에 걸쳐 발표·출간된 총미국사 관련 연구논문들과 저서들은 총 90여 편에 달한다. 해당 연구들의 분석 결과, 시대별로 보자면 미국 내전 발발 이전 시기를 다룬 연구가 20편, 내전 이후부터 19세기말까지 다룬 연구가 12편, 그리고 20세기 미국사를 다룬 연구가 36편 정도로서 전체적으로 볼 때 내전 이전의 미국 초기 역사보다는 내전 이후의 미국사에 대해 연구가 한층 풍부하게 이루어졌다. 하지만 주제 면에서 보자면 노예제와 흑인사, 인종, 이민, 여성, 도시, 교육, 문화, 정치, 외교는 물론, 사상과 이론 및 의사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풍부한 연구가 이루어져 오히려 균형 있는 성장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미국사 연구 방향 및 성과들과 비교해 보자면 분석 시기 동안에 분명히 세부 분야별로 성장과 침체의 변화가 뚜렷하게 감지되었고 이러한 변화 가운데서도 꾸준히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연구 분야도 존재하고 있었다. 새로운 흐름 내지는 약진을 보여주었던 연구분야는 의사학과 노예제 및 흑인사, 여성사 그리고 현대정치 분야였으며 약간의 부침이 있을지언정 꾸준한 연구성과를 이루어내면서 이제는 미국사의 안정된 연구분야로 자리잡은 것들은 이민과 인종, 도시, 교육, 문화, 그리고 외교와 냉전 등이었다.
    지난 2년간 미국사 연구에서 극심한 침체의 모습을 보여주었던 분야들은 정치 부문의 대통령학과 지성 및 사상사, 종교사, 군사사, 지구사, 노동 및 경제사, 기업사, 자본주의사 그리고 법제사 및 헌정사였다. 이러한 분야들 중에는 관련 연구자들이 극히 부족해 만성적인 연구 부족의 현상을 드러나고 있는 분야도 있지만 후속 연구자들의 배출과 후속 연구 자체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해 향후 관련 연구의 생산 자체가 어려울지도 모른다는 위험을 안고 있는 분야도 존재한다는 점에서 미국사 학계의 한층 애정어린 관심과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한정된 연구자의 수와 척박한 연구 환경을 고려해 본다면 미국사 연구 발전의 음영을 운운하는 것은 지나친 감이 없지 않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미국사 연구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한 국내 미국사학계의 집단적이며 의도적인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연구 소외 분야를 되살리고 시의성과 역사성을 갖춘 주제를 키워낼 수 있는 학회 차원의 집단적이고 의식적인 기획 연구를 더 이상 미룰 일이 아니다. 미국사의 대중화라는 전통적 고민도 함께 공유하되 연구자들의 전문적 지식의 축적과 깊이 있는 문제의식 및 주제의식의 발굴을 위한 한층 근본적인 고민과 노력을 더욱 진지하게 해 나가야 할 시점이 아닌가 조심스럽게 제안해 본다.

    더보기
    • 1 이춘입, "휴이 뉴튼과 엘드리지 클리버: 블랙팬더당, 폭력과 비폭력 사이" 한국미국사학회 44 : 103-137, 2016
    • 2 한광택, "휘트먼의 민주주의, 개인주의, 코스모폴리타니즘"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183-204, 2016
    • 3 김남현, "현재적 역사와 연구영역의 다양화" 역사학회 (219) : 305-329, 2013
    • 4 송낙원, "현대 미국 엔터테인먼트 산업 트렌드 연구"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57-82, 2016
    • 5 이영효, "해방기 미국 흑인프리메이슨의 이념과 활동" 한국미국사학회 42 : 37-78, 2015
    • 6 하성호, "특집논문 : 왜 미국에는 국립대학이 없는가?" 한국서양사학회 (128) : 117-145, 2016
    • 7 김봉중, "탈냉전과 클린턴-깅그리치 대결" 한국미국사학회 44 : 139-170, 2016
    • 8 박진빈, "카트리나 재난이 알려주는 미국 도시의 현재 - 신자유주의, 인종, 그리고 환경문제" 한국서양사학회 (130) : 74-95, 2016
    • 9 권용립, "조지 워싱턴의 <고별사>:틈새약소국 외교철학의 텍스트" 한국미국사학회 44 : 171-214, 2016
    • 10 양홍석, "제1차대전기 미국의 채식주의운동과 국가의 역할" 강원사학회 27 : 2015
    • 11 김용성, "장애학의 관점에서 본 『소리와 분노』"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5-31, 2016
    • 12 허현, "인디애나주의 유괴방지법과 북부 초기 인신자유정치의 발전" 한국미국사학회 42 : 1-36, 2015
    • 13 차상철, "이승만과 하지 중장" 백년동안 2015
    • 14 김연진, "이민자 대행진, 2006: 이민자 권리 선언과 라티노의 정치적 정체성의 형성" 한국아메리카학회 47 (47): 59-88, 2015
    • 15 우인희, "이매뉴얼 월러스틴의 세계체제시각과 프란츠 파농" 한국미국사학회 41 : 75-107, 2015
    • 16 김봉중, "이만큼 가까운 미국" 창비 2016
    • 17 김정은, "워싱턴 행정부의 외교체제 확립과정: 워싱턴 장관회의를 중심으로" 호남사학회 (59) : 231-260, 2015
    • 18 김남균, "예비선거제로 가는 긴 여정:미국 대선 후보 지명제도의 변천" 한국아메리카학회 47 (47): 29-58, 2015
    • 19 김정욱, "영화 담다 그리다 비추다: 이민, 인종주의 그리고 다문화 사회" 에코리브르 2016
    • 20 허현, "연방헌법 수정조항 제14조와 反노예제적 내셔널리즘의 승리" 이화사학연구소 (50) : 457-490, 2015
    • 21 김정욱, "역사학 고전읽기 : 자유와 민주주의의 또 하나의 변주곡 - 허버트 크롤리(Herbert Croly)의 『미국인의 삶의 약속(The Promise of American Life)』" 한국서양사학회 (129) : 387-422, 2016
    • 22 양홍석, "역사가와 이론 (I)" 한국미국사학회 41 : 191-225, 2015
    • 23 김덕호, "여성, 가정 그리고 미국에서의 가정과학운동" 한국서양사학회 (127) : 107-137, 2015
    • 24 김정화, "엠마 골드만(1869-1940)과 ‘자유연애’라는 상상" 한국미국사학회 42 : 107-140, 2015
    • 25 이창신, "엘리노어 루즈벨트를 통해 본 20세기 ‘정치적 여성상’과 ‘감성 리더십’에 대한 연구"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111-138, 2016
    • 26 하성호, "알렉산더 해밀턴, 앨버트 갤러틴, 그리고 제1미국은행 지점의 확대" 한국미국사학회 44 : 1-28, 2016
    • 27 허현, "아프리카 식민운동의 이데올로기적 기원과 1830년대 정치적 노예제폐지반대론(Political Anti-Abolitionism)의 수용"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205-237, 2016
    • 28 박현숙, "신여성과 깁슨걸의 비교 분석" 한국서양사학회 (128) : 210-254, 2016
    • 29 김형곤, "신대륙의 역사를 훔친 영화의 인문학" 홍문각 2015
    • 30 최영진, "수정주의 웨스턴의 탈신화화 양상들—로버트 알트만의 <맥케이브와 밀러부인>을 중심으로"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123-145, 2016
    • 31 김정은, "서인도제도와 제이조약(The West Indies and Jay’s Treaty in 1794)" 한국미국사학회 43 : 41-80, 2016
    • 32 박진빈, "서양사 속 빈곤과 빈민: 연민과 통제를 넘어 사회적 연대로" 책과함께 2016
    • 33 이영효, "사료로 읽는 서양사 4: 계몽주의에서 산업혁명까지" 책과함께 2015
    • 34 하성호, "비평논문 : 미국남부의 노예제, 세계 자본주의, 그리고 노예제 팽창주의" 한국서양사학회 (125) : 178-205, 2015
    • 35 김정배, "베트남전쟁과 미소관계, 그리고 냉전체제" 한국미국사학회 42 : 233-260, 2015
    • 36 최정수, "미서전쟁과 미제국의 이념 만들기: 아메리카니즘 vs 브리티시즘" 한국서양사학회 (129) : 299-340, 2016
    • 37 권오신, "미국의 필리핀에 대한 식민교육 정책의 성격"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1) : 457-498, 2016
    • 38 김지원, "미국의 일본인 배척운동과 한인 사진신부의 이주, 1910∼1924" 한국미국사학회 44 : 289-318, 2016
    • 39 김연진, "미국의 인구조사, 통계정책지침 15, 그리고 ‘히스패닉/라티노’의 탄생"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75-103, 2016
    • 40 김호연, "미국의 우생학(eugenics)과 섹슈얼리티(sexuality) 관리, 1870년대-1910년대" 한국미국사학회 42 : 79-105, 2015
    • 41 김형곤, "미국의 역사를 훔친 영화의 인문학" 홍문각 2015
    • 42 오영인, "미국의 언어정책과 정체성 문제: 21세기 전환기 이중언어 교육을 둘러싼 담론적 각축" 한국미국사학회 41 : 151-190, 2015
    • 43 이춘입, "미국의 블랙파워운동과 제3세계: 블랙팬더당과 흑인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128) : 321-350, 2016
    • 44 홍종규, "미국영화산업의 시작: 키네토스코프와 키네토그래프" 한국미국사학회 42 : 141-172, 2015
    • 45 이주영, "미국사학계의 새로운 냉전사 연구" 역사문제연구소 (110) : 86-111, 2015
    • 46 황혜성, "미국사 연구 50년 -‘여전히 알아야 하는 나라,’ 미국-" 한국서양사학회 (95) : 373-403, 2007
    • 47 오영인, "미국 이민행정 관료주의의 역사적 기원: 전간기 이민국의 자율성 확대와 이민자들" 한국미국사학회 43 : 185-215, 2016
    • 48 김정욱, "미국 역사교과서 논쟁을 통해 본 교과서 발행제도의 문제: 한국의 역사교과서 논쟁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역사연구소 (84) : 225-260, 2015
    • 49 권은혜, "미국 서부 역사 서술 경향의 변화: 터너의 프론티어 논지에서 신서부사를 거쳐 접경지대 역사까지" 도시사학회 (14) : 251-273, 2015
    • 50 정태희, "미국 모릴관세법 제정과 영국 및 남부인의 관세론"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1) : 387-426, 2016
    • 51 김인선, "미국 노예제 시기 흑인여성노예에 대한 성적 착취: 흑인여성의 섹슈얼리티, 저항, 생존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미국사학회 41 : 1-35, 2015
    • 52 권은혜, "미국 내전 이후 인종 간 결혼 규제에 대한 법적 인식의 변화: 재건기 남부의 법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미국사학회 43 : 119-149, 2016
    • 53 신지혜, "미국 국경에서의 정신병: ‘정신이상 외국인(Alien Insane)’의 추방을 둘러싼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관계, 1891~1924" 한국미국사학회 43 : 151-183, 2016
    • 54 김선욱, "미국 개신교의 신앙과 정치 실천의 변화: 장로교와 침례교를 중심으로" 한국미국사학회 22 : 259-288, 2005
    • 55 김봉중, "먼로독트린의 변용: 파나마회의와 ‘명백한 운명’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미국사학회 43 : 81-117, 2016
    • 56 정문영, "매카시즘과 미국 텔레비전 저널리즘의 현대 정치 영화: <굿 나잇 앤 굿 럭>"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163-184, 2016
    • 57 박은진, "독립혁명기 미국 기독교의 시민종교화" 한국미국사학회 24 : 117-138, 2006
    • 58 김형곤, "독립전쟁기 뉴버그 쿠데타 음모 미수 사건과 조지 워싱턴" 한국서양문화사학회 (36) : 103-152, 2015
    • 59 박진빈, "도시로 보는 미국사: 아메리칸 시티, 혁신과 투쟁의 연대기" 책세상 2016
    • 60 황혜성, "다시 보는 부커 워싱턴과 윌리엄 두보이즈:흑인 신보수주의의 등장에 비추어 본 워싱턴 인종정책" 한국미국사학회 44 : 67-102, 2016
    • 61 김서형, "농경은 인간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을까?" 와이스쿨 2015
    • 62 허현, "노예제폐지운동세력의 독자적 정치세력화 논쟁 재고(再考): 개리슨주의 대(對) 정치적 노예제폐지론" 한국미국사학회 44 : 29-65, 2016
    • 63 김정배, "냉전과 제3세계 - 상호관계와 역사성 -" 한국서양문화사학회 (40) : 177-202, 2016
    • 64 이영효, "남북전쟁 이전 미국흑인들의 국외 이주운동" 한국미국사학회 44 : 247-287, 2016
    • 65 박진빈, "기획논문 : 미국 흑인과 제2차 세계대전의 유산" 한국서양사학회 (125) : 11-39, 2015
    • 66 이찬행, "기획논문 : 미국 우파에 대한 역사서술의 궤적" 한국서양사학회 (129) : 104-140, 2016
    • 67 권은혜, "근대 미국의 “불법 이민” 형성과 합법화의 대안 사이에서: 1920년대 이후 멕시코 이민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이주사학회 14 : 82-102, 2016
    • 68 권오신, "군사기지협정(MBA)에서 방문군협정(VFA)으로: 미국‒필리핀 군사관계의 변화(1945‒2014)" 한국미국사학회 41 : 109-149, 2015
    • 69 황혜성, "국립아메리카인디언박물관: 포스트식민박물관의 음영(陰影)" 한국미국사학회 43 : 217-252, 2016
    • 70 김정욱, "과거에서 길을 묻다 - 1964·1972 대선을 통해 본 2016 미 대선과 민중주의" 역사문제연구소 (117) : 10-38, 2016
    • 71 김진희, "공화주의적 가치와 임노동제는 양립할 수 있는가? ― 19세기 미국 노동자당과 노동기사단의 논의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51) : 157-182, 2015
    • 72 백준걸, "거리의 공동체: 호레이쇼 앨저의 『래기드 딕』에 나타난 사기적 자본주의와 공동체적 비전"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33-56, 2016
    • 73 김은형, "『주홍 글자』: 보수적인 화자와 급진적인 헤스터, 그리고 호손의 우울한 결론"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53-80, 2016
    • 74 공혜정, "“ If I Only Touch Her Cloak”: The Sisters of Charity of St. Joseph in New Orleans’ Charity Hospital, 1834-1860" 대한의사학회 24 (24): 241-283, 2015
    • 75 이경화, "‘자기신뢰’적 인간으로서의 허크 연구"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105-121, 2016
    • 76 김봉중, "‘역사의 몫’으로서의 미국사 연구" 역사학회 (227) : 325-343, 2015
    • 77 황혜성, "‘신문화사’의 변주곡(變奏曲): 여럿이서 하나로" 역사학회 (227) : 149-166, 2015
    • 78 김남균, "‘가족의 가치’와 1992년 미국대선:패배한 후보의 잊혀진 선거이슈 재고찰"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23-51, 2016
    • 79 이현주, "Smallpox, Numeric Data, and Calculating Risk in Colonial Boston, 1720s∼1750s" 한국미국사학회 44 : 215-246, 2016
    • 80 하성호, "Slavery and Fear: A Critical Assessment"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8) : 217-235, 2015
    • 81 이현주, "Public Health and the Emergence of New Clinical Settings for Smallpox Inoculation in Boston, 1753 to 1764" 한국미국사학회 43 : 1-40, 2016
    • 82 안지현, "Nick’s Retreat: Race and Genealogy in The Great Gatsby"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185-208, 2016
    • 83 김진웅, "NORMAL TRIBUTARY PRACTICE: THE NATURE OF KING KOJONG’S POLICY TOWARD THE UNITED STATES IN THE 1880s" 한국학연구원 19 (19): 267-299, 2016
    • 84 김인선, "68세대의 주역에서 여성 대통령 후보로 ―힐러리의 도전, 미국의 선택" 역사문제연구소 (117) : 66-92, 2016
    • 85 김서형, "21세기의 새로운 역사 서술, 지구사(Global History)" 문화사학회 (29) : 221-243, 2015
    • 86 정세권, "20세기 초 미국 의사들의 열대질병 연구와 상업적 후원: 리처드 피어슨 스트롱(1872-1948)을 중심으로" 한국미국사학회 42 : 199-231, 2015
    • 87 심인보, "20세기 초 미국 복지 자본주의: NCF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미국사학회 42 : 173-198, 2015
    • 88 권은혜, "20세기 초 “중국인 아내”가 된 한 백인 미국인 여성의 결혼 이야기" 문화사학회 (30) : 110-135, 2015
    • 89 서정건, "2016년 미국 선거와 통상 정책: 보호무역주의로 회귀?"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133-159, 2016
    • 90 김서형, "19세기의 유행성 콜레라와 미국사회 개혁운동" 대한의사학회 24 (24): 783-814, 2015
    • 91 윤조원, "19세기 미국흑인여성작가의 “비극적 뮬라타”: 피부색과 장르의 정치학" 한국아메리카학회 48 (48): 83-110, 2016
    • 92 이관수, "19세기 미국 기계 엔지니어들의 “민주주의”"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1) : 427-456, 2016
    • 93 김정욱, "19세기 말 미식축구와 계급경계의 유동성" 한국서양사학회 (127) : 138-171, 2015
    • 94 고동연, "1960년대 라우션버그와 로젠키스트의 ‘사회비판적인’ 팝아트" 한국미국사학회 41 : 37-73, 2015
    • 95 정태희, "1893년 대공황과 윌슨-고먼 관세법: 클리블랜드 대통령의 관세 개혁을 중심으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9) : 625-662,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5 1.505 0.51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