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불교적 상상력과 민중의식의 모색 ― 김성동의 『만다라』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09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3-135(23쪽)
제공처
1979년 발표된 김성동의 장편소설인 『만다라』는 불교적 상상력이 보여주는 민중지향적 특성과 사회비판적인 담론을 잘 드러낸 작품이다. 이 글의 문제의식은 『만다라』가 지닌 시대적인 현재성을 불교적 상상력과 민중의식의 접점이라는점에서 규명하는 데 있다. 우선 이 작품이 보여준 여러 차례의 개작 과정은 시대적 변화를 일정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최종 판본에서 처음의 결말로 돌아가는 과정은 속세와 이상의 구분에 얽매이지 않고 참된 수행으로 나아가는 구도소설의 확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본론에서는 불가의 전통적인 자전적 글쓰기의 양식과 이 작품이 보여주는 고전적인 근대성장소설의 플롯이 만나는 지점을 살펴보았다. 고난과 모험의 여정을 거쳐 깨달음에 이르는 불가의 자전 양식이 대중적 친화성을 보여주는 성장소설의 형식과 자연스럽게 섞이게 되는 부분을 주목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성장서사가 1970~80년대 사회적으로 부각된 민중불교의 담론들과 일정한 연관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역사적 현실의 변화에 따라 종교가 적극적인 사회참여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작품 속에도 인물들의 담론들을 통해 적극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불교계의 타락상을 비판하는 인물들의 직설적 발언은 이 작품이 지닌 민중적 신앙관의 특성을 드러낸다. 결론적으로 주인공이 추구하는 ‘깨달음의 구조’는 세속으로 돌아오는 결말을 낳는데, 이는 단순한 환속이 아니라 허무를 극복하려는 존재의 분투를 의미있게 보여준다. 깨달음을 추구하는 여정에서 보여주는 자아의 방황은 자연스럽게 당대 청년들이 보여주는 시대적 고민과 만나는 의미를 지닌다.
Kim Sung-dongs novel Mandala, released in 1979, is a work that exemplifies the people-oriented nature of the Buddhist imagination and its socially critical discourse.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present time of Mandala in that it is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Buddhist imagination and people consciousness. First of all, it is noted that the multiple revisions of this work consistently reflect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ending in the final version can be said to represent the expansion of the novel as it moves toward the truth without being bound b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undane and the ideal.
For this discussion, I examine the intersection of Buddhas traditional autobiographical writing style and the plot of the classic initiation novel. I note how Buddhas autobiographical style, which follows a journey of hardship and adventure to enlightenment, blends seamlessly with the form of the popular initiation story. Next,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growth narratives and the discourses of people Buddhism that emerged in the 1970s and 1980s. The argument that it should play a role of active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historical reality is actively expressed through the discourses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 The structure of enlightenment pursued by the protagonist in the work results in a return to the secular world, which is not a simple reincarnation but a meaningful demonstration of the struggle of existence to overcome emptines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