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동유럽의 체제전환-유럽통합 관계에 대한 연구
저자
윤덕희 (명지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85-212(28쪽)
KCI 피인용횟수
9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correlation and dynamism between two big process which overwhelmed Central and Eastern Europe(CEE) since 1989: system change and European integration. The era of system change/Europeanization in this area can be divided into 3 stages : (1) rupture with old system, (2) consolidation of system change, (3) access to Europe. From the analysis of these 3 stages we can draw some conclusions on the subject of this paper. First, in many of CEE states, integration to EU was considered the last step of ongoing process of system change. Second, the relationship of Eastern European candidate states with EU as well as their perspective of EU access have varied according to system change types ('Central European model' and 'Balkan model'). Third, European integration functioned as stimulus and dynamism of change inside CEE states, and as EU access became reality, their political, economic system tended to converge. Fourth, in spite of the convergence tendency, there was still diversity in system change track among CEE states which explains diverse positions toward European integration. There exists three types of positions: the realistic position of Czech Republic; Balkan's position which considers European integration the last resort of escape from the uncertain changing process; Poland's position in the middle of the two extremes.
더보기이 글의 목적은 1989년 혁명이후 유럽연합에 통합하기까지 중·동유럽국가들의 변화를 이끌어 온 체제전환과 유럽통합이라는 두 개의 큰 과정이 어떻게 상호 작용해왔는지 그 상관성과 역동성을 파악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동유럽의 체제전환/유럽화 시대를 두 과정의 진행 단계에 따라 (1)구체제와의 단절, (2)체제전환의 공고화/EU가입의 명시화, (3)유럽에의 진입 등의 세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중·동유럽의 많은 국가들에서 EU에의 통합은 진행되고 있는 체제변화 과정의 마지막 단계로 인식되었다. 둘째, 체제전환의 유형('중유럽형'과 '발칸형')에 따라 EU와의 관계 및 통합 전망이 구분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셋째, 유럽에의 통합은 모든 동유럽 국가들내에서 변화의 자극제이자 동력으로 작용하였으며 EU가입 전망이 가시화면서 이들 사이에 정치, 경제, 제도적 측면에서 일정한 수렴 현상이 일어났다. 넷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동유럽 국가들 사이에 체제전환 과정의 차별화 현상도 지속되었으며 이는 EU가입에 대한 다양한 입장을 낳았다. 즉, 현실주의적인 체코 및 헝가리의 입장과 EU가입을 절망에서 벗어나는 최후의 수단으로 여기는 발칸의 입장, 그리고 그 중간의 폴란드 입장이 존재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6-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국가전략외국어명 : National Strategy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6 | 0.711 | 0.2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