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리더십 교리의 변천과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Change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Army Leadership Doctrin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大田大學校 大學院 論文集(Journal of the Graduate School, Taejon Universit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7-114(28쪽)
제공처
소장기관
육군의 리더십 교범은 최초 1961년에 미군 교범을 번역 발간하여 사용한 이래 지금까지
7차례 개정되었다. 이 기간 중 교리는 크게 3차례 변화하였는데, 곧 ‘통솔(1961∼1989)’,
‘지휘통솔(1990∼2010)’, ‘군 리더십(2011∼현재)’이다. 그런데 2011년 11월 23일부로 발간
된 현『군 리더십』교범은, 육군이 지금도 사용하고 있는 ‘지휘’, ‘지휘관’ 등에 대한 용어 정
의가 없고, 육군의 정체성이 살아있는 교리라고 하기에는 ‘군 리더십’이라는 용어와 개념을
너무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하고 있어, 육군의 제 리더십 현상을 온전히 설명하고 그 전망을
밝히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본고는 육군 리더십 교리의 보완 및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최초 교범과 교범의
명칭까지 변경되어 교리적으로 큰 변화가 있었던 시점의 3개 교범, 총 4개의 교범을 중점으
로 교리의 주요 개념과 구성요소의 변천에 대하여 문헌을 고찰하였다.
본고의 고찰 결과 육군의 리더십 교리는 최초 교범 당시의 수준에서 더 이상 발전하지 못
하였다. 주원인은 용어의 정의와 개념 관계를 교리에 맞게 정립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일
반적 용어를 이론적 용어로 도입할 경우 그 개념을 이론에 맞게 용어 정의하여 사용해야 한
다. 그런데 ‘지휘통솔’ 교리는 ‘지휘’라는 용어를 ‘통솔’과 대비되는 속성과 위상으로 정의하
지 못하여 ‘지휘통솔’을 ‘통솔’의 소개념인 것처럼 교리를 전개함으로써 ‘지휘통솔’다운 교리
를 정립하지 못하였다. 현 ‘군 리더십’ 교리도 ‘군 리더십’이라는 용어를 정의하고 있으나 그
에 따라 교리를 전개하고 있지 않으며, ‘리더십 수준’의 세 하위분류에 각각 ‘행동적/통합적/
전략적 리더십’이라는 상위 개념의 명칭을 부여하고 마치 고유한 ‘리더십 유형’인 것처럼 교
리를 전개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에 육군 리더십 교리의 발전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육군 리더십 교리로서의 정
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둘째, 용어에 대한 정의와 개념 관계를 명확히 정립하고 이전 교리뿐
만 아니라 현 교리의 가치와 문제점을 정확하게 인식해야 한다. 셋째, 육군이 기대하는 리더
의 역량 그리고 이를 적용하고 개발하기 위한 리더십 속성과 관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넷
째, 군대 조직답게 전시(전장)에 관련한 리더십 교리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 다섯째, 리더십
지표를 효과성 있게 설정하고 환류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아울러 육군 리더십 센터를 교육에
서 연구 중심의 조직으로 전환해야 한다.
Since the first army leadership doctrine was introduced in 1961 as a result of
translation of US Army doctrine, it has been revised 7 times. The core concept was
changed 3 times, namely ‘Leadership (1961∼1989)’, ‘Command & Leadership (1990∼
2010)’ and ‘Military Leadership (2011∼ )’. However, Field Manual『Military Leadershi
p』published on the 23rd of November 2011 does not contain definition on ‘command’,
‘commander’ and etc. Furthermore, the FM defines three subordinate concept of
‘leadership level’ into ‘○○ leadership’ and describes it as if it is one of the
‘leadership types’. Therefore, it can not be said that the manual fully explain the
status of army leadership and bring the road-ahead to light.
In order to update 'Military Leadership' doctrine and to seek for future development,
this paper sheds light into 4 different manuals out of 8 manuals that have been
published so far, especially those made dramatic change in its core concept and main
components.
The paper has found that the army leadership doctrine did not further develop from
its initial doctrine. The main problem was because the level of terminologies was low.
When it comes to change in terminology from its general one to theoretical one, the
concept on its vocabularies should be defined. But the FM ‘Command & Leadership’
did not define the doctrinal concept of ‘command’ and could not set the conceptual
relationship between ‘Command’ and ‘Leadership’. That is why it failed to fully portray
the doctrine of ‘Command & Leadership’ both in nominal and virtual manner. The FM
‘Military Leadership’ may define the concept of ‘leadership’ but it does not describe
the doctrine in accordance with that. In fact, its definition is general meaning, so it is
hard to say that the manual has fully demonstrated the identity of the army.
Based on the study, the paper sought to develop army leadership manual as below.
First, while enhancing the level of terminology usage, it should exactly recognize the
value and problem of present and previous manual. Second, it should establish the identity of Army Leadership Doctrine. Third, it should make clear the view of army
with regard to leader‘s competency and core attribute in leadership. Fourth, it should
heighten the status of wartime leadership as military organization. Fifth, it should set
the indicator of effectiveness in leadership and build the framework for its practical
use. Additionally, Army Leadership Center should be reorganized into research centric
group.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