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소통의 시대에 생각하는 불통(不通)의 사회학 = 니클라스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개념, 그 사회이론적 함의에 대한 시론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3-110(38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우리사회의 화두 중 하나는 소통이다. 다른 말로 그것은 우리가 ‘불통’이라는 ‘문제’ 때문에 머리를 싸매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런 상황 이해 속에서 본 논문은 니클라스루만 이론 전체를 끌어가는 방법론적 도구이자 핵심적 개념인 커뮤니케이션 의사회 이론적, 나아가 실천적 함의를 시론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 글의 핵심적인 주장은 그의 커뮤니케이션 개념이 우리 시대의 소통 문제를 논의하는데 있어 탁월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를 관찰하고 분석하는 방식자체를 바꿔 놓는다는 점에서 혁신적인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개념은 본래적으로 사회적인 것인데 각각의 체계가 서로에게 블랙박스인 조건하에서 발생한다. 커뮤니케이션은 계속 재생산됨으로써 체계를 유지하고 구성 하지만, 그것은 이해나 합의를 전제로도 목적으로도 하지 않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각기서로 다른 자기 재생산적 원리로 작동하는 체계 간 ‘불통’은 그의 이론적 입장에서는 지극히 ‘정상적인 것’으로 이해될 가능성을 획득한다. 나아가 진화론적으로 성취된 ‘성공적 소통’이라는 상태가 역설적으로 얼마나 대단한 인류문명사적 성취인지 인지하게 된다.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개념을 통해 우리는 체계 간 소통/불통을 해결되어야만 하는 사회문제로 인식하는 것을 넘어 각각의 체계에서 서로 다른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관찰되고 기술되는지를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시각을 얻게 된다. 그의 시선을 따라가 보면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속에서 사회를 지탱시키는 것은 합의의 생성이 아니라(이런 점에서 그의 이론은 하버마스식 비판이론에 대한 비판으로 읽을 수 있다).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자체이며, 그 속에서 지속적으로 생산되는 차이를 견딜 수 있는 힘이다.
더보기One of central topics in our society is communication. Failure to communicate is its big problem. In this context analyzes this pape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meaning of Kommunication, the key theoretical concept of Niklas Luhmann.
The central argument of this paper is showing the usefulness of Luhmann’s Kommunikation. The concept of Kommunikation in Luhmann’s theory is creative, and this concept reverses the method of observation and analysis of society fundamentally. Luhmann’s Kommunikation, which is genuinely social, is produced on and on and through that consists and sustains the social system. However, it does not assume or purpose neither understanding nor agreement. Failure to communicate between social systems, which are closed operationally, is in Luhmann’s theory simply normal. Presumption of “successful communication” is defined as a highly important achievement evolutionarily. With Luhmann we can get a new perspective on how Kommunikation is observed and described in society. We can also understand why it is important for power to endure difference rather than to aim for agreemen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7 | 0.97 | 1.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2 | 1.07 | 2.101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