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으로 토착화된 교회 개척 형태의 변화에 관한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232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33(28쪽)
제공처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토착화된 개척 형태의 변천과 시대적 변화에 따른 한국교회의 개척 형태의 변화를 고찰하는 연구이다. 한국 초기의 교회는 서구 선교사들에 의해 개척되었으며, 당시 교회의 형태는 복음 전파를 위한 전략적 변화를 반영했었다. 그러나 한국 사회가 경제 발전과 도시화를 경험함에 따라, 교회의 개척 형태는 지역 사회와 수용자들의 필요에 맞추어 조정되었으며, 이는 한국교회의 토착화된 모습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산업화와 도시화의 성장 속에서 교회는 건물을 임대하거나 구매하는 방식으로 시작하여, 교회가 성장함에 따라 도시의 종교 부지에 건축하는 형태로 발전해 나갔다. 이러한 개척 형태는 한국교회에서 성공적인 형태로 인식되었으며, 많은 교회가 이 형태를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구책은 교회 간 과도한 경쟁을 촉발시켰으며, 교회 성장에 대한 프로그램 및 방법들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서구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된 교회 성장 전략들이 한국에 소개되었고, 이는 서구 선교 신학과 함께 한국교회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회 성장 중심의 개척 패턴은 양극화, 개교회주의, 그리고 교회 성장 프로그램에 의존하는 경향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려는 선교적 교회 운동이 등장하였으나, 이러한 운동 역시 본질 보다는 다양한 개척 형태에 집중하면서 카페 교회, 도서관 교회, 공연장 교회 등의 형태로 변모하였다. 최근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교회는 생존의 갈림길에 서 있으며, 교회의 유지와 생존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개척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앞으로의 교회 개척이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지에 대한 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네 가지 변화를 중심으로 논문을 전개한다: 1) 초기 선교사들의 영향에 따른 교회 형태의 변화, 2) 급속한 성장 시대 속에 한국교회 개척 형태의 변화, 3) 급속한 성장 시대 속에 한국교회 개척 형태의 변화, 4) 교회 침체기에 따른 개척 형태의 변화. 이 네 가지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교회의 개척 형태의 변화에 중요 한 밑거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보기This paper examines the evolution of the indigenous pioneering form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changes in Korea over time. This is a study that examines changes in the current status of church pioneering. Early Korean churches were Western missionaries.
It was pioneered by Christians, and the form of the church at the time was a strategic change for spreading the gospel. was reflected. However, as Korean society experiences economic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The form of church planting was adapted to the needs of the community and recipients, and these has become an indigenous aspect of the Korean church.
Especially amidst the growth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churches rent or purchase buildings. It started as a church, and as the church grew, it developed into a form of building on religious sites in the city. went out This form of pioneering was recognized as a successful form in the Korean church, and many Churches are pursuing this form. However, these self-rescue measures lead to excessive competition between churches. This sparked the process, and programs and methods for church growth began to be introduced. this In the process, church growth strategies successfully applied in Western society were introduced to Korea. This, along with Western missionary theolog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However, this church growth-centered pioneering pattern leads to polarization, individual churchism, and church growth. This resulted in a tendency to rely on annual growth programs. Amid these changes, the church A missionary church movement that sought to restore the essence emerged, but this movement also Rather, focusing on various forms of pioneering, such as cafe churches, library churches, and performance hall churches, etc. transformed into a shape.
After the recent coronavirus pandemic, Korean churches are at a crossroads of survival, A new form of pioneering for survival became necessary. Accordingly, this paper We seek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re church planting should focus. To this end, the paper is developed focusing on four changes: 1) Due to the influence of early missionaries Changes in the form of churches, 2) Changes
in the form of Korean church planting in an era of rapid growth, 3) Pioneering Korean churches in an era of rapid growth Change in form, 4) Change in form of pioneering due to church stagnation. By analyzing these four changes, this paper is important for future changes in the form of pioneering of Korean churches. We want to provide a found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