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日本語の二重母音について- 二重母音に関する音声的な判断基準 - = On Diphthongs in Japanese : Phonetic Criteria for the Definition of Dipthong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3-275(23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는 현대 일본어에서 최적의 이중모음이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이중모음의 종류와 그 판단기준에 대해서 개관하였다. 그 중에서 Kubozono(2001, 2008, 2015)와 窪薗(2016)는 일본어의 이중모음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로 단일형태소란 형태론적 판단기준과 공명도 하강과 악센트핵 부여라는 음운록적 판단기준을 제시하였고, ‘보다 좋은 음절핵 가설’'을 통하여 어떤 조합의 모음연쇄가 이중모음으로 합리적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판단기준과 음절핵 가설에 대한 재검토를 통하여 이에 문제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보다 좋은 음절핵 가설’은 粕谷ほか(1968)에서 제시한 F1을 기준으로 설정된 공명도 계층을 가지고 논의한 것으로 두 모음의 공명도 차이가 클수록 더 좋은 음절핵이 된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하여 /ai/는 이중모음이지만 /aЩ/는 이중모음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지만, 이 가설에 의하면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이중모음으로 인정받은 /oi/와 /Щi/도 이중모음이 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설의 대안으로서 분산이론(Lindblom 1986, Flemming 2004, Minkova and Stockwell 2003, 박선우 2007, Peterson 2016, 2018)에 기반한 청각적 거리라는 음성적 기준을 이중모음을 규정하는 음성적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F1과 F2에 바탕으로 둔 두 모음의 유클리드거리를 산출하여 ‘일반적으로 /oi/, /ai/, /Щi/는 일본어의 이중모음으로 인정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ae/도 이중모음으로 인정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what is the optimal diphthongs in modern Japanese. We reviewed the inventories of diphthongs which are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Among them, Kubozono(2001, 2008, 2015) and Kubozono (2016) are full-scale discussions on diphthongs in Japanese, presenting one morphological and two phonological criteria that are recognized as diphthongs, monomorphemic and falling sonority, accentuation to head mora. And Kubozono (2008, 2015) propose a Better nucleus hypothesis to explain what the optimal diphthongs are. However, We reexamined three criteria and the better syllable nucleus hypothesis and found some problems. In particular, the better syllable nucleus hypothesis is based on the sonority scale based from F1 presented by Kasuya et al.(1968), and the larger of the difference in the sonority of two vowels, the better as the syllable nucleus. This hypothesis explains that /ai/ is better diphthong but /aЩ/ is not a diphthong.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oi/ and /Щi/, which are recognized as a diphthong in many previous studies, are no longer a diphthong based on this hypothesis.
As an alternative, we present the auditory distance of the two vowels based on Dispersion Theory(Lindblom 1986, Flemming 2004, Minkova and Stockwell 2003, Park 2007, Peterson 2016, 2018) and calculate the Euclidean distance of the two vowels and conclude that /oi/, /ai/ and /Щi/ are generally recognized as diphthongs in Japanese, and /ae/ is also accepted as a dipthong in some case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4-09-0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apanese Studies -> Journal of Japanese Studies | KCI등재 |
2014-01-2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apanese Studies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8-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외국학종합연구센터일본연구소 -> 일본연구소영문명 :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CENTER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HUFS ->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3 | 0.742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