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 관한 일고찰 -경계확정에 수반되는 제문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35-468(34쪽)
KCI 피인용횟수
9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From 1913 to 1918, the land survey project was conducted with Tokyo Datum as the surveying origin. However, since then, due to incorrect cadastral data caused by loss of surveying control points, stretch, wear and damage of paper cadastral maps and unlisted national lands on the cadastral records, disputes between owners for lands have frequently been occurred and the social and economic costs such as delay of land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increasing. Above all, existing cadastral maps based on the graphical boundaries established by poor graphical surveying could be used controlling references for cadastrally discrepant lands afterhand, but for they could not be used to proactively cope with situations that cadastrally discrepant lands are generated, they are limited on fundamental prevention of legal dispute possibilities. Therefore, desperately needed is renovation of cadastre that re-registers lands to cadastral records by nationwide cadastral resurvey. To cope with such needs, on September 16th, 2011,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was enacted and promulgated for implementation basis and procedures of cadastral resurvey project to correct inconsistent cadastral records with actual states of lands. However, for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was prepared based on public act studies, it handles judicial rights carelessly, and it tends to emphasis on administrative law efficiency rather than protection of the rights of the individual. Under current status that the legislation system for judicial rights is not organized, it is hard to avoid legal disputes around legal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individual due to deficiency of the legis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ⅰ) if the actual land state is not coincident with the boundary on the cadastral record, the cadastral competent office shall establish the boundary based on agreement between land owners, actual boundary and boundary relocation surveying, ⅱ) accordingly, shall conduct renovation surveying of cadastre and prepare the cadastral confirmation report, and ⅲ) shall determine the boundary by the resolution of the boundary determination council based on such data. However, if the determined boundary does not correspond with actual rights, above mentioned boundary cannot be determined. If land owners or stakeholders appeals to the cadastral competent office or file an administrative adjudication or litigation against the decision of the boundary determination council, the land has to be remained as so called the boundary undetermined land. As the land unit of the land owner who objects to the decision of the boundary determination council is excluded from the project target lands, it may create conflict between the registration book based on new cadastral record and that based on existing cadastral record and the boundary dispute will occur in the form of ownership verification lawsuit in the future. Other than that, it is expected that the land owners dissatisfied with established boundaries will object by various suit claims such as boundary confirmation suits, ownership verification suits and acquisitive prescription claims. In this paper, noticing that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does not clearly stipulate on whether there is change in the real right for the ownership scope of adjacent lands and legislative relationship for specie collection and payment, it is attempted to seek verification on its legislative relationship. It is considered that such attempt will be relevant to resolutions in the boundary disputes in the futur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4-10-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ongik law review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59 | 0.693 | 0.4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