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사회적 네트워크, 사회참여, 사회적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 Focusing on Social Network,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Adaptation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사회에 정착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그동안 가정이란 테두리 안에서 며느리로서, 배우자로서, 한국인 자녀의 어머니로서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과정에서 커다란 관심거리가 되었고, 또한 정책적으로 많은 지원과 서비스를 제공 받았다. 하지만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결혼 후 의사소통의 어려움, 문화적 격차로 인한 사회적 소외,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자녀의 학습부진, 사회적 편견, 가정폭력과 불화 등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드러나고 있다.
      한국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한국사회 적응에 있어서 외국인이며, 여성이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결혼을 통해 국내로 이주한 외국인 여성들로써 한국사회에 정착을 하려는 목적으로 왔으며, 현재의 생활환경도 사회적·문화적·경제적으로도 매우 취약하다. 특히 국제결혼 이주의 역사가 짧은 대한민국 사회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급격한 증가는 사회․복지․행정적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형태의 구조적인 변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영향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서 사회적 적응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므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은 다양한 측면에서부터 세밀하게 살펴보아야 한다. 여기서 사회적응이란 여성결혼이민자 개인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환경은 인적관계와 사회활동 등을 통해 정의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관계, 가족관계, 이웃관계 등을 말하며, 또한 여성결혼이민자가 생활하고 있는 지역사회에서의 경제·사회활동 및 자조집단의 참여여부 등이 본 연구에서 조작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사회적응의 핵심적 개념이며, 이에 따른 사회적응에 대한 하위체계로 사회 내 여성결혼이민자가 경제, 정치, 사회, 정책, 가정적으로 적응의 실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대한민국에 이주한 이주민들 중 ‘여성결혼이민자’이며 여성결혼이민자가 새로운 이주국인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거주지역, 출신국적, 나이, 교육수준, 혼인상태, 거주기간 등의 특성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참여, 사회적응의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우리나라의 이민정책과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를 비교 분석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이와 관련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조사와 관련하여 사회적 네트워크는 주로 선진국 여성결혼이민자가 사회적 관계망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 상황이 어려운 나라에 대한 정보통신부의 정보화 교육이나 온라인 정보화 교육의 확대와 고용노동부의 여성결혼이민자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으로 경제적 어려움에서 벗어나 사회적 네트워크의 형성에 기여해야한다고 판단된다.
      학력별로는 고학력자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사회적, 경제적 안정 및 사회적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수준의 향상을 위해 경제, 문화, 사회, 정치등 사회의 포괄적이고 전반적인 사회화 교육과 각 지역사회의 특성을 활용한 지방자치단체의 특성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담당하고 책임질 교육 전문인력의 활성화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연령별로는 젊은 세대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적 활동이 활발한 시기로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회적 관계망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령층의 사회적 네트워크의 개발과 활성화를 위해서 지역사회복지시설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동체형성 프로그램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의 종용이 필요하며, 또한 지방자치단체별로 취미교실, 운동 및 레크레이션 등의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사회적 참여부문은 모국인 친구 모임에 비해 지역주민모임이나 민간단체모임 등은 전체적으로 참여도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연령도 중장년층이 주를 이루었으며, 거주기간도 오래된 순으로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이주기간이 짧고, 젊은층의 여성결혼이민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역사회에 잘 정착하여 오랜 시간 지역주민과의 화합과 친분이 형성 되었다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회적 참여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연령이 적거나 이주기간이 짧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조사를 거쳐 그들이 받을 수 있는 기존의 지역적 프로그램을 홍보하고 장려하여 참여를 유도함과 동시에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도 모색한다면,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참여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회적 적응부문은 먼저 경제적으로 60%이상이 경제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혼·별거, 미혼이 70%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배우자가 없는 이민자가 상대적으로 많이 경제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생활주기의 변화로 인한 가족 증가나 체류기간 증가 및 이민자의 증가 등으로 인해 향후 취업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의 현재 상황과 미래 예측을 고려했을 때 취업촉진을 위한 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여성결혼이민자의 모자 또는 모녀가정의 경제적 생활과 자립을 위해 기존의 여성결혼이민자 취업지원프로그램에서 조금 더 심도 있는 새로운 지원 프로그램을 모색해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생각된다.
      정치적으로는 2%대의 매우 저조한 참여도가 나왔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사회적 관심도가 높았으며 그에 따른 정치적 참여도가 나타났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여성결혼이민자 60%가 경제생활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당이나, 노동조합의 참여는 외국인 이민자로써 불가능하게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기본적인 생활권이 보장되어야 사회와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되므로 경제적 자립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책적 부문에서는 주민센터를 제외하고 정부지원센터, 고용센터, 사회복지관, 건강가정지원센터 등 높은 이용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최초 이주시 법무부에서의 교육을 통한 홍보 효과와 거주지역내 지방자치단체에서의 관심과 노력으로 보여 진다. 반면 사회적 부문은 55% 이상이 긍정적인 답변을 했고, 선진국과, 고학력을 가진 여성결혼이민자에게서 긍정적인 답변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적 부문에서도 67%가 배우자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했으며 앞선 결론과 마찬가지로 선진국과 고학력일수록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와 이민자 모국간의 사회적 발달의 차이와 경제적 수준의 차이로 인해 사회와 가정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여 진다.
      마지막으로 공공기관의 확대 및 접근성과 수용성이 용이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행정구역상 ‘동’단위의 작은 마을에도 보다 적극적인 네트워크의 구축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한국사회 및 문화교육의 참여의 기회를 확대하여 보다 빠른 한국 사회로의 적응을 꾀할 필요가 있다.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해 그들만의 특수성을 인정하고, 다양성과 차이에 대한 수용과 사회적 공존의 모색 및 정책변화의 노력을 통해 다문화모형으로의 발전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사회의 적응을 넘어서 갈등이 없는 조화로운 사회로, 사회의 통합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 이라고 판단된다.

      더보기
      • Ⅰ. 서론 1
      • 1.1 연구의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 Ⅱ. 이론적 배경 6
      • 2.1 여성결혼이민자의 제도적 고찰 6
      • 2.1.1 여성결혼이민자 6
      • 2.1.2 여성결혼이민자 현황 7
      • 2.1.3 다문화 지원정책의 변화 13
      • 2.1.4 여성결혼이민자 지원정책 현황 20
      • 2.1.5 여성결혼이민자 지원정책 23
      • 2.2 사회적 네트워크 28
      • 2.2.1 사회적 네트워크의 개념 28
      • 2.2.2 사회적 네트워크의 중요성 32
      • 2.2.3 사회적 네트워크의 유형 34
      • 2.2.4 사회적 네트워크의 효과 37
      • 2.2.5 선행연구 38
      • 2.3 사회 참여 48
      • 2.3.1 사회참여의 개념 48
      • 2.3.2 사회참여의 중요성 49
      • 2.3.3 사회참여의 유형 51
      • 2.3.4 사회참여의 효과 53
      • 2.3.5 선행연구 55
      • 2.4 사회 적응 61
      • 2.4.1 사회적응의 개념 61
      • 2.4.2 사회적응의 중요성 63
      • 2.4.3 사회적응의 유형 66
      • 2.4.4 사회적응의 효과 71
      • 2.4.5 선행연구 73
      • Ⅲ. 분석방법 81
      • 3.1 분석틀 81
      • 3.2 변수의 측정 83
      • 3.2.1 인구통계학적 특성 83
      • 3.2.2 사회적 네트워크 83
      • 3.2.3 사회적 참여 84
      • 3.2.4 사회적 적응 85
      • 3.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87
      • Ⅳ. 분석결과 90
      • 4.1 응답자 특성 90
      • 4.2 사회적 네트워크 실태 92
      • 4.2.1 일상적 상담 상대 존재유무 92
      • 4.2.2 경제적 상담 상대 존재유무 94
      • 4.2.3 여가활동 상대 존재유무 96
      • 4.2.4 사회적 도움 제공자 존재유무 98
      • 4.2.5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 100
      • 4.3 사회적 참여 실태 103
      • 4.3.1 모국인 친구 활동 103
      • 4.3.2 지역 주민 활동 105
      • 4.3.3 종교 활동 107
      • 4.3.4 민간단체 활동 109
      • 4.3.5 사회적 참여 분석 111
      • 4.4 사회적 적응 실태 113
      • 4.4.1 경제적 적응 113
      • 4.4.2 정치적 적응 115
      • 4.4.3 사회적 적응 117
      • 4.4.4 정책적 적응 123
      • 4.4.5 가정적 적응 139
      • 4.5 주요 변수간의 관계 분석 144
      • 4.5.1 경제적 적응 144
      • 4.5.2 정치적 적응 145
      • 4.5.3 사회적 적응 146
      • 4.5.4 정책적 적응 147
      • 4.5.5 가정적 적응 147
      • Ⅴ. 결론 149
      • 5.1 요약 149
      • 5.2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57
      • 5.3 연구의 한계 161
      • 참고문헌 162
      • <부록> 2015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설문지 189
      • ABSTRACT 209
      더보기
      • 1 김포시청, "http://www", gimpo.go.kr, null
      • 2 두산백과, "http://www", doopedia.co.kr, null
      • 3 박용관, "『네트워크론』", 커뮤티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 북스, 1999
      • 4 한원택, "『지방행정론』", 범론사, 서울 : 법문사, 1996
      • 5 손동원,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서울. 경문사, 2005
      • 6 박용관, "네트워크 조직론 서설",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 집』, 1997
      • 7 신광영,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을유문화사, 을유문화사, 2004
      • 8 박상필, "NGO와 정부 그리고 정책",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008
      • 9 김창욱, 채승병, 윤영수, "『이머전트 코퍼레이션』", 삼성경제연구소, 삼성경제연구소. 단 행본, 2009
      • 10 이선미, "시민참여로서의 자원활동", 『시민사회와 NGO』, 111-143, 2003
      • 11 윤주명, "행정의 대응성과 시민참여",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Conference』, Vol.2000 No.6. 69-97. 한국행정학회, 2000
      • 12 김성문(Seong-Moon Kim), "다문화인문학의 문학적 실천",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다문화콘텐츠연구』, Vol.19, 2015
      • 13 김한성, 이유신, "결혼이주 여성의 삶의 만족도",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47(2), 177-209, 2013
      • 14 정의철, "다문화사회와 이주민의 정체성", 『국제비교한국학회』, Vol.19 No.1, 2011
      • 15 전형권, "국제이주에 대한 이론적 재검토", 한국동북아학회, 『한국동북아논총』, 제49 집, 2008
      • 16 윤인진, "탈북과 사회적응의 통합적 이해",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현대북한연구』, 3(2), 2000
      • 17 정복동, "한국의 다문화정책 변화와 과제", 『한국사회공헌학회지』, Vol.3 No.2, 2016
      • 18 강민희, "장애인의 사회 및 여가활용 실태", 『보건복지포럼』, 153(7), 25-36, 2009
      • 19 양승함, "참여를 통한 보훈정책 발전 방안", 한국보훈학회, 『한국보훈학회 학술대회 지』, Vol.1 181-199, 2005
      • 20 임채완, "『재외한인과 글로벌 네트워크』", 한울아카데미, 한울아카데미, 2006
      • 21 손은하, "다문화사회에서 이주민의 타자화", 『다문화와 평화』, Vol.7 No.1, 2013
      • 22 이금순, "여성이주자의 사회적응과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아시아여성연구』, Vol.45 No.1, 2006
      • 23 이준영, "사회복지 네트워크의 이론과 과제", 『춘계 학술대회 및 워크숍 자료집』, 3-34. 한국사회복지행정학 회, 2007
      • 24 정기선, 한지은,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한국인구학회, 『한국인구학』, Vol.32 No.2, 2009
      • 25 김유경, "다문화가족의 변화전망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Vol.175, 2011
      • 26 김유경, "다문화가족의 복지욕구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Vol.165, 2010
      • 27 정흥모(Jeong, Heung-Mo), "다문화주의의 보편적 정치윤리논쟁",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문화와 정치』, Vol.1 No.1, 2014
      • 28 김남수, "지방행정변화와 시민참여 발전모색",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국가정책연구』, Vol.17 No.1, 2003
      • 29 윤석상, "「사회적 자본과 다문화 사회구축」", 글로벌교육연구학회, 『글로벌교육연구』, Vol.3 No.1, 2011
      • 30 박주문, "노인 자원봉사조직 참여의 결정요인",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지방자치학회 보』, 11(2), 245-261, 1999
      • 31 김병록, "사회자본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학회, 『지역사회연구』, 19(1), 1-19, 2011
      • 32 박자경,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장애와 고용』, Vol.18 No.1, 2008
      • 33 이소정(So-Chung Lee),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참여 유형분석", 한국인구학회, 『한국인구학』, 32(1), 71-91, 2009
      • 34 사재명, "정책과정에서 시민참여 활성화 방안", 강원행정학회, 『한국행정과 정책연 구』, Vol.4 No.1, 2006
      • 35 강근복, "참여정책분석의 개념적 특성과 과정",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Vol.11 No.3, 2007
      • 36 김성건, "한국교회의 정치참여 사회학적 고찰", 한국사회학회, 『사회 학대회 논문집』, Vol.2009 No.1. 한국사회학회, 2009
      • 37 정정화(Jeong, Jeonghwa), 남재걸(Nam, Jaegeol), 은재호(Eun, Jacho), "한국행정의 주민참여 정책과정 연구", 서울행정학회, 『한 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4, 2014
      • 38 김문조, "『사회망 분석의 기본원리 및 절차』", 사회구조와 사회사상. 심설당, 501-504, 1987
      • 39 김행열, "한국의 다문화정책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한 국동북아논총』, 68권, 115-136. 한국동북아학회, 2013
      • 40 유정숙,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원봉사 경험』",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 41 한상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지역공동체 참여", 『국제지역연구』, Vol.15 No.1, 2006
      • 42 최준호, "행정대응성과 주민참여의 관계 재정립", 대한지방자치학회, 『한국지방자치연 구』, Vol.15 No.1, 2013
      • 43 김판준, "다문화사회의 갈등과 기여에 관한 고찰",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현대사회와 다문 화. Vol.3 No.2, 2013
      • 44 이우권, "시민 참여민주주의와 CGM의 적용 가능성",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Vol.2001. 137-152. 한국정책학회, 2001
      • 45 변지영, 이재석, "국민의 사법행정 참여 방안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사법정 책연구원 연구총서』, Vol.2015, 2015
      • 46 서진완, "지역정보네트워크와 정보공동체의 실현",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Vol.10 No.4, 2001
      • 47 김보영, "[옮김]. 피터 스토거 지음 : 『국제이주』", 이소출판사, 2004
      • 48 김민정,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고부갈등 경험』",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49 남미애, 윤경아, "『서구관내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방안』", 대전대학교 법학연구소, 새울법학. Vol.6-7, 2003
      • 50 임혁(IM Hyuk), 남일재(NAM Iljae), "결혼이주여성의 정치참여 영향요인 분석",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 회보』, Vol.48 No.5, 2014
      • 51 김익식, "지방자치행정에의 시민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행정연구』, Vol.17 No.1, 2003
      • 52 . 한양대학교 제3섹터 연구소, 오영희, 권중돈,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정책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 53 박의경, "다문화사회에서의 참여민주주의의 가능성", 한국정치사상학회, 『정치사상연구』, Vol.19 No.2, 2013
      • 54 곽현근, "동네조직 참여의 영향요인 및 심리적 효과", 『지방정부연 구』, Vol.8 No.4, 2002
      • 55 조석주, "지방자치단체의 결혼이민자정책 개선방안", 지방자치 FOCUS 83. 『한국지방행정 연구원』, 2014
      • 56 이용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 네트워크의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 회지』, Vol.10 No.2, 2007
      • 57 구차순,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 58 주 정, "다문화가족서비스 전달체계의 전망과 과제", 『사회복지경영연구』, 1(2), 23-47. 한국사회복지경영 학회, 2014
      • 59 노화준, 박석희, 안대승, "“재난관리 행정에 대한 네트워크적 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논총』, 42(1), 103-132, 2004
      • 60 안현정,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만족에 관한 연구』", 초당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2003
      • 61 홍장선, "『다문화 구성원의 문화접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한국외국어대학 교 대학원, 2012
      • 62 김용학, "『사회 연결망 이론 : 사회적 관계와 효과』", 서울 . 박 영사, 2003
      • 63 이숙종(Sook Jong Lee), 유희정(Hi Jeong Yu), "개인의 사회자본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치학회, 한 국정치학회보』, 44(4), 287-327, 2010
      • 64 이승주, "경찰행정 정책과정의 시민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한국공안행 정학회보』, Vol.49, 2012
      • 65 김태준, 장근영, "다문화 사회에서의 시민교육과 사회적 자본", 한국성인교육학회, 『한 국성인교육학회』, Vol.13 No.3, 2010
      • 66 김동일, 김현준, "부르디외의 성찰적 사회학과 순수성의 정치", 『사 회과학연구』, Vol.19 No.2, 2011
      • 67 박수정(Park, Soo-Jung), 김영빈(Kim Young Bin), 남은영(Nam Eun Young), "여성 결혼이민자의 여가와 문화적응의 탐색",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문화연구』, Vol.16 No.1, 2010
      • 68 김규식, 소진광,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사회 정착화 과정 연구", 『한국 지역개발학회지』, 제28권. 제3호, 205-238, 2017
      • 69 정경운, "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아시아여성연구』, 46-1., 2007
      • 70 김영하, "한국행정에 있어서의 시민참여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논 총』, Vol.15, 2003
      • 71 정경희,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 72 문정수, "『지역평생추진체제의 사회네트워크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73 김영란, "독일과 한국의 다문화가족 정책에 대한 고찰",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다문화콘텐 츠연구』, Vol.13, 2012
      • 74 고경훈, 김보은,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주민참여 활성화 연구", 한국정부학회, 『한 국행정논집』, Vol.24 No.2, 2012
      • 75 남궁근, "행정학자 시민단체 참여 활동의 성과와 한계",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 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7 No.12, 2007
      • 76 이승종, "미국 지방정부 정책과정에서의 주민참여기제",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Vol.31 No.4. 249-269. 한국정치학회, 1997
      • 77 윤인진(Yoon In-Jin), "북한이주민의 사회적응 실태와 정착지원방안",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아세아연 구』, 50(20), 106-143, 2007
      • 78 민무숙, 양인숙,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한 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Vol.2010 No.3., 2010
      • 79 김준기, "『한국 사회복지 네트워크의 구성과 효과성』", 서울대학교출 판부, 2006
      • 80 안순태(Soontae An), 이하나(Hannah Lee), "결혼이주여성의 초국적 정체성과 사회적 지지",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미 디어, 젠더 & 문화. 31(4), 49-78., 2016
      • 81 이승철, 이종엽, "경찰행정의 시민참여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한국경호경비학회지』, Vol.16, 2008
      • 82 김오남(Kim Oh-Nam),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18-3. 한국가족학 회, 2006
      • 83 우영희, 하규수,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한 국 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2, 2015
      • 84 송지현, 이태영, "다문화가족 부부의 결혼적응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 건사회연구』, Vol.30 No.2, 2010
      • 85 김욱, 송미영, "대학생의 사회봉사활동 참여도와 정책적 함의",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 회복지정책』, Vol.28, 2007
      • 86 오재림, "한국 여성의 정치참여와 여성정책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아시아여 성연구』, Vol.43 No.1, 2004
      • 87 이정숙,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88 전형권, "국제결혼이주자들의 사회적 연결망과 초국가성", 한국동북아학회, 『한국동북 아논총』, Vol.68, 2013
      • 89 강인성, 조석주,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참여수준 진단과 발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 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
      • 90 백인경, "“노인의 자원봉사활동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 91 임안나, 김정훈,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적 자본 수준과 증진방안", 『현대사회와행정』, 제20권 제3호. 51-87, 2010
      • 92 허수미, "다문화사회의 민주주의와 정치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 교육』, Vol.49 No.3, 2010
      • 93 김나영, 안경섭, "시민참여의 정책반영에 관한 신제도주의적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3 No.2, 2009
      • 94 이혜영, "공동체적 사회연대 구축을 위한 품성교육의 방향", 『한국교 육사회학연구』, 3(2), 113-134, 1997
      • 95 최운선,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아시아 여성연구』, Vol.46 No.1, 2007
      • 96 김병섭, 서순탁, 김영래, "문화재의 관광적 활용에 관한 정책네트워크 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25(4), 175-207. 한국도시행정확회, 2012
      • 97 이상길, "피에르 부르디외의 사회학적 참여와 미디어 실천",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 론정보학보』, Vol.29, 2005
      • 98 박하정, "「사회복지정책 결정과정의 정책네트워크 연구」", 박사학위 논문, 경희대학 교 대학원, 2008
      • 99 최정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한국가 족복지학』, Vol.16 No.4, 2011
      • 100 김은경, 신유리, "사회참여에 대한 여성장애인의 주관적 인식 연 구",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여성학연구』, 21(3), 101-140, 2011
      • 101 김용자, "우리나라 주부의 자원봉사 참여 판별에 관한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아시 아여성연구』, 23. 233-255, 1984
      • 102 정명희,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 변인에 관한 연구』", 평택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 103 김나영,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104 송지현 ( Ji Hyun Song ), 이태영 ( Tae Young Lee ),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한남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105 김경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연결망과 한국 사회 만족도", 『한국 인구학』 35(2), 185-208, 2012
      • 106 정기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이주특성과 이민생활적응」",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인문사회과학연구』, 20-4. 호남대학 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8
      • 107 김현숙, 오중환, 김희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의 질의 관계", 『가족과 문화』, 22(3), 97-127, 2011
      • 108 최혜지(Choi Hye-ji),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 사회복지학』, Vol.61 No.1, 2009
      • 109 이승희, 전형권, "한국 ‘다문화가족’ 형성에 나타난 정치학적 성격", 세계평화통일학회, 『평화학연구』, Vol.12 No.4, 2011
      • 110 김승권, "한국 다문화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정책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 복지포럼』, Vol.165, 2010
      • 111 권지현, "『통근시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 112 모경환 ( Kyung Hwan Mo ), 우희숙 ( Hee Sook Woo ), 안성훈 ( Sung Hoon Ahn ), "결혼이주자를 위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44-2, 2012
      • 113 박재규, "국제결혼 여성이민자 및 남편의 가족생활 적응 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보 건과 사회과학』, Vol.26, 2009
      • 114 Chaekyu), 박재규, "국제결혼 여성이민자의 가족해체 원인 및 특성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 건 사회연구』, Vol.31 No.3, 2011
      • 115 김숙령, 이선희,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이민복지정책에 관한 연 구",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법학연구』, Vol.40, 2013
      • 116 이광희, 황규대, 정철균, "외국인 근로자 적응의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1 No.2, 2007
      • 117 윤인진, "코리아 디아스포라: 재외 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한 국사회학』, 37(4), 101-142, 2003
      • 118 남순현, "한국 다문화공동체 구현을 위한 문화적응 모형 탐색", 한국인간발달학회, 『인 간발달연구』, Vol.17 No.4, 2010
      • 119 한형서, "독일지방행정에 있어서 시민참여와 변화에 관한연구", 한독사회과학회, 『한 독사회과학논총』, Vol.17 No.1, 2007
      • 120 허은성, "베이비붐 세대여성의 인적자원개발과 경제활동 참여",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여 성연구논총』, Vol.11 No.8, 2012
      • 121 정재화(鄭再和), 김연수, "지방정부복지정책결정참여자의행태요인에관한 연구", 경인행정학회, 『한국정책연구』, Vol.7 No.2, 2007
      • 122 문상덕, "“참여와 교섭에 의한 행정과정과 행정분쟁의 해결”", 행정법이론실무학회, 『행정법 연구』, Vol.1 No.18, 2007
      • 123 김은정, 서민정, "여가활동유형이 여가만족과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 향", 경기연구원, 『GRI연구논총』, Vol.15 No.3, 2013
      • 124 김혜경, "자원봉사 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특성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 『한 국가정관리학회지』, 22(4), 141-156, 2004
      • 125 조희원, "정치, 외교 영역 :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결혼이주여성", 『유 라시아연구』, Vol.7 No.3, 2010
      • 126 이복자, "『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인하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127 박상원, "다문화 가족복지 정책도구의 선택과 조합에 관한 분석", 단국 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10(1), 112-147., 2016
      • 128 양명숙, 이선희, "다문화가족 부부의 자기분화 수준과 결혼만족도 연 구",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Vol.13 No.4, 2012
      • 129 금혜성, 임지혜, "독일 영국 한국의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과정 국제비교",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 『다문화사회연구』, Vol.3 No.2, 2010
      • 130 윤홍식, 설동훈, "여성결혼이민자의사회 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과제", 한국사회보장학회, 『한국사회보장학회』, Vol.24 No.2, 2008
      • 131 오혜경, 박경숙, "여성장애인의 성역할 태도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재활연구소, 『재활복지』, Vol.3 No.2, 1999
      • 132 가기산, "지방자치단체에서의 행정전산화에 대한네트워크 분석", 『한 국정책분석학회』, 제6권, 111-145, 1996
      • 133 김용우, 장인봉, "참여적 정책분석(PPA) 이론적ㆍ실제적 함의와 전제조건", 경인행정학회, 『한국정책연구』, Vol.9 No.1, 2009
      • 134 김성훈, "“취업자의 사회 연결망 활용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한국노동경제학회, 『노동경 제논집』, 26(3), 2003
      • 135 김묵한, 오은주, 박행웅, "[옮김]. 마뉴엘 카스텔 지음 :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한울아카데미, 2003
      • 136 오세경, 김미순, "「다문화 멘토링에 참여한 멘토의 상호문화역량 탐색」",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다문화와 평화』, Vol.10 No.2, 2016
      • 137 노정옥, "『한국 다문화사회 통합정책의 추진체계에 관한 연구』", 동아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138 김영란, "이주여성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관한 경험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아시아여성연구』, Vol.46 No.1, 2007
      • 139 김영근, 조무현,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정책 추진 현황 및 발전과제”", 한국자치행정학회,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7 No.3, 2013
      • 140 김정훈, "『결혼 이주 여성의 사회자본과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광 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141 양명숙, 이혜선, "다문화가정 부부의 가족탄력성과 부부적응에 대한 연 구",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Vol.12 No.2, 2011
      • 142 최무현, "다문화사회 정책 거버넌스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자료., 2011
      • 143 김영화, 김옥남, "도시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재사회화에 관한 질 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Vol.19 No.1, 2009
      • 144 박봉규, 조재완,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가 만족과 자긍심에 미치는 영 향",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Vol.18 No.3, 143-157. 대한관광경영학회, 2004
      • 145 한애경(Han, Ae-kyeong), 윤혜미(Yoon, Hye-mee), "중증과 경증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 영향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장애와 고용』, Vol.22 No.3, 2012
      • 146 오정석, "지적(地籍)행정서비스의 주민참여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고황론집』, 경희대학교 대학원 원우회. Vol.32. 243-255., 2003
      • 147 사지은, "『발달장애아동에 여가활동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명 지대학교 대학원, 2005
      • 148 이화영, "『한국 정당조직 내 여성의 네트워크 유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 149 서형도, 조영호, "네트워크 행동과 경력만족 : 조직적합성 변수의 매개효과", 『한국인사 조직학회 발표논문집』, 2, 1-22, 2010
      • 150 박기관, 우무정,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행정사회화 개념의 탐색 적 연구", 경인행정학회, 『한국정책연구』, Vol.2 No.2, 2008
      • 151 민무숙, 주유선, 김이선, 김경미,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 증진을 위한 정책지원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1
      • 152 서광석,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을 위한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인 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153 박창제, 이경은,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다문화가정 지원사업의 경제성 분석",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21(4), 119-143, 2009
      • 154 황정미,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현황과 증진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 155 최태현, "참여가치인식과 정책이해도를 통한 시민참여 유형화 연구",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 Vol.23 No.1, 2014
      • 156 남부현, 김옥남, 김영인, "공공기관 내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10(2), 101-132, 2016
      • 157 김도희,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실태분석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 안", 대한지방자치학회,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2 No.1, 2010
      • 158 이호경, "정부의 ‘여성결혼이민자 가족’ 지원 대책 현황과 문제점",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다문화콘텐츠연구』, Vol.9, 2010
      • 159 김수연, "『다문화가정의 사회적응 실태분석과 정부지원정책 방안』",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160 김은실, "『사회적 네트워크가 개인 및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161 김현희, 최영훈, 안채리, 신은주, 송주영, 성정현, 김효주, "『사회적 임 팩트 향상을 위한 배분 분야별 연구 : 다문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 눔 연구소 연구 보고서. Vol.2014 No.3, 2014
      • 162 박응희, "다문화교육의 담론과 실천을 위한 교육학적 분석 모형 탐구", 한국문화교육학회,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1, 2012
      • 163 김종훈,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학교교육 참여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Vol.27 No.4, 2014
      • 164 이삼식, "다문화가족의 증가가 인구의 양적 질적 수준에 미치는 영 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2009
      • 165 김미령(Kim Mee-Ryoung), "탈북자의 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대회지』, Vol.2004 No.3., 2004
      • 166 정순둘, 이은주, "「자원봉사활동 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Vol.25 No.4, 219-233. 한국노년학회, 2005
      • 167 김규식,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사회 정착화 과정 및 지원정책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 168 강신욱, "생활체육참가자의 운동중독과 자기의식 및 사회적응의 관 계",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42 No.5, 2003
      • 169 이훈병 ( Hun Byoung Lee ), "여성 결혼이민자 지원정책 및 교육프로그램의 우선순위 분석", 『인문학연구』, 50, 373-399.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 170 유은영, 윤서정,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에 대한 고찰",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7 No.1, 2015
      • 171 이소영, "『여성결혼이민자 네트워크와 다문화시민권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172 박선민,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자본과 가족건강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173 장유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2, 2011
      • 174 김혜순,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과 사회학 졸업생 취업대책을 중심 으로",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17-119, 2006
      • 175 이소영,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가 다문화시민권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다문화교육학회, 『다문화교육연구』, Vol.7 No.1.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4
      • 176 이진석,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요인이 개인의 단체 참여에 미치는 영향", 통계청, 『통계연구』, 18(2), 16-41, 2013
      • 177 김순규, 이주재, "“결혼이주 여성의 사회관계망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15(4), 73-91, 2010
      • 178 황미혜, "결혼여성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Vol.11 No.3, 2014
      • 179 이봉민, 신미정, "다문화가정 부모교육 참여와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적응의 관계",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2 No.1, 2015
      • 180 강기정,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부모역량강화를 위한 부모코칭 경 험연구", 『한국가족복지학』, Vol.14 No.3, 2009
      • 181 강현옥,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남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182 노윤구, "『축제에 대한 지역사회 애착도가 주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 183 이순자(Lee, Soon Ja), 송진영(Song, Jin Yeong), 박용순(Park, Yong Soon),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30(4), 1-25, 2014
      • 184 곽호근, "생활체육 참여자의 여가만족과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응의 관 계",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 185 염미경, "「다문화가족의 한국생활 적응과 지역사회 다문화교육의 방향」",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Vol.15 No.2, 2013
      • 186 이보람, "노인의 생활만족에 대한 사회적 참여와 경제적 참여의 효과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Vol. 71 No.2, 2016
      • 187 강기정, 변미희, "다문화가족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 관 련 요인",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2, 2010
      • 188 쯔지모토 도시코, "『디아스포라로서의 주체 형성을 위한 이주여성의 저항과 전략』", 박사학위 논문,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06
      • 189 이혜경, 전혜인,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4, 2013
      • 190 최광묵, "『외국인 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이 한국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 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191 민정아, "『조직 내 네트워킹 행동과 유리천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0
      • 192 김경아, 이정우,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정생활상의 스트레스 수준 및 관련변인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8 No.2, 1990
      • 193 이 근, "새로운 한국형 시장경제모델의 모색과 참여 협력 경쟁의 시장경제", 한국비교경제학회, 『비교경제연구』, Vol.6, 1998
      • 194 김형태, "『북한이탈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유형에 관한 통합적 비교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 195 정주연, "베트남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 학생연구논총』, 228-262.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 196 이형하,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활동 참여경험에 관한 질 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3. 219-245.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 197 황동현, 서순탁, "정책네트워크 관점에서 본 동남권 신공항 개발사업의 정책과정 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24(4), 55-84, 2011
      • 198 김영순, 최종임, "다문화 중점학교 프로그램 참여자의 다문화 시민 성 인식에 관한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2016
      • 199 최금해,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 200 양순미,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사회참여활동 태도가 미치는 효과", 한국농촌사회학회, 『농촌사회』, Vol.20 No.1, 2010
      • 201 구혜령, 정현희, "전업주부의 사회활동 참여에 따른 유형화와 유형 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7(1), 153-167, 2003
      • 202 최영광, "“장애인 직업재활 조직의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203 김경옥,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 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204 박미정, 엄명용,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2), 1-26, 2009
      • 205 김중관, 윤희중, "카자흐스탄의 다문화 공존정책 , 다종교현상에 대한인구사회학적 분석", 한국중동학회, 『한국중동학회논총』, Vol.34 No.4, 2014
      • 206 윤현숙, 최아영,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여여부와 참여이유가 심리 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미래사회복지연구』, Vol.3 No.1, 2012
      • 207 최정숙 ( Jung Sook Choi ), 오지영 ( Jie Young Oh ), "여성결혼이민자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미술활동활용 집단프로그램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Vol.33, 2011
      • 208 박미희, "『다문화가족 여성의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209 최유미(Choi You-Mi), 심성지, "자원봉사조직의 네트워크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영리학회,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 210 김용신, "한국 사회의 다문화화에 따른 정치사회화 이론의 재해석 과 방법적 지향", 한국세계지역학회, 『세계지역연구논총』, Vol.29 No.1, 2011
      • 211 나원호,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정책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 212 권장원, "『한국방송 정책 환경에서의 사회적 연결망 형성 및 변화 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9
      • 213 양성은, 이미영, "도서지역 결혼이민자여성의 가족이해도와 가족관 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문화연구』, Vol.17 No.3, 2011
      • 214 배경희,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Vol.41, 2013
      • 215 김민정, 김성국, "프로테제 개인의 성격이 멘토링 연결망 특성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사 조직연구』, 14(1), 143-181, 2004
      • 216 강제상, 임명수, 이희창, 이창원, 박희봉, 박병래, 박광수, "한국과 중국의 성별 네트워크 형성과 사회단체참여 및 정치활동비교 분석", 한국행정연구원, 『한 국행정연구』, 15(4), 143-175, 2006
      • 217 김혜원, 임춘희, "다문화가족지원서비스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생 활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Vol.17 No.3, 2012
      • 218 김경원, 조영복,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이 직무성과와 협력행동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연구』, 18(1), 87-110, 2011
      • 219 오영훈, 임한나, "청소년수련활동 참여를 통한 다문화가정자녀의 학교 생활적응에 관한연구", 『다문화와 평화』, Vol.8 No.1, 2014
      • 220 엄명용, "탈북자의 사회적응 지원을 위한 종합형 사례관리의 모형의 제시와 그 실천", 『한국사회복지학』, 37, 271-306, 1999
      • 221 엄태완, 이기영,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8, 5-32, 2004
      • 222 박치성, "“한국의 행정학/정책학 연구에 있어서 사회네트워크 방법론의 자리찾기”",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 19(4), 115-154, 2010
      • 223 김성숙, 홍성희, "여성결혼이민자가족의 지원을 위한 통합적 교육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지』, 13(1), 119-146.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09
      • 224 김영화, 송인영, "“여성결혼이민자의 평생교육경험 및 사회적 자본의 유 형과 적응의 관계”", 한국평생교육학회,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4, 2011
      • 225 곽미정, "『다문화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이 삶의 질 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 226 김현숙, 전경옥, "미국 다문화주의를 통해 본 다문화주의 정치 철 학의 딜레마와 한국에의 함의",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다문화사회연구』, Vol.3 No.1, 2010
      • 227 박경규, 전수진, "사회 네트워크가 개인의 직무성과 및 경력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인사관리연구』, 31(1), 147-171, 2007
      • 228 최인숙, "『공공기관 조직문화에 대한 여성 관리자의 인식이 경력전 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229 조상희, "노인의 여가활동이 사회적 관계망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230 송인욱, 원서진, "결혼이주여성의 개인적, 문화적, 사회적 특성이 결혼생활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16(2), 95-113, 2011
      • 231 정명호, "사회적 관계와 협조적 행동 : 집단 및 조직 수준의 관계특성을 통한 다층적 분석", 한국인사·조직학회, 『인사조직연구』, 16(4), 41-74, 2008
      • 232 김재환, "『자활후견기관간의 네트워크 특성과 네트워크 중심성 결 정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4
      • 233 김영덕, 이기봉, 서성혁, 박일혁, "지체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체 육활동참여정도, 삶의 질의 예측 모형 검증", 한국특수체육학회,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2, 2010
      • 234 김현진, "『학습전이, 참여동기, 사회적자본 내 네트워크 유형, 반성적 사고의 구조적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235 류영수, "『사회복지 자원봉사조직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평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236 홍성만, "『정책네트워크분석 : 정책행위자 간 동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정책현상 규명하기』", 국토 : planning and policy. 120-127, 2006
      • 237 이영분, 이유경, "거주지역에 따른 결혼이민자 여성의 자아분화 및 문 화적응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 지』, Vol.28 No.1. 145-157. 한국가정관리학회, 2010
      • 238 송경재, "“네트워크 사회의 시민참여 변화:바텀업과 탑다운의 상호 작용적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시민사 회와 NGO』, 13(1), 231-262. 한양대학교 제3섹터 연구소, 2015
      • 239 강은나, 진선미, 장용석, "사회서비스 지속성이 기혼여성의 경제활 동참여 및 참여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사회연구』, Vol.31 No.3, 2011
      • 240 서유영, "『지역주민의 문화가치가 지역사회애착과 지역이벤트 태도 및 주민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241 손광훈,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새로운 변화를 위한 기관 상호간 협력의 개념 도입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경성대학교 사회 과학연구소. 14, 45-70., 1998
      • 242 김도희, 신효진, 김성이,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배우자 지지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제19집 3호, 53-78. 한국가족학회, 2007
      • 243 김현숙, "『빈곤아동 청소년 지원기관의 통합서비스 영향요인 연구 : 네트워크 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2013
      • 244 설동훈, "외국인 노동자와 인권: ‘국가의 주권’과 ‘국민의 기본권’ 및 ‘인간의 기본권’의 상충요소 검토", 『민주주의와 인권』, Vol.5 No.2, 2005
      • 245 김자옥, 유태균,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간의 네트워크 특성 및 네트워크상에서의 중심자 역할정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사 회보장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17(2), 20-48., 2001
      • 246 오영민 ( Young Min Oh ), 박종선 ( Jong Sun Park ), "시민참여와 경제개발정책: 지역경제개발전략에서의 시민참여가 지역의 경제성과 및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 구』, Vol.18 No.2, 2014
      • 247 김순연,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경제적, 관계적요인 그리고 사회적지지가 결혼만족도와 이혼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민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