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국 학교에서 공민교육과정의 변용과 현상(現狀) = Curriculum Reform of Citizenship Education in China
저자
셴샤오민 (화동사범대학)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25(11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중국에서 공민교육을 실시하는 교과목은 3종류이다. 첫째는 덕육과(정치과), 둘째는 총합문과(총합사회라고도 한다)이다. 양자 모두 국가교육과정에 속하는 것으로 정규과정이라 한다. 셋째는 지역과정과 학교과정으로 지역이나 학교의 실정에 따라 편성하는 것이 가능한 비정규과정이다.
중국의 덕육과(정치과)는 정치학, 경제학, 윤리학, 철학, 문화학, 법률 등 사회과학 제 영역의 지식 및 집정당의 집정 이념을 포함하는 총합 교과이다. 학습 내용이 국민의 의무를 일방적으로 강조하던 것에서 공민의 권리를 점차 중시하는 것으로 전환한 것은 큰 진보이다. 다만, 집정당의 이데올로기 주입과 언론 자유·정치 민주의 미약으로 인해 권리교육의 내용은 제한적이다. 도덕과 이외에 중학교에는 「사회」나 「역사·사회」등의 「총합문과」가 있는데, 목표에 사회참가력을 중요한 공민 자질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역사·사회」는 종래의 「역사」와 「지리」보다 내용이 폭넓고 계통성이 없어 역사교육과 지리교육이 불충분하다는 비판이 있고, 담당할 교원도 부족하여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지역과정과 학교과정에 의한 공민교육은 교육 체제의 속박―수험 체제나 정규과정에 의한 학습 부담 등―이 있기 때문에 실시하는 지역이나 학교가 많지 않다. 하지만, 정규과정의 부족한 공민교육을 보완하고, 초·중·고 일관의 공민교육 모델을 탐색한 것으로 그 성과와 영향은 공민교육 추진의 포석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공민교육은 늘 도덕교육의 범주에서 의론되었다. 하지만, 일부 연구자는 도덕교육과 공민교육의 차이를 이론적으로 구별해 도덕교육에서 공민교육으로 전환할 것을 제창했다. 필자는 도덕교육과 공민교육은 선진성/보편성, 성인교육/서민교육, 사덕(私德) 형성/ 공덕(公德) 형성, 의무의 중시/권리와 의무의 통일 중시 등의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중요한 차이는 지성의 중시도 및 문제해결의 시점과 방법에 있다고 생각한다. 공민교육이 추구하는 것은 합리적으로 문제를 보다 잘 해결하는 데에 집착하고, 사회가 보다 좋은 방법으로 발전하는 것을 추진할 수 있는 지혜의 성장이다. 그러한 지혜의 성장을 위해서는 사회적 사실의 조사·추구력, 이해력, 사고력, 판단력, 의사결정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필요한 사회적 지식·기능을 배워야 한다. 이에 대해 기존의 사상도덕과는 한계가 있고, 총합문과도 지역·학교본위과정도 공민교육상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교육 체제 아래에서 공민교육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그들 교과를 일체화하여 상호보완적 커리큘럼을 재구성하는 것 외에도 공민교육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원리나 키 개념을 재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민교육과정에서 수요는 간과해서는 안 되는 개념·테마이며, 사회를 인식하는 단서로 초·중·고의 학습을 일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의 다양한 수요(needs and want) 및 수요를 만족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장래 인권이나 인간의 사회적 활동의 의미와 방법, 사회적 분업의 의미와 방법 등을 이해하는 기초이며, 수요를 취사선택하는 의미와 방법이나 규칙을 학습하는 것은 시민 도덕을 향상하는 전제라고 생각한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의 수요부터 인식해서, 집단의 수요, 지역의 수요, 민족이나 국가의 수요, 나아가 전인류의 수요로 인식을 고양시켜...
I. Curriculum form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China The current Citizenship Education in China mainly takes the following three forms of curriculum. The first is Morals, the second is called Integrated Liberal Arts. They are formal curriculum. The third is local curriculum or school-based curriculum which is usually informal curriculum.
Morals refers to school subjects of Politics, Ideology and Moral, Ideology and Politics, Morality and Society, Morality and Life, General Knowledge of Politics, Construction of Socialism, etc. which have been started since 1949. They were called subjects of Politics in early time. Morals(Politics) is an integrated curriculum which contains various subjects related to social science like politics, economics, law, ethnics, philosophy and culture, and reflects governing principles and vision of the ruling Party.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change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China, which is the emphasis on civil duties has switched to civil rights. This could lay the foundation for the participation in social affairs of citizens as the main body. However, there are still restrictions about contents related to civil right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due to the influence of political ideology in China.
Integrated Liberal Arts contains subjects like Society, History and Society, it is a broad curriculum with the purpose of citizenship education which aims to cultivate students as good citizens, lay much stress on training student ability of social participation. This reflects people? recognition of citizen rights and obligations. However, compared to traditional subjects of History and Geography, Integrated Liberal Arts has been accused of loosing focus on the systematicness with wider scope of knowledge.
Citizenship Education in local curriculum or school-based curriculum has limited impact due to the restriction of education administration system and pressure brought by college entrance exam. Still, those practices in local curriculum and school-based curriculum have made great complement to formal curriculum in schools and explore the integration model which has laid solid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itizenship education in primary and middle schools.
II.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hip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In China,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put into the category of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is a broad concept which also contains political Education, ideology education. Advocators of citizenship education try to differentiate moral education and citizenship education, promoting the transformation from moral education to citizenship education.
In my opinion, the differences between moral education and citizenship can be seen in their nature, mission and goals, which are advanced nature versus universality, cultivating role model versus developing citizen, emphasizing personal virtue versus promoting public moral. The most important one lies in their inclination to virtue or to intellectuality, and the different methods they use in conceiving and solving problems. Citizenship education pursues developing people the wisdom of exploring, analyzing and resolving issues in life rationally, which will facilitate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citizens must have broad knowledge to advance their ability of understanding, critical thinking, and decision-making. They also need to have empathy for situations and needs of other people in society, and understand their life.
From this perspective, current moral education curriculum, even integrated liberal arts curriculum in China is not able to fulfill its func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Under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system in China,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whole curriculum system related more systematically with emphasis on interconnection between subjects and academic years in order to construct a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system o...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6-06-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7 | 1.87 | 1.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9 | 1.41 | 2.432 | 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