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초등학생 식생활교육 콘텐츠 개발 현황 및 효과 평가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저자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The Society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Korea)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74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7-132(2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최근 아동의 성장과 발달뿐만 아니라 건강증진을 위해 식생활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 출간된 한국 초등학생 대상으로 실시한 식생활교육 콘텐츠 개발 현황 및 효과 평가 에 대한 연구 동향을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하여 분석하고, 초등 식생활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 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내 RISS, DBpia, KISS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2014년부터 2023년 까지 최근 10년간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39개 논문을 체계적 고찰에 포함하였다. 체계적 고찰에 포함된 총 39건의 연도별 현황을 보면, 2021년도에 2건부터 2019년도에 9건까지 연 평균 약 4건으로 조사되었고, 학년별 현황은 전체 39건 중 고학년(4-6)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18건(46.2%)으로 저학 년(1-3)을 대상으로 하는 것(5건, 12.8%)에 비해 3배 이상 많았다. 주제별 현황은 절반 정도가 건강한 식생활을 주제로 다루었으나, 식생활교육 기본계획을 주제로 한 것이 13건, 환경교육과 연계한 것이 2 건, 건강 위해 가능 영양성분인 당 섭취와 관련된 것이 2건이었으며, 영양 이외의 식품안전과 관련된 보존료나 식품첨가물을 주제로 다룬 연구가 각각 1건씩 있었다. 이 중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식생활교육 을 실시하고 교육적 효과를 평가한 연구는 67%(26/39)에 해당되었고, 지역별 현황은 13건의 연구 (50%)가 서울을 포함하여 시행되었으며, 연구방법의 대부분이 설문지법(21건, 80.8%)이었고, 설문지법 과 실험법을 병행한 것이 3건, 실험법을 사용한 것이 2건이었다. 연계 활동에 따른 분류는 총 26건 중 요리활동 중심의 식생활교육이 4건, 운동 프로그램과 연계한 것이 2건, 과학 실험 활동과 연계하거나 발명교육과 연계하고 효과를 평가한 것이 각각 1건씩 조사되었다. 초등학교 식생활교육의 효과 평가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교육에 따른 지식, 인식, 태도, 행동의 변화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보고하였으나, 지식이나 인식, 태도에 비해 행동의 변화를 확인하지 못한 연구가 있었다. 학년별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이론 바탕의 체험, 실습으로 구성된 식생활 교육 콘텐츠가 학년별 또는 학년군별로 개발되어야 할 것 이며, 에듀테크가 통합적으로 접목된 식생활교육 콘텐츠의 개발이 요구된다.
더보기Recently, the importance of dietary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not only for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but also for health prom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development status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of dietary education contents conducted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published domestic papers over the past 10 years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lementary dietary education research. Through a search of the domestic RISS, DBpia, and KISS online databases, 39 papers published in KCI-registered journals over the past 10 years from 2014 to 2023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Looking at the yearly status of a total of 39 cases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an average of about 4 papers were investigated per year, from 2 in 2021 to 9 in 2019. As for the status by grade, out of a total of 39 cases, 18 cases (46.2%) targeted only upper grades (4-6), which was more than three times more than those targeting lower grades (1-3)(5 cases, 12.8%). As for the status by topic, about half of them were about healthy eating, but 13 cases were related to the basic plan for national dietary education, 2 cases were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2 cases were related to the intake of sugar, a nutrient that can be harmful to health. Two cases addressed for the food safety including one for food preservatives and one for food additives. Among these, 67% (26/39) of the studies conducted dietar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valuate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s for the status by region, 13 cases (50%) were conducted including Seoul, and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estionnaire methods. Three cases used a combination of questionnaire and experimental methods, and 2 cases used experimental methods. As fo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linked activities, among 26 cases, 4 cases were investigated for dietary education focusing on cooking activities, 2 cases involved exercise programs and 2 cases included either science experiment activities or invention education. Most of the studies o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elementary school diet education reported significant effects on changes in knowledge, perception, attitude, and behavior, but there were studies that failed to confirm changes in behavior compared to knowledge, perception, and attitude. Dietary education content that reflects the curriculum for each grade and consists of theorybased experience and practice should be developed by grade or grade group, and the development of dietary education content that integrates EduTech is require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