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우크라이나전쟁과 러시아문명의 변화 = The War in Ukraine and the Change of the Russian Civiliz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5-79(3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thesis seeks to take a look at whether historically Russia and Ukraine are inseparable nation-state or not and analyze the reason why Russia waged a war against Ukraine which aspires to join NATO, thereby measuring the effects of the war in Ukraine on the Russian civilization.
A fratricidal war among Eastern Slavic nations turned into struggle between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over Ukraine and heralded the prelude to the clash among the great powers in the 21st century. Russia is trying to keep Ukraine to remain in her sphere of influence for securing security and status of great power, whereas the United States intends to deepen Ukraine’s integration into Euro-Atlantic structures.
After the demise of the Soviet Union, Russia had to choose her “unique way,” to which Russia is going to make between Europe and Eurasia to shape national identity. Russia’s power elite, in their establishment of theoretical framework for national policy, reflect the ideas of Neo-Eurasianists. An attentive analysis on Neo-Eurasianism will be instrumental in clarifying geopolitical implication of the war in Ukraine and in predicting the future of Russia’s civilization.
이 글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역사적으로 불가분의 관계인지 여부를 살펴보고, 러시아가 NATO 가입을 추진하는 우크라이나를 침략한 원인 및 우크라이나전쟁이 러시아문명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크라이나전쟁은 동슬라브 형제국간 상잔을 넘어서 러시아와 미국 간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대결의 양상을 띠고 있으며, 21세기 강대국들간 충돌의 서막을 열었다. 러시아는 자국의 안보와 강대국지위 확보를 위해 우크라이나를 세력권으로 두어야 하며, 미국은 세계 패권 유지를 위해 지정학적요충지인 우크라이나를 유럽•대서양권에 통합시켜야 한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는 국가 정체성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유라시아 대륙에 걸쳐있는 지리적 위치로 인해 자국의 “독특한 길”이 유럽에 있는지 또는 유라시아에 있는 지를 선택해야 했다. 현금 러시아 지도층이 국가 정책의 이론적 틀을 짜는 데, 신유라시아주의자들의 구상이 영향을 주었다. 신유라시아주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크라이나전쟁의 발발 원인과 지정학적 함의를 분석하고, 러시아문명의 미래를 전망하고자 한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