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역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의 지연기 영상에서 간 실질의 조영증강 양상: Gd-EOB-DTPA와 Gd-DTPA-BMA의 비교 = Enhancement Pattern of Liver Parenchyma during Late Dynamic Phase Imaging: Comparison between Gd-EOB-DTPA and Gd-DTPA-BMA
Purpose: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enhancement patterns of liver parenchyma during the late dynamic phase imaging between gadolinium-ethoxybenzyl-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Gd-EOB-DTPA) and gadolinium-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bismethylamide (Gd-DTPA-BMA).
Materials and Methods: 130 patients (88 men and 42 women at the mean age of 59.4 years) and 110 patients (72 men and 38 women at the mean age of 60.2 years) underwent dynamic contrast-enhanced MR imaging, using Gd-EOB-DTPA and Gd-DTPA-BMA, respectively, at 3T MR scanner. In both group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ategory I for normal liver, category II for Child A cirrhotic liver, and category III for Child B and C cirrhotic liver. Late dynamic phase scanning was performed at 100, 140, and 180 seconds after injection of the contrast agent. The injected dose of Gd-EOB-DTPA and Gd-DTPA-BMA was 0.025 mmol/kg of the body weight and 0.1 mmol/kg of the body weight, respectively. Signal intensity ratio of the liver (SIRL), contrast ratio between liver and portal vein (LPC), and contrast ratio between liver and spleen (LSC)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between Gd-EOB-DTPA group and Gd-DTPA-BMA group according to the scan delay time.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respect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RL of Gd-EOB-DTPA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at 100 seconds in category I, and also at 100 and 140 seconds in category II (p < 0.05). In Gd-EOB-DTPA group, LPC and LSC showed an increasing trend according to the delayed time in all of the categories. In Gd-DTPA-BMA group, LPC and LSC showed similar values according to the delayed time in all of the categories. LPC of Gd-EOB-DTP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at 100, 140, and 180 seconds in category I and II (p < 0.05). LSC of Gd-EOB-DTP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at 100, 140, and 180 seconds in category I, II, and III (p < 0.05).
Conclusion: In contrast to Gd-DTPA-BMA, the late phase imaging using Gd-EOB-DTPA was affected by intracellular distribution of the contrast agent, which was proportional to the elapsed time after the injection of Gd-EOB-DTPA.
목적: Gadolinium-ethoxybenzyl-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이하 Gd-EOB-DTPA)와 gadolinium-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bismethylamide (이하 Gd-DTPA-BMA)를 이용한 역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의 지연기 영상에서 간 실질의 조영증강 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3 Tesla 자기공명영상기기에서 각각 Gd-EOB-DTPA와 Gd-DTPA-BMA를 사용하여 역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을 시행 받은 130명(남자: 88명, 여자: 42명; 평균 연령: 59.4세)과 110명(남자: 72명, 여자: 38명; 평균 연령: 60.2세)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환자군은 Child-Pugh 등급에 의해 세 군으로 나누었다(I군: 정상, II군: Child-Pugh 등급 A 간경변, III군: Child-Pugh 등급 B 또는 C 간경변). 지연기 영상은 조영제 주입 후 100초, 140초, 그리고 180초에 각각 시행하였다. Gd-EOB-DTPA와 Gd-DTPA-BMA의 주입 용량은 각각 0.025 mmol/kg과 0.1 mmol/kg으로 하였다. Gd-EOB-DTPA와 Gd-DTPA-BMA 환자군에서 시간에 따른 간 실질의 신호강도 비(signal intensity ratio of the liver; 이하 SIRL), 간문맥과 비교한 간 실질의 상대적인 신호강도(contrast ratio between liver and portal vein; 이하 LPC), 비장과 비교한 간 실질의 상대적인 신호강도(contrast ratio between liver and spleen; 이하 LSC)를 구한 후 비교하였다.
결과: Gd-EOB-DTPA와 Gd-DTPA-BMA 환자군 사이에 환자의 나이, 성별, 간 기능의 분포는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SIRL값은 I군의 100초, II군의 100초와 140초 지연기 영상에서 Gd-EOB-DTPA 환자군이 Gd-DTPA-BMA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p < 0.05). LPC와 LSC값은 Gd-EOB-DTPA 환자군의 모든 군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Gd-DTPA-BMA 환자군은 모든 군에서 시간이 지나도 비슷한 값을 보였다. LPC값은 I군과 II군의 100초, 140초, 180초 지연기 영상에서 Gd-EOB-DTPA 환자군이 Gd-DTPA-BMA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 < 0.05). LSC값은 모든 군의 100초, 140초, 180초 지연기 영상에서 Gd-EOB-DTPA 환자군이 Gd-DTPA-BMA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 < 0.05).
결론: Gd-EOB-DTPA를 이용한 지연기 영상은 Gd-DTPA-BMA에서는 관찰할 수 없는 조영제의 간세포 내 분포에 영향을 받으며, 조영제 주입 후 시간이 지날수록 그 영향이 점차 커진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11-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JKSR) | KCI등재 |
2016-11-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9-1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 대한영상의학회지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 | 0.1 | 0.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06 | 0.05 | 0.258 | 0.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