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유경제 활성화 방안
공유경제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유하기 보다는 필요에 의해 서로 공유하는 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유휴 자원을 여럿이 함께 공유해서 사용하는 협력적 소비경제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2008년 세계 경제위기로 저성장, 취업난, 소득저하 등 사회문제가 심각해지자 과소비를 줄이고 합리적 소비생활을 지향하는 인식이 등장하면서 공유경제는 확산되기 시작했다. 인터넷,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모바일 등 IT 기술의 발전은 개인과 개인 간의 거래를 편리하게 만들어 공유경제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최근 차량공유서비스 우버와 숙박공유서비스 에어비앤비가 대표적인 글로벌공유경제 플랫폼으로 언급되기도 하지만, 공유경제의 본질은 유형과 무형의 자원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동서비스, 공간의 임대, 물품의 거래, 금융서비스, 정보 · 지식 서비스 등 협력적 공유를 통해 상호 윈윈하는 상생의 경제라 볼 수 있다.
공유를 통한 합리적 소비는 생산량을 감소시켜 과잉생산과 과잉소비로 인한 잉여물을 없애며 환경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경기도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공유경제를 추진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통해 도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공유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경기도형 공유사업의 추진, 공유경제 주체들 간의 협업 및 네트워크 강화, 효율성과 공공성을 충족하는 사업 발굴, 적절한 거버넌스 구성과 홍보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경기도형 공유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특성과 연령, 직업 등을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모델을 바탕으로 사업을 구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즈니스경기도는 공유경제의 주요 구성 주체인 중앙정부, 공유기업, 시 · 군 등과 협업 및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하며, 공유재 공급자와 플랫폼 운영자에 대한 합리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자원을 적게 투자하면서 효과가 높은 공유사업을 발굴하여 효율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공유경제는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여 서로의 자원을 공유하는 것에서 시작된 것이다. 따라서 공유경제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합리적인 거버넌스 구성이 전제되어야 하며 공유경제 이용자들을 위한 다양한 홍보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경기도 공유경제는 더욱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제 모델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Sharing economy refers to activities that are shared by necessity rather than owning a product or service, and it is emerging as a form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in which many people share common idle resources each other. Since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8, the sharing economy has begun to spread as an alternative method of reducing excessive consumption and searching for collaborative consumption. The evolution of IT such as mobile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facilitates the trans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enables the activation of sharing economy.
It is known that collaborative consumption through sharing can reduce overproduction and overconsumption, and contribute to the environment. Therefore, we need to discuss how to promote the sharing economy in Gyeonggi-Do. As a way to promote sharing economy in Gyeonggi-Do, we propose some Gyeonggi-do type sharing businesses, collaboration and network enhancement between sharing economy actors, proper governance structure, and strengthening PR.
In order to promote the Gyeonggi-do type sharing businesses, it is important to envision them based on the sustainable sharing mode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age and occup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llaboration and network with central government, sharing economy companies, cities and counties, which are major actors in sharing economy. In addition, a lot of efforts should be made to find ways to meet efficiency and publicity simultaneously by investing fewer resources and finding more effective sharing business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