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문화적 기억’으로서의 운주사-예술적 관습을 중심으로- = Unjusa Temple as “Cultural Memory” -Focusing on Artistic Convention-
저자
정경운 (전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63-300(38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소장기관
This research arranged and compiled the artistic interpretational conventions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is is a restructured report composed of new meanings of Unjusa temple based on Gwangju in May 1980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or its expandability, that creation of new meanings originated from the artistic interpretation, and that the repeated artistic reinterpretation allowed the temple visitors to remember the “cultural memory” of Gwangju in May 1980.
First, this study discovered that Unjusa temple has already been recognized as a “space of memory” to remember and reenact the incidents in “Gwangju” in 1980 by the initial visitors groups including intellectuals and artists before the temple was used as a material of artistic embodiment, and reviewed the process that Unjusa temple was recorded in the context of cultural memory on “Gwangju”. It also discussed three aspects (incomplete narration and the future in abeyance, link between the images of the statute of the Buddha/pagoda and the public, intentional choice of the names of the Buddhist temple about the desire for reform), focusing on the book titled “Jang Gil San” by Hwang Seok Young as the origin of the artistic convention on the fact.
The hypothesis, which led the discussion, was that Unjusa temple, which was reinterpreted by the initial visitors group, could be regarded as the first cultural memory and as an artistic “medium”. If this hypothesis is accepted, all artistic works by artists can have the characteristics as “a medium created by a medium”. Then, it is assumable that the artistic conventions of the meta-media could have had impacts on the experience of visiting Unjusa temple by some public visiting groups including those who remember Gwangju. This is also the point to create the cultural memories at the public level. In this regard, Unjusa temple that has been reinterpreted since the 1980s and the temple-based artworks can be considered as “arts of memory” that constantly reminds us of our cultural capabilities not to lose or forget Gwangju.
이 글은 운주사가 1980년 광주의 ‘오월’ 혹은 그 확장성에 기반하여 새로운 의미로 재구성된 텍스트라는 점, 새로운 의미 창출이 최초로는 예술적 독해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는 점, 그리고 반복된 예술적 재독해 작업들이 방문자들로 하여금 광주 ‘오월’의 ‘문화적 기억’ 행위를 가능케 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 예술적 독해의 관습들을 정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운주사가 예술적 형상화의 소재로 다루어지기 이전에 이미 지식인과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한 초기 방문 집단들에 의해 1980년의 ‘광주’를 기억해내고 재현해내는 ‘기억의 공간’으로서 인지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운주사가 ‘광주’에 대한 문화적 기억의 맥락에 기입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예술적 관습의 기원으로서 황석영의 『장길산』을 중심으로, 세 가지 측면(미완의 서사와 유보된 미래, 불상/불탑의 이미지와 민중 이미지의 연결, 변혁 열망과 관련된 ‘運舟’ 명칭의 의도적 선택 등)을 논의했다.
이 논의를 이끌어갔던 가설은 초기 방문 집단들에 의해 재해석된 운주사가 광주 오월에 대한 첫 번째 문화적 기억이자 예술로서의 ‘매체’로 볼 수 있다는 것이었다. 만약 이 가설이 허용될 수 있다면, 이후의 작가들에 의한 예술적 작업들은 ‘매체에 의한 매체’로서의 특징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메타 매체들의 예술적 관습은 곧 광주를 기억하는 사람들을 포함한 일부 대중적 방문 집단들의 운주사 경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이는 대중적 층위의 문화적 기억이 만들어지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1980년대 이후 재해석된 운주사는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산출되고 있는 예술작품들은 광주를 상실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우리들의 문화적 능력을 상기시키는 ‘기억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20-03-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Institute of Honam Studies | KCI등재 |
2019-06-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 -> 호남학외국어명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The Journal of Honam Studies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2009-06-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8-08-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소 -> 호남학연구원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Culture Research Center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41 | 0.508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