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비제도권 인권교육 현황분석을 통한 학교인권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Analysis of the State of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저자
조태원 (서울성내초등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1-108(18쪽)
KCI 피인용횟수
10
제공처
The necess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is increasingly stressed along with recent social phenomena. So far, a lot of studies have been implemented on this issue, and human rights education must be provided as part of institutional school education to stay abreast with the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 education in a bi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Four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related organization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to serve the purpose from among lots of related institutions: SARANBANG Group for Human Rights, Dasan Human Rights Center and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The selected institutions respectively represented national agencies, nongovernment group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goals and ideology of each group were discussed, and literature review was done to compare their human rights education, objectives of that education and relevant activities by utilizing their websites and data published by them and by having an interview with people in charg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ome limits to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due to a lack of national guidelines about the directions of that, social perception of looking at the issue just from an ideological perspective, physical school environments, and awarenes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nd there were favorable prospects for this issue as well, which are expected to lead to the realization of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For instance,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the way teachers and students look at the issue, and that education could be offered in social studies class. Besides, human rights-friendly school setting will possibly be create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ate of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 education provided by human rights groups to discuss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though it produced little immediate visible results. Lots of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 the future into this issue to determine how to actualize human rights education as part of institutional school education.
더보기인권교육은 최근의 사회상과 맞물려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인권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당연히 귀결되어져야 할 것이 바로 ‘학교인권교육의 도입’이다. 본 연구는 비제도권 인권교육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학교인권교육 도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학교인권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여 그 방향성 정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비제도권 인권관련단체는 인권운동사랑방, 다산인권센터, 국제사면위원회,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4곳이다. 먼저 각 단체들이 추구하는 인권교육의 개념, 목표 및 이념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단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권교육의 세부목표, 인권교육 관련 활동내용, 인권교육의 내용 구성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홈페이지 및 발간자료 등을 통한 문헌연구와 더불어 인권교육 담당자와의 면담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교인권교육의 한계 요인으로 국가 수준의 인권교육의 방향 정립이 없다는 점, 인권교육은 이념적 접근이라는 사회적 인식, 학교의 비민주적인 환경 요인, 학교의 교사 및 관리자의 인식문제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학교인권교육이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 요인으로는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의식 변화, 사회과 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인권교육의 가능성, 인권친화적인 학교환경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제도권 인권단체의 인권교육 현황분석을 통하여 추상적이나마 학교인권교육 도입에 있어서의 체계적인 방향정립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차후, 구체적인 학교인권교육의 도입방안, 목표, 교육내용, 교육과정 수립 등에 대한 연구와 시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6-06-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7 | 1.87 | 1.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9 | 1.41 | 2.432 | 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