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성한 불구자들의 시대 2― 근대시에 나타난 병원과 의료 ― = The Era of Healthy Disabled Person 2- Hospital and Medical Treatment in Korean Modern Poetry -
저자
임수영 (동덕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1-151(21쪽)
제공처
이 논문은 근대시에 나타난 질병의 시화방식과 근대 의료체계 내에서 질병을 지닌 환자가 취급되는 양상을 당대의 사회・역사적 상황과 결부시켜 살펴봄으로써 그에 내포된 함의들을 도출해본 작업이다. 이는 당대 시에 나타난 ‘질병’을 소재로서의 병리적 증상에 국한시키지 않고 치료를 담당해야 할 의사, 근대적 의료기관으로서의 병원과 결부된 문제로 연구한 첫 작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론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본문의 첫 장에서는 정신병의 확산이라는 당대의 사회적 현상을 배경으로 창작된 시편들에서 병원 내 격리병사가 지니는 공간적 특수성과 그 안에 ‘수용’된 환자들의 모습을 살펴본다.
본론의 두 번째 장에서는 이처럼 수용시설로 제한된 병원에 소속된 의사들이 환자를 대하는 태도를 주목한다. 당대 시편들은 이를 치료의 기능을 담당하지 못하는 의사, 진단되지 못하는 질병으로 고통 받는 환자의 모습과 결부시켜 형상화하였다. 근대 의료체계 속에서 소외된 환자의 모습을 조명한 이들 시편을 분석함으로써 일제의 통치방식을 비판적으로 바라본 당대시의 특성을 규명해본다.
이 연구는 1930년대 중반 이후의 시에서 병원, 의사, 환자 등 근대의료의 제양상을 시화한 특성이 근대의료의 도입이라는 시대현상의 반영일 뿐만 아니라, 당대 비평계의 흐름과 맞물리는 시인들의 창작방식, 즉 일제 식민치하에서 억압된 생각을 시를 통해 표출하던 당대 시인들의 응전방식이라고 바라본다.
This paper is a follow-up to my previous study. After 1935’s Korean modern poetry have poetic features. It is based on the situation of hospitals, patients, and modern medicine. Searching for poetical imagery of hospitals, patients, and modern medicine in after 1935’s korean modern poetry, this paper examines the way how disease is treated in modern medical system under Japanese imperialism.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i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Against the backdrop of a social phenomena called the spread of mental illness, it deals with the isolation space in the hospital and the the alienation of patients that occurs there. Second, We can find the uncommunication situation between patients and doctors in the poetry in after 1935’s.
This view of modern medicine has relation with the governing principle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after 1935’s korean poetry which poeticize a hospital and patients in it shows this deformed situation criticall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