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동북아시아 초기철기문화의 병행관계와 교류양상 = A Study on Parallel Relation and Exchange Aspect of the Early Iron Age Cultur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1-115(45쪽)
KCI 피인용횟수
6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이 글은 동북아시아 초기철기문화의 변천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지역간 병행관계와 교류양상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먼저 수계와 고고문화적인 차이에 따라 제2송화강 중상류지역, 제1송화강 중류지역, 삼강평원지역, 흑룡강 중하류지역, 목단강 중하류지역, 한•중•러 국경지역으로 크게 구분을 하고, 시간성에 민감한 토기의 기종구성과 형식변화를 기준으로 지역 고고문화의 편년체계를 구축 하였는데, 특히 러시아 영내에서 확인되는 초기철기문화에 대해서는 종래의 연구보다 세분하였다. 동북아시아 초기철기문화의 병행관계와 연대 비정에 유용한 두형토기, 角狀把手土器, 시루 등의 토기류와 철부, 철촉, 五銖錢 등의 금속기 유물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초기철기문화는 크게 4기로 구분된다. 조기에는 우릴 문화 1기, 교남문화 1기가 확인되는데 철기가 공반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Ⅰ기에는 東康類型 1기, 團結-크로우노브카 문화 1기, 얀콥스키 문화 2기가 병행한다. 초기철기 문화 Ⅱ기 전반에는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 2기, 泡子沿文化 2-1기, 동강유형 2기, 東興文化의 병행관계가 성립되며, 초기철기문화 Ⅱ기 후반에는 폴체 문화 2기와 滾兎嶺文化가 동시기로 판단된다. 그리고 초기철기문화 Ⅲ기에는 폴체 문화 3기, 鳳林文化 1~2기, 연해 주 폴체 문화 1~2기, 河口遺存 등이 시기적으로 병행된다. 특히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2세기의 초기철기문화 Ⅱ기에는 광역 교류망과 소지역간 교류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의 사례로는 제2송화강 중상류지역의 포자연문화 요소가 흑룡강 중하류지역, 목단강 중하류역, 한•중•러 국경지역까지 영향을 준 것이며, 후자의 사례는 목단강 중하류지역과 한•중•러 국경지역, 삼강평원지역과 흑룡강 중하류지역 간의 물질문화의 상호작용이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transition of the early iron age culture in Northeast Asia, through which to examine inter-regional parallel relations and ex¬change aspects. First, this paper roughly did regional division of Northeast Asia into the mid-downstream area of the 2nd Songhuajiang, mid-downstream area of the 1st Song¬huajiang, Sanjiang Plain area, mid-downstream area of Heilongjiang, mid-downstream area of Mudanjiang, and border areas between Korea, China and Russia. Also, this pa-per constructed the regional close chronology system on the basis of type composition and form change of earthenware which is sensitive to temporality, and particularly, this paper subdivided Yril culture into 3 phases and Primorie Poltse culture into 2 phases. As a result of do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arallel relations of the early iron age culture in Northeast Asia, and earthenware artifacts such as high-footed earthenware, horn-shaped handle earthenware, and earthenware steamer, etc. which are useful for comparative estimation of the chronicle, and relics in the metal age like iron tool and weapon, ironhead and Wuzhueqian(a kind of coins), the first phase of the Dongkang type in the first phase of culture of the early iron age, the first phase of Tu¬anjie-Kroynovka culture, and the 2nd phase of Yankovski culture were found to form the parallel relations. It was found that in the first half of culture of the early iron age phase II, Tuanjie-Kroynovka culture phase II, Paoziyan culture phase II-I, and the Dong¬kang type wer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lso, it is judged that in the second half of culture of the early iron age phase II, Poltse culture phase II and Guntuling culture might belong to the same period. In addition, in culture of the early iron age phase III, Poltse culture phase III, Fenglin culture phase I~II, Primorie Poltse culture phase I~II, and relict estuary, etc. are found to b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chronologically. Lastly, this paper found that during the culture of early iron age phase II which wit¬nessed the most active interchange aspects between regions, Paoziyan culture ele¬ ments in the mid-downstream area of the 1st Songhuajiang had an influence on the mid-downstream area of Heilongjiang, mid-downstream area of Mudanjiang, the bor¬der areas between Korea, China and Russia.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mid-down¬stream area of Mudanjiang, border areas between Korea, China and Russia, Sanjiang Plain area, and mid-downstream area of Heilongjiang were brisk in their interaction of material culture, especially between small area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89 | 1.572 | 0.2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