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교육에서의 체험수업과 체험전시에 관한 고찰 = Study of Trial Lesson and Experimental Exhibit at Art Education
저자
조윤경 (수원여자대학교 아동미술과)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3(13쪽)
제공처
소장기관
21세기 어린이 미술교육은 보다 통합적이고 풍부한 미술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체험을 통한 미술교육과 어린이 체험전시라는 교육의 형태를 도출하였고, 여러 미술관에서는 방학이면 연례적으로 어린이를 위한 전시나 체험미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이렇게 수적으로 팽창되고 있는 어린이 체험학습과 체험전시에 있어 교육적인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 문제가 무엇인가를 점검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일이다.
본 연구는 교육에서 체험의 의미를 고찰하고 그 의미가 미술교육에 적용되는 사례를 통하여 미술교육에서의 체험의 의미를 다시 한 번 고찰해 보고자한다.
또한, 미술 뿐 아니라, 체험을 중심으로 하는 외국 어린이박물관이나 어린이미술관의 사례를 통하여 교육으로서의 체험전시에 대한 고찰과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팽창하고 있는 체험미술교육과 체험전시에 대한 점검과 성찰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본 연구는 다양한 연구 자료들을 기초로 문제를 제기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이 후 보다 심도 깊은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기를 바란다.
Child art education in 21st century is focused on bringing more integrated and abundant (various) tools of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e form of experience oriented child art education and exhibit has derived from current trend of art education like this. As a result, many art museums are habitually running routine exhibits for children or experimental art program to attract children with seasonal vacations.
Hence, it is very urgent to examine and determine what factors of child trial lesson and experimental exhibit requires most intensive attention while those forms of child art education is in quantitative increase recently. The Study intends to looks into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education and example of how that meaning has applied to art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art education will be revisited and considered as well.
The Study also tries to suggest further directions of experimental exhibit as an educational tool throughout study on examples of child art museums of other countries specialized in experimental programs.
I believe this study can provide our art education field an opportunity to examine and self-reflect on the current practice of trial lessons and experimental exhibit at art education.
The study also tries to bring agenda based on various other studies and hope more various and in-depth studies followed by the stud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