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기독교 교육은 왜 중요한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목차
      • 기독교교육의 기초(基礎)
      • 기독교교육의 성서적 기초 = 42
      • 구약성서적 기초(基礎) = 42
      • 언어적(言語的) 이해 = 42
      • 구약의 교육모범(敎育模範) = 43
      • (1) 신명기 법전 = 43
      • (2) 예언서 = 43
      • (3) 잠언서 = 44
      • 구약의 교육사상(敎育思想) = 44
      • (1) 히브리인의 교육목적 = 44
      • (2) 교육의 출발점 = 44
      • (3) 지혜문학의 교육사상 = 45
      • (4) 하나님의 교육 = 45
      • 신약성서적 기초 = 45
      • 언어적 이해(理解) = 45
      • (1) 파이데이아 = 45
      • (2) 디다스코 = 45
      • 신약성서의 교육모범 = 46
      • (1) 예수의 교육 = 46
      • (2) 제자들의 교육 = 47
      • 신약의 교육사상(敎育思想) = 47
      • (1) 유대 교육의 독특성 = 47
      • (2) 유대 교육사사의 특성 = 48
      • (3) 신약 교육사상의 기초 = 48
      • (4) 신약의 교육사상과 현대교육 = 48
      • 기독교교육의 성서적 원리 = 49
      • 성서적 증언의 핵심 = 49
      • 성서적 교육원리 = 50
      • 기독교교육의 신학적 기초 = 52
      • 신학의 교육적 중요성 = 52
      • 신학과 교육의 관계 = 52
      • (1) 신학의 정의 = 52
      • (2) 교육의 정의 = 52
      • 신학이해(神學理解) = 53
      • (1) 평신도의 신학이해 = 53
      • (2) 교육지도자의 신학이해 = 53
      • (3) 교회의 신학이해 = 54
      • 신학과 기독교교육의 상관성 = 55
      • 기독교교육의 내용과 신학 = 55
      • (1) 계시된 신앙 = 55
      • (2) 경험된 신앙 = 55
      • 교육목표와 신학 = 56
      • (1) 학문적 제사와 교육과정 = 56
      • 1) 기독교교육의 필요성 제시
      • 2) 신학적 견해와 교육목표
      • (2) 포괄적 교육과정 = 56
      • 신학과 교육방법(敎育方法) = 57
      • (1) 교육방법 설정의 기초 = 57
      • (2) 교육방법 실행의 기초 = 58
      • 기독교교육의 신학적 접근 = 58
      • 현대신학과 기독교교육 = 58
      • (1) 현대 신학의 동향 = 58
      • 1) 자유주의 신학
      • 2) 신학사조의 다양화
      • (2) 신학적 주제와 기독교교육 = 59
      • 1) 신론
      • 2) 계시론
      • 3) 인간론
      • 4) 구속론
      • 현대 기독교교육의 사조(思潮) = 62
      • (1) 종교교육협회 = 62
      • (2) 기독교교육의 신학적 재정비 = 62
      • 기독교교육의 사회문화적 기초 = 63
      • 기독교교육과 문화 = 63
      • 사회문화(社會文化)의 개념(槪念) = 63
      • 성경의 문화관(文化觀) = 63
      • (1) 구약의 문화관 = 63
      • (2) 신약의 문화관 = 66
      • 기독교교육과 사회문화 = 67
      • (1) 사회풍속과 기독교교육 = 67
      • (2) 사회규범과 기독교교육 = 67
      • (3) 사회제도와 기독교교육 = 68
      • 기독교교육의 문화적 특성 = 69
      • 기독교교육의 문화적 위치 = 69
      • 기독교교육의 문화적 대상 = 70
      • 기독교교육의 문화적 기능 = 71
      • (1) 사회문화의 혁신 = 71
      • (2) 사회문화의 계승과 창조 = 72
      • 현대 사회문화 속의 기독교교육 = 73
      • 사회문화의 성격과 기독교교육 = 73
      • 기독교교육 사회화 = 74
      • 기독교교육의 역사(歷史)
      • 성서시대(聖書時代) = 80
      • 구약시대의 종교교육(宗敎敎育) = 80
      • 히브리인의 교육 = 80
      • (1) 가정교육 = 80
      • (2) 종교의식을 통한 교육 = 81
      • 1) 할례
      • 2) 메주자
      • 3) 바미즈와
      • 4) 안식일
      • 5) 유월절
      • 6) 장막절
      • 유대교의 종교교육 = 81
      • (1) 회당교육 = 81
      • (2) 학교교육 = 82
      • 1) 베드 하세퍼
      • 2) 베드 탈무드
      • 3) 베드 하미드라쉬
      • 4) 아카데미
      • 신약시대의 종교교육(宗敎敎育) = 83
      • 예수의 교육 = 83
      • (1) 말을 통한 교육 = 83
      • 1) 강론
      • 2) 질문
      • 3) 토론
      • (2) 삶을 통한 교육 = 84
      • (3) 상징을 통한 교육 = 84
      • 1) 개인
      • 2) 대중
      • 3) 제자들
      • 예수의 교훈(敎訓) = 85
      • (1) 하나님의 나라 = 85
      • (2) 회개 = 86
      • (3) 사랑 = 86
      • 초대교회(初代敎會)의 교육 = 87
      • (1) 신앙 공동체의 교육 = 87
      • (2) 초대교회 교육의 형태 = 88
      • 중세시대(中世時代) = 89
      • 중세 전기의 교육 = 89
      • (1) 교회 중심의 교육 = 89
      • 1) 미사 카테큐메노룸
      • 2) 미사 피델리움
      • (2) 학교교육 = 90
      • 1) 문답학교
      • 2) 고급문답학교
      • 3) 본산학교
      • 중세 후기의 교육 = 90
      • 수도원교육(修道院敎育) = 91
      • (1) 수도원 설립의 요인 = 91
      • (2) 수도원의 기원 = 92
      • (3) 교육목적 = 92
      • (4) 교육내용 = 92
      • (5) 교육방법 = 94
      • 스콜라 철학의 교육에 대한 영향 = 94
      • 기사도교육(騎士道敎育) = 95
      • (1) 기사도교육의 목적 = 95
      • (2) 기사도의 교육과정과 내용 = 95
      • 1) 제1과정
      • 2) 제2과정
      • 3) 제3과정
      • 4) 제4과정
      • 시민교육의 발달 = 95
      • (1) 조합학교 = 96
      • (2) 도시학교 = 96
      • (3) 도제교육제도 = 96
      • 1) 도제
      • 2) 직공
      • 3) 마스터
      • 대학의 발달(發達) = 97
      • (1) 대학의 성격 = 98
      • (2) 대학의 교수방법 = 99
      • (3) 대학의 특원 = 99
      • 1) 병역, 부역, 세금의 면제(교수와 학생)
      • 2) 독립된 법정 설치
      • 3) 학위수여권
      • 4) 신분보호와 자유
      • 5) 법적 권리
      • (4) 대학의 영향 = 99
      • 종교개혁시대(宗敎改革時代) = 100
      • 문예부흥기(文藝復興期)의 교육 = 100
      • 문예부흥의 발상(發祥) = 100
      • 개인적 인문주의 교육 = 101
      • 사회적 인문주의 교육 = 101
      • 키케로주의(Ciceronianism)교육(敎育) = 102
      • 인문주의의 교육적 영향 = 102
      • 종교개혁기(宗敎改革期)의 교육 = 103
      • 종교개혁사상 = 103
      • 개신교(改新敎)의 교육 = 104
      • 가톨릭의 교육 = 104
      • 예수회의 교육 = 105
      • 종교개혁의 교육적 영향 = 106
      • 종교개혁기의 교육사상가 = 106
      • 비토리노 = 106
      • 에라스무스 = 106
      • 비베스 = 107
      • 라블레 = 107
      • 루터 = 107
      • 칼빈 = 109
      • 멜랑히톤 = 109
      • 로욜라 = 109
      • 근대 주일학교시대 = 110
      • 근세 초기의 기독교교육 = 110
      • 교회교육(敎會敎育)의 퇴보 = 110
      • 근세 교회교육의 사조(思潮) = 110
      • (1) 정통주의 = 110
      • (2) 경건주의 = 110
      • (3) 합리주의 = 111
      • 주일학교의 시작(始作) = 112
      • 영국의 종교교육(宗敎敎育) = 112
      • (1) 일반교육의 부진 = 112
      • (2) 빈민학교의 설립 = 112
      • 1) 유년학교
      • 2) 급장학교(감독생학교)
      • 3) 기독교지식보급협회
      • 주일학교의 창시자(創始者) = 113
      • (1) 로버트 레이크스 = 113
      • (2) 레이크스의 관심 = 113
      • 주일학교의 설립(設立) = 113
      • (1) 최초의 주일학교 = 113
      • (2) 주일학교운동의 확산 = 114
      • 1) 새로운 교육이론에 근거
      • 2) 시대사상과의 조화
      • 3) 평신도 중심의 운동
      • 영국의 주일학교운동 = 115
      • (1) 런던 주일학교연맹 = 115
      • (2) 주일학교 서적 간행 = 115
      • (3) 랑카스터 제도 = 115
      • (4) 반주일학교운동 = 116
      • 주일학교의 발달(發達) = 116
      • 유럽의 주일학교 = 116
      • (1) 독일의 기독교교육 = 116
      • 1) 서독교회
      • 2) 동독교회
      • (2) 북구 제국의 기독교교육 = 116
      • 미국의 주일학교운동 = 117
      • (1) 미국 초기의 종교교육 = 117
      • 1) 사설학숙
      • 2) 3R 학교
      • 3) 라틴어 문전학교
      • 4) 대학
      • (2) 미국 초기의 주일학교운동 = 118
      • (3) 도시 주일학교 연합회 = 119
      • (4) 미국 주일학교연맹 = 120
      • 1) 교육적 방면
      • 2) 조직적 방면
      • 3) 사업확장 방면
      • (5) 전미국 주일학교대회 = 121
      • 세계의 주일학교운동 = 121
      • (1) 통일공과의 채택 = 121
      • (2) 국제 주일학교대회 = 121
      • (3) 세계 주일학교대회 = 122
      • (4) 국제 주일학교협회 = 123
      • (5) 종교교육연합회 = 123
      • 한국의 기독교교육사(基督敎敎育史) = 124
      • 선교초기(宣敎初期)의 기독교교육 = 124
      • 기독교학교의 설립(設立) = 124
      • 여성교육(女性敎育)의 시작 = 125
      • 문서교육(文書敎育) = 125
      • 기독교교육의 발전(發展) = 126
      • 주일학교(主日學校)의 교육운동 = 126
      • 장년교육(壯年敎育)의 성장(成長) = 127
      • 기독교학교의 발전(發展) = 127
      • 기독교청년연합회의 조직과 청년운동 = 127
      • 여성교육(女性敎育)의 발전 = 128
      • 일제시대(日帝時代)의 기독교교육 = 129
      • 주일학교운동의 발전(發展) = 129
      • (1) 주일학교 = 129
      • (2) 하기 아동성경학교 = 129
      • 공과편찬 사업(工課編纂 事業) = 130
      • 해방후(解放後)의 기독교교육 = 130
      • 기독교교육의 재건(再建) = 130
      • (1) 북한의 재건운동 = 131
      • (2) 남한의 재건운동 = 131
      • 기독교교육의 발전(發展) = 132
      • 한국 기독교교육의 과제(課題) = 133
      • 기독교교육의 원리(原理)
      • 기독교교육(基督敎敎育)의 목적(目的) = 138
      • 기독교교육의 목적 = 138
      • 목적설정의 근거(根據) = 138
      • 기독교교육의 목적 이해(目的 理解) = 139
      • 1) 영적 목표
      • 2) 정신적 목표
      • 3) 신체적 목표
      • 4) 시회적 목표
      • 기독교교육 목적의 사적 고찰 = 140
      • 구약시대(舊約時代)의 교육목적 = 140
      • 초대교회(初代敎會) 시대의 교육목적 = 141
      • 중세기(中世紀)의 교육목적 = 141
      • 종교개혁(宗敎改革) 이후의 교육목적 = 141
      • 근세(近世)의 교육목적 = 142
      • 현대(現代)의 교육목적 = 142
      • 기독교교육의 목표(目標) = 144
      • 구원(救援)의 확신을 통한 기독화(基督化) = 144
      • (1) 하나님에 대한 인식 = 144
      • (2) 기독교적 인간이해 = 144
      • (3) 그리스도인의 사명에 대한 인식 = 145
      • 인격성장(人格成長)을 통한 사회화 = 146
      • (1) 그리스도를 닮은 인격형성 = 146
      • (2) 사회화 = 147
      • 경건의 훈련을 통한 가정화(家庭化) = 147
      • 주체성 회복을 통한 인간화(人間化) = 148
      • (1) 자유의 축하행위 = 148
      • 1) 자유로운 인간
      • 2) 발전적인 안목
      • 3) 주어진 삶에의 감사
      • (2) 인간화 = 149
      • 기독교 교육철학(基督敎 敎育哲學) = 150
      • 기독교 교육철학의 기호(嗜好) = 150
      • 기독교 교육철학의 의미(意味) = 150
      • 기독교 교육철학의 과제와 영역 = 150
      • 기독교 교육철학의 근거로서의 성경 = 151
      • 기독교 교육철학의 근거로서의 신학 = 151
      • 1) 신학적 근거에 대한 역사적 고찰 = 151
      • 2) 신학적 근거에 대한 구조적 고찰 = 152
      • 1) 계시
      • 2) 인간
      • 3) 만남의 자리
      • 기독교 교육철학의 근거로서의 기독교철학 = 153
      • (1) 신 중심적 형이상학 = 153
      • (2) 계시 중심적 인식론 = 154
      • (3) 인간론(하나님의 형상적 존재) = 155
      • (4) 가치론(영원한 것) = 155
      • (5) 기독교 철학의 목적(그리스도 중심적) = 156
      • 기독교 교육철학의 본질(本質) = 156
      • 기독교 교육철학의 의의(意義) = 156
      • 기독교 교육철학의 인간이해 = 156
      • (1) 창조된 인간관 = 156
      • (2) 타락된 인간관 = 156
      • (3) 구속된 인간관 = 157
      • (4) 하나님께 부름받은 자로서의 인간 = 157
      • 기독교교육의 목적(目的) = 157
      • (1) 기독교교육의 목적과 일반교육 목적과의 관계 = 157
      • (2) 기독교교육의 목적 = 158
      • 1) 일반적 목적
      • 2) 구체적 목적
      • 기독교 교육심리학(敎育心理學) = 160
      • 기독교교육의 심리학적 기초(基礎) = 160
      • 심리학(心理學)의 정의 = 160
      • (1) 영혼의 연구 = 160
      • (2) 의식의 연구 = 160
      • (3) 무의식의 연구 = 160
      • (4) 행동의 연구 = 160
      • 교육심리학의 정의(定義) = 160
      • 기독교 교육심리학의 정의(定義) = 161
      • 교육심리학의 영역(領域) = 161
      • 발달심리(發達心理) = 161
      • (1) 발달의 의미 = 161
      • (2) 발달과 교육 = 162
      • (3) 성장과 성숙 = 162
      • 학습심리(學習心理) = 162
      • (1) 학습의 의미 = 162
      • (2) 학습의 조건 = 162
      • 1) 준비성의 요인
      • 2) 생리적 요인
      • 3) 심리적 요인
      • 4) 물리적 요인
      • 집단심리(集團心理) = 163
      • (1) 집단 = 163
      • 1) 집단의 의미
      • 2) 집단역학
      • (2) 학급집단 = 164
      • 1) 학급사회
      • 2) 학급집단의 특성
      • 생활지도(生活指導) = 165
      • (1) 생활지도의 정의 = 165
      • (2) 생활지도의 형태 = 165
      • 1) 집단지도
      • 2) 개별지도
      • 기독교 교육심리학의 적용(適用) = 166
      • 학습심리학(學習心理學)의 적용 = 166
      • (1) 학습심리와 학습과정의 분리 = 166
      • (2) 학습심리학과 학습과정의 통합 = 166
      • 1) 제스 지글러의 이론
      • 2) 랜돌프 크럼프 밀러의 이론
      • (3) 학습이론에 대한 평가 = 166
      • 인격과 성격(性格) = 167
      • (1) 인격의 정의 = 167
      • (2) 인격발달의 요소 = 167
      • 1) 유전
      • 2) 환경
      • 3) 자아의 확장
      • (3) 성격의 형성(形成) = 167
      • 1) 성격의 근본적 요소
      • 2) 성격형성의 과정
      • (4) 기독교적 인격의 성장 = 168
      • 1) 건전한 가정
      • 2) 회심과 그리스도와의 일치
      • 3) 믿음과 개인적 봉헌
      • 종교의식과 기독교교육 = 169
      • (1) 하나님 의식 = 169
      • (2) 종교적 성장의 기초 = 169
      • 기독교교육과 발달심리 = 170
      • 발달심리의 제기초(諸基礎) = 170
      • 발달의 정의(定義) = 170
      • 발달과 교육(敎育) = 170
      • 발달의 원리(原理) = 170
      • (1) 맥코넬의 발달원리 = 170
      • 1) 상관성
      • 2) 연속성
      • 3) 분화성
      • (2) 저실드의 발달원리 = 170
      • (3) 오니시세이이찌로의 발달원리 = 170
      • 발달의 조건(條件) = 171
      • (1) 유전적 조건 = 171
      • (2) 환경적 조건 = 171
      • 1) 가정
      • 2) 사회
      • 발달의 단계(段階) = 172
      • 발달의 과업(課業) = 172
      • (1) 유아기(1∼6세)의 발달과업 = 172
      • (2) 아동기(6∼12세)의 발달과업 = 172
      • (3) 청년전기(13∼18세)의 발달과업 = 172
      • (4) 청년후기(18∼25세)의 발달과업 = 173
      • 발달의 종류(種類) = 173
      • 신체적(身體的) 발달 = 173
      • (1) 신체발달의 경향 = 173
      • (2) 체력과 운동 = 173
      • 지적(知的) 발달 = 174
      • (1) 지능의 발달 = 174
      • (2) 언어의 발달 = 174
      • 1) 준비기
      • 2) 명명기
      • 3) 1세 반에서 2세까지의 시기
      • 4) 시간관념이 나타나는 시기
      • 5) 문장형태가 형성되는 시기
      • (3) 사고의 발달 = 175
      • 1) 직접적 행동을 통한 사고
      • 2) 간접적 사고활동
      • 정서적(情緖的) 발달 = 175
      • (1) 애정의 표현 = 175
      • (2) 공포의 표현 = 175
      • (3) 분노의 표현 = 175
      • 사회적(社會的) 발달 = 175
      • 도덕적(道德的) 발달 = 177
      • 종교적(宗敎的) 발달 = 177
      • 발달과정의 실제(實際) = 178
      • 영·유아기(영幼兒期) 어린이 = 178
      • (1) 신체적 특징과 지도 = 178
      • (2) 정신적 특징과 지도 = 178
      • (3) 영적 특징과 지도 = 179
      • 유치부(幼稚部) 어린이 = 179
      • (1) 신체적 특징 = 179
      • (2) 정신적 특징 = 179
      • (3) 영적 특징 = 179
      • (4) 유치부 어린이의 지도 = 180
      • 1) 예배
      • 2) 성경공부
      • 3) 생활지도
      • 유년부(幼年部) 어린이 = 180
      • (1) 신체적 특징 = 180
      • (2) 정신적 특징 = 180
      • (3) 영적 특징 = 180
      • (4) 유년부 어린이의 지도 = 180
      • 1) 예배
      • 2) 성경공부
      • 3) 생활지도
      • 초등부(초등부) 어린이 = 180
      • (1) 신체적 특징 = 180
      • (2) 정신적 특징 = 181
      • (3) 영적 특징 = 181
      • (4) 초등부 어린이의 지도 = 181
      • 1) 예배
      • 2) 성경공부
      • 3) 생활지도
      • 중등부 학생(中等部 學生) = 181
      • (1) 신체적 특징 = 181
      • (2) 정신적 특징 = 182
      • (3) 영적 특징 = 182
      • (4) 중등부 학생의 지도 = 182
      • 1) 예배
      • 2) 성경공부
      • 3) 생활지도
      • 고등부 학생(高等部 學生) = 183
      • (1) 신체적 특징 = 183
      • (2) 정신적 특징 = 183
      • (3) 영적 특징 = 183
      • (4) 고등부 학생의 지도 = 183
      • 1) 예배
      • 2) 성경공부
      • 3) 생활지도
      • 대학부(청년부) 학생 = 183
      • (1) 신체적 특징 = 183
      • (2) 정신적 특징 = 183
      • (3) 영적 특징 = 183
      • (4) 대학부 학생의 지도 = 183
      • 1) 예배
      • 2) 성경공부
      • 3) 생활지도
      • 기독교 교육과정(敎育課程) = 184
      • 기독교 교육과정의 의미(意味) = 184
      • 교육과정의 정의(定義) = 184
      • (1) 광의의 교육과정 = 184
      • (2) 협의의 교육과정 = 184
      • 1) 범위문제
      • 2) 배열문제
      • 3) 구조문제
      • 4) 영역문제
      • 기독교 교육과정의 성격(性格) = 185
      • 기독교 교육과정의 역사(歷史) = 185
      • 구약시대(舊約時代) = 185
      • (1) 포로기 이전의 교육 = 185
      • 1) 가정교육
      • 2) 장년층에 대한 교육
      • (2) 포로기 이후의 교육 = 186
      • 1) 랍비학교
      • 2) 베드 하세퍼
      • 3) 베드 하미드라쉬
      • 4) 아카데미
      • 5) 회당제도
      • 신약시대(新約時代) = 186
      • (1) 예배를 통한 교육 = 187
      • (2) 교육기관 = 187
      • 1) 초신자학교
      • 2) 문답학교
      • 3) 감독학교(대사원학교)
      • 중세시대(中世時代)의 교육과정 = 187
      • (1) 평신도교육 = 187
      • (2) 교역자양성 = 187
      • 1) 수도원학교
      • 2) 수녀학교
      • 3) 감독학교(대사원학교)
      • 4) 교구학교
      • (3) 중세기의 대학교육 = 188
      • 종교개혁시대(宗敎改革時代) = 188
      • (1) 루터의 교육 = 188
      • 1) 루터가 생각한 교육기관
      • 2) 루터의 교육과정
      • 3) 교육에 대한 루터의 공헌
      • (2) 칼빈의 교육 = 188
      • 1) 칼빈의 교육사상
      • 2) 칼빈의 교육과정
      • 3) 교육에 대한 칼빈의 공헌
      • (3) 존 녹스의 교육 = 189
      • 근대(近代) 기독교 교육과정 = 189
      • 현대(現代) 기독교 교육과정 = 189
      • (1) 교육과정의 혼란기 = 189
      • (2) 통일공과기 = 190
      • (3) 계단공과기 = 190
      • 기독교 교육과정의 구성(構成) = 190
      • 교육과정의 유형(類型) = 190
      • (1) 요리문답서 = 190
      • (2) 성구발췌 교안 = 190
      • (3) 통일공과 = 191
      • (4) 계단공과 = 191
      • 교육과정의 구성원리(構成原理) = 191
      • (1) 일반적인 교육과정의 구성원리 = 192
      • 1) 계열성의 원리
      • 2) 계속성의 원리
      • 3) 범위의 원리
      • 4) 통합성의 원리
      • (2) 기독교 교육과정의 구성원리 = 192
      • 1) 하나님 중심의 원리
      • 2) 성경 중심의 원리
      • 3) 실제성의 원리
      • 교육과정의 구성방법(構成方法) = 193
      • (1) 교육목적의 설정 = 193
      • (2) 교육목표의 설정 = 193
      • 1) 영적 목표
      • 2) 인격적 목표
      • 3) 사회적 목표
      • (3) 교재의 배열 = 193
      • 1) 심리적 배열
      • 2) 논리적 배열
      • (4) 구성단계 = 193
      • 기독교 교육사상
      • 어거스틴의 교육사상(敎育思想) = 198
      • 어거스틴의 교육관(敎育觀) = 198
      • 어거스틴의 교육사상적 기초 = 198
      • (1) 교부시대의 교육 = 198
      • (2) 성 어거스틴 = 198
      • (3) 어거스틴의 인간이해와 교육이해 = 199
      • 어거스틴의 진리관(眞理觀) = 199
      • 사실(事實)에 관한 진리 = 200
      • 인간존재(人間存在)에 관한 진리 = 200
      • (1) 철학적 배경 = 200
      • 1) 플라톤의 철학사상
      • 2) 어거스틴의 진리이해
      • (2) 진리와 인간존재와의 관계 = 202
      • 1) 하나님과 진리
      • 2) 인간의 내적 개방과 진리
      • 교육목적으로서의 진리이해 = 203
      • 어거스틴의 교육방법(敎育方法) = 204
      • 언어(言語)와 진리(眞理) = 204
      • (1) 말의 기능 = 204
      • 1) 이름으로서의 기능
      • 2) 말의 의미
      • (2) 말의 한계성 = 205
      • (3) 말과 진리와의 관계 = 205
      • (4) 진리의 구체화로서의 말과 교육 = 205
      • 교사(敎師)의 역할(役割) = 206
      • 종교개혁자의 교육사상 = 208
      • 칼빈의 교육사상(敎育思想) = 208
      • 칼빈의 사상적 배경(背景) = 208
      • (1) 종교개혁과 개신교의 기독교교육 = 208
      • (2) 칼빈의 기독교교육 활동 = 208
      • 칼빈 교육사상의 기초(基礎) = 209
      • (1) 칼빈 사상의 핵심 = 209
      • (2) 하나님 인식 = 209
      • 1) 칼빈의(하나님 인식)
      • 2) 인간의 자기 인식과 그리스도
      • 칼빈의 교육사상(敎育思想) = 210
      • (1) 교육의 필요성 = 210
      • (2) 교육의 가능성 = 211
      • (3) 교육의 목적 = 211
      • (4) 교육의 내용 = 212
      • 1) 신앙과 인식
      • 2) 신앙의 인식(하나님 인식)
      • 3) 칼빈의 교육
      • 루터의 교육사상(敎育思想) = 213
      • 루터 시대의 상황(狀況) = 213
      • (1) 루터 시대의 교육 = 214
      • 1) 교육내용
      • 2) 교육기관
      • (2) 루터와 종교개혁 = 214
      • 1) 종교의 부흥
      • 2) 인간의 영적 고민과 투쟁
      • 3) 순수기독교 재발견운동
      • 4) 신학운동
      • 루터의 교육사상(敎育思想) = 214
      • (1) 교육목적 = 214
      • (2) 교육의 장 = 215
      • (3) 교육내용 = 216
      • 1) 성경
      • 2) 음악
      • 3) 7교양과목
      • (4) 교육방법 = 217
      • 근대의 교육사상(敎育思想) = 218
      • 호레이스 부쉬넬 = 218
      • 호레이스 부쉬넬의 사상적 배경 = 218
      • (1) 미국의 대각성운동(1740∼1742) = 218
      • (2) 부쉬넬과 대각성운동 = 219
      • (3) 뉴잉글랜드 회중주의와 이상주의 = 219
      • 부쉬넬의 신학활동(神學活動) = 220
      • 부쉬넬의 기독교교육론(基督敎敎育論) = 220
      • (1) 가정을 장으로 하는 교육론 = 221
      • (2) 부쉬넬 교육론의 중요성 = 221
      • 조지 알버트 코우 = 222
      • 코우의 사상적 배경(背景) = 222
      • 코우의 신학적(神學的) 입장 = 223
      • (1) 코우의 신 이해 = 223
      • 1) 내재적 하나님
      • 2) 사회적 하나님
      • 3) 교육자 하나님
      • (2) 코우의 인간이해 = 223
      • 1) 인격가능의 존재
      • 2) 인간의 세 차원
      • 3) 인격원리
      • 코우의 기독교교육론 = 225
      • (1) 코우의 교육목적 = 225
      • (2) 코우의 교육방법 = 225
      • (3) 코우의 교육현장 = 226
      • 1) 사회
      • 2) 가정
      • 3) 교회학교
      • 엘리옷 = 227
      • 엘리옷의 신학적(神學的) 입장 = 227
      • (1) 엘리옷의 계시이해 = 227
      • (2) 엘리옷의 로커스 이해 = 227
      • (3) 엘리옷의 인간이해 = 227
      • 엘리옷의 기독교교육론 = 228
      • (1) 엘리옷의 교육목적 = 229
      • (2) 엘리옷의 교육방법 = 229
      • (3) 엘리옷의 교육의 장 = 229
      • 현대의 교육사상(敎育思想) = 230
      • 루이스 쉐릴의 만남의 기독교교육 = 230
      • 루이스 쉐릴의 사상적 배경(背景) = 230
      • (1) 기독교 교육사상의 흐름 = 230
      • 1) 실존주의 신학을 배경으로 만남을 강조한 기독교교육
      • 2) 관계신학적 배경을 지닌 대화적인 기독교교육
      • 3) 신정통주의 신학을 배경으로 하는 성서 중심의 기독교교육
      • (2) 루이스 쉐릴의 생애 = 230
      • 루이스 쉐릴의 인간이해 = 231
      • (1) 가능성 자아 = 231
      • 1) 자아의 표적
      • 2) 가능적 자아(가능성)
      • 3) 응답적 피조물
      • (2) 실존적 자아 = 232
      • 1) 불안
      • 2) 가능성의 상실
      • 루이스 쉐릴의 (만남)이해 = 232
      • (1) 계시의 본질 = 232
      • 1) 계시와 교육
      • 2) 계시의 매개인 그리스도
      • (2) 대면과 조우 = 233
      • 1) 대면과 조우
      • 2) 계속적인 만남
      • (3) 상호연결의 과정 = 233
      • 1) 끌어냄과 나누어 줌
      • 2) 존재와 되어가는 존재
      • 3) 되어 감의 동력
      • 루이스 쉐릴의 기독교교육 정의 = 234
      • (1) 기독교교육의 정의 = 234
      • (2) 인간 본연의 모습 = 235
      • 제임스 스마트의 성서 중심의 기독교교육 = 235
      • 제임스 스마트의 사상적(思想的) 배경 = 235
      • 제임스 스마트의 신학적(神學的) 입장 = 235
      • (1) 하나님의 말씀 = 235
      • 1) 하나님의 말씀과 그리스도의 화육
      • 2) 하나님의 말씀과 교회
      • 3) 하나님의 말씀과 성경
      • (2) 스마트의 인간이해 = 237
      • 1) 인간이해의 출발점
      • 2)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받은 인간의 타락
      • 3) 스마트가 비판하는 잘못된 인간관
      • 4) 성장과 회개
      • 제임스 스마트의 교육론 = 239
      • (1) 스마트의 교육목적 = 239
      • (2) 스마트의 교육방법 = 239
      • 1) 교회 중심의 기독교교육
      • 2) 성도의 고제와 성경 중심의 교육
      • (3) 스마트의 교육현장 = 240
      • 1) 교회
      • 2) 가정
      • 3) 공립학교
      • 랜돌프 밀러의 관계신학적 기독교교육 = 241
      • 랜돌프 밀러의 사상적 배경 = 241
      • 랜돌프 밀러의 기독교 교육사상의 구조 = 241
      • (1) 성서에 대한 이해 = 242
      • 1) 성서의 수직적 차원
      • 2) 성서의 수평적 차원
      • (2) 계시에 대한 이해 = 242
      • (3)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새로운 관계 = 243
      • 1) 관계신학의 기능
      • 2) 관계언어의 기능
      • 랜돌프 밀러의 인간에 대한 이해 = 245
      • (1) 신학적 인간이해 = 245
      • (2) 관계론적 인간이해 = 245
      • (3) 인간의 성장 = 245
      • 랜돌프 밀러의 교육론 = 246
      • (1) 밀러의 교육목적 = 246
      • (2) 밀러의 교육방법 = 246
      • (3) 밀러의 교육현장 = 247
      • 1) 가정
      • 2) 공식학교
      • 3) 사회(협의로는 공동체)
      • 4) 교회
      • 교회교육의 본질
      • 교회의 교육적 사명(使命) = 254
      • 교회와 기독교교육(基督敎敎育) = 254
      • 교육과 신앙(信仰) = 254
      • (1) 교회와 교육 = 254
      • (2) 신앙 중심적 교회교육 = 254
      • (3) 교육과 그리스도교 = 255
      • (4) 교육과 하나님의 사랑 = 255
      • 기독교교육과 인간형성(人間形成) = 255
      • 인간 공동체 회복과 교회교육 = 255
      • 교회의 교육적 기능(機能) = 256
      • 교회교육의 근거(根據) = 256
      • 설교(說敎)와 교육 = 257
      • (1) 설교와 교육의 관계 = 257
      • (2) 구약시대의 설교와 교육 = 258
      • (3) 신약시대의 설교와 교육 = 258
      • 교회교육의 사명과 과제(課題) = 258
      • 교회의 교육적 사명(使命) = 258
      • (1) 교육적 사명의 성서적 기초 = 258
      • (2) 교회교육의 이념 = 259
      • (3) 교회교육의 사회적 사명 = 259
      • (4) 교회교육의 시대적 사명 = 260
      • 교회교육의 과제(課題) = 260
      • (1) 교회교육의 당면문제 = 260
      • (2) 교회갱신과 교회교육 = 261
      • 교회교육의 방향(方向) = 261
      • 교회교육(敎會敎育)의 내용(內容) = 262
      • 교회교육과 성서(聖書) = 262
      • 성서의 새로운 세계(世界) = 262
      •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 = 262
      • 인간의 산물(産物)인 성서 = 262
      • 성서의 영감(靈感) = 263
      • 1) 자유주의자들
      • 2) 근본주의잘
      • 말씀의 배후에 있는 의미 = 263
      • 구약성서(舊約聖書)의 내용(內容) = 263
      • 역사 안에서의 하나님의 활동 = 263
      • (1) 인간을 찾으시는 하나님 = 263
      • (2) 사명을 위한 선택 = 263
      • (3) 역사의 이해 = 264
      • 이스라엘의 청년기(靑年期) = 264
      • (1) 기적의 시대 = 264
      • (2) 출애굽의 의의 = 264
      • (3) 기적의 이해 = 264
      • 이스라엘의 장년기(壯年期) = 265
      • (1) 성서의 비도덕성 = 265
      • (2) 계약의 신앙 = 265
      • (3) 계약과 역사 = 265
      • 주(主)의 진노의 날 = 266
      • (1) 하나님의 진노와 이스라엘의 예언자들 = 266
      • (2) 위기의 시대와 게약의 파기 = 266
      • (3) 죄악과 형벌 = 267
      • 1) 사회생활
      • 2) 종교생활
      • 3) 정치생활
      • (4) 새 날의 도래 = 267
      •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 = 267
      • (1) 왕국의 멸망과 바벨론 포로시대 = 267
      • (2) 성전의 재건 = 268
      • (3) 때의 준비 = 268
      • 신약성서(新約聖書)의 내용 = 268
      • 때의 완성(完成) = 268
      • (1) 두 언약서 사이의 교량 = 268
      • (2) 사건과 그 해석 = 269
      • (3) 예언과 역사 = 269
      • (4) 기독교와 신구약성서 = 269
      • 그리스도 안에 계신 하나님 = 269
      • (1) 메시야의 역할 = 269
      • (2) 예수의 생애 = 269
      • (3) 예수의 복음설교와 이적 = 269
      • (4) 예수의 수난 = 270
      • 부활(復活)의 능력 = 270
      • (1) 기독교의 핵심 = 270
      • (2) 역사 안에서의 하나님의 승리 = 270
      • (3) 죄와 죽음의 정복 = 270
      • (4) 신앙에 의한 칭의 = 270
      • (5) 신상수훈 = 270
      • (6) 이 세상의 나그네 = 270
      • 창조(創造)의 종말(終末) = 271
      • (1) 신화와 역사 = 271
      • (2) 창조에 관한 신화 = 272
      • (3) 종말에 관한 신화 = 272
      • (4) 역사의 전환점인 예수 = 272
      • 교회학교의 학습원리(學習原理) = 273
      • 학습의 본질(本質) = 273
      • 학습의 정의(定義) = 273
      • 학습의 의의(意義) = 273
      • 1) 모방
      • 2) 경험
      • 3) 자극과 반응
      • 교회학습의 특성(特性) = 274
      • 학습의 원리(原理) = 274
      • 학습이론(學習理論) = 274
      • (1) 자극-반응 이론 = 274
      • 1) 조건반사설
      • 2) 시행착오설
      • 3) 자극-반응 이론의 학습행동 원리
      • (2) 기호-의미 이론 = 276
      • 1) 통찰설
      • 2) 인지설
      • 학습요인(學習要因) = 277
      • (1) 학습의 조건 = 277
      • 1) 준비성
      • 2) 생리적 요인
      • 3) 심리적 요인
      • 4) 물리적 요인
      • 5) 사회적 요인
      • (2) 학습의 요소 = 277
      • 1) 본성
      • 2) 환경
      • 학습과정(學習過程) = 278
      • 1) 경험적 학습방법
      • 2) 관찰적 학습방법
      • 3) 기타 학습방법
      • 교수-학습 원리(原理) = 279
      • (1) 교회교육의 학습원리 = 279
      • (2) 교회교육의 교수원리 = 280
      • 학습방법(學習方法) = 280
      • (1) 교사 중심형 = 280
      • (2) 학생 중심형 = 281
      • (3) 그룹 홀동 중심형 = 281
      • 학습의 적용(適用) = 281
      • 신앙훈련(信仰訓練) = 281
      • 신학이해(神學理解) = 282
      • 인격형성(人格形成) = 282
      • 교육목회(敎育牧會) = 284
      • 교육목회의 원리(原理) = 284
      • 교육목회의 중요성(重要性) = 284
      • 아동(兒童)의 이해(理解) = 284
      • 아동의 양육(養育) = 284
      • 아동에 대한 사랑 = 285
      • 제자(弟子)의 훈련 = 285
      • 1) 스승과 함께 걷는 사람
      • 2) 스승을 모방하는 사람
      • 3) 스승의 말에 복종하는 사람
      • 교육목회의 내용(內容) = 286
      • 복음(福音)의 전달(傳達) = 286
      • 말씀에 의한 양육(養育) = 287
      • 신앙(信仰)의 훈련(訓練) = 287
      • (1) 예배 = 287
      • (2) 성경봉독과 음미 = 287
      • (3) 기도생활 = 288
      • (4) 헌금생활 = 288
      • (5) 전도와 간증 = 288
      • (6) 말씀에 합당한 생활 = 289
      • 성령의 그릇(器)된 생활 = 289
      • 교육목회자의 자격(資格) = 290
      • 그리스도의 제자(弟子) = 290
      • 구령자(救靈者) = 290
      • 1) 구원의 사실을 가르친다
      • 2) 구원의 길을 간단하게 보여 준다
      • 3) 구원을 받아들이도록 한다
      • 4) 하나님의 가족임을 가르친다
      • 목회자(牧會者) = 291
      • 1) 양육하는 사람
      • 2) 사랑하고 보호하는 사람
      • 3) 인도하는 사람
      • 훈련받은 자(者) = 292
      • (1) 영적 훈련 = 292
      • (2) 지식의 훈련 = 292
      • 교육목회의 실제(實際) = 293
      • 교육목회의 방법(方法) = 293
      • (1) 기도를 통한 목회 = 293
      • (2) 방문과 통신 = 293
      • 1) 방문
      • 2) 통신
      • 3) 전화
      • (3) 가족과의 연락 = 293
      • (4) 휴일의 이용 = 294
      • (5) 학교 담임교사와의 연락 = 294
      • 학생출석 지도법(指導法) = 294
      • 1) 교회내의 원인과 대책
      • 2) 교회 외적인 원인과 대책
      • 교회교육 지도자
      • 교사직의 성서적 이해 = 300
      • 구약성서의 교사직 이해 = 300
      • 구약성서적 정의 = 300
      • (1) 용어적 정의 = 300
      • (2) 구약시대의 교사직 이해 = 300
      • 구약성서의 교사직 모형(模型) = 300
      • (1) 하나님의 교사적 사역 = 300
      • (2) 부모의 교사적 역할 = 301
      • (3) 제사장의 교사적 임무 = 302
      • (4) 현인의 교사적 임무 = 302
      • (5) 선지자의 교사적 임무 = 303
      • (6) 서기관의 교사적 임무 = 304
      • 신약성서의 교사직 이해 = 305
      • 신약성서적 정의 = 305
      • (1) 용어적 정의 = 305
      • (2) 신약시대의 교사직 이해 = 306
      • 신약성서의 교사직 모형(模型) = 306
      • (1) 예수의 교사적 사역 = 306
      • 1) 예수의 교사적 직분
      • 2) 예수의 교육내용
      • 3) 예수의 교육방법
      • (2) 사도들의 교사적 사역 = 307
      • 1) 사도들의 교사적 직분
      • 2) 바울의 교사적 직분
      • (3) 교사계층의 등장 = 308
      • 지도자의 역할(役割)과 책임(責任) = 309
      • 지도자의 직분(職分) = 309
      • 목회자(牧會者)로서의 지도자 = 309
      • 조직가(組織家)로서의 지도자 = 309
      • 1) 통제
      • 2) 행위
      • 3) 평결
      • 4) 문제해결
      • 지도자의 자질(資質) = 310
      • (1) 신생의 경험 = 310
      • (2) 성화와 인내 = 310
      • (3) 영화에 대한 희망과 비전 = 311
      • 지도자의 권위(權威) = 312
      • 지도자의 사명(使命) = 312
      • 신앙 공동체의 유지·발전 = 312
      • 신앙훈련 프로그램의 지도 = 313
      • 예배(禮拜)와 기도(祈禱) = 314
      • 선교적 과업(宣敎的 課業) = 315
      • 지도자의 기능(技能) = 316
      • 행정관리(行政管理) = 316
      • (1) 계획 = 316
      • (2) 조직 = 316
      • (3) 지휘 = 316
      • (4) 통제 = 316
      • (5) 인사 = 317
      • 회의진행(會議進行) = 317
      • 정책결정(政策決定) = 317
      • 교회지도자의 지도방법 = 318
      • 민주적(民主的)인 방법 = 318
      • 시범과 헌신을 통한 전달 = 318
      • 철저한 자기준비(自己準備) = 320
      • (1) 기도 = 320
      • (2) 시간의 절제 = 320
      • (3) 독서 = 320
      • 교회학교 교사의 양성(養成) = 321
      • 교사모집(敎師募集) = 321
      • 계획수립(計劃樹立) = 321
      • 교사업무의 분석(分析) = 322
      • 인적 자원 확보(人的 資源 確保) = 322
      • 교사선정(敎師選定) = 323
      • (1) 교사선정시 유의사항 = 323
      • (2) 교사 담당업무의 확인 = 323
      • (3) 예비교사와의 면담 = 324
      • 교사훈련(敎師訓練) = 324
      • 교사훈련의 의의(意義) = 324
      • 교사 예비훈련(敎師 豫備訓練) = 325
      • (1) 연합적 교사 예비훈련 = 326
      • 1) 지역연합 교사훈련의 실례
      • 2) 연합적 교사 예비교육의 준비사항
      • 3) 연합적 교사 예비훈련의 교육과정
      • (2) 개교회의 교사 예비훈련 = 327
      • 1) 개인상담
      • 2) 청년 성서연구반의 활용
      • 3) 개인실습
      • 4) 독서지도
      • 5) 연구수업 참관
      • 6) 교사예비반 설치
      • 7) 탁상회의
      • 8) 강습회
      • 9) 기타의 방법
      • 교사 계속훈련(敎師 繼續敎育) = 329
      • (1) 연합적 계속교육 = 329
      • 1) 교사대학의 운영
      • 2) 교사연수회
      • 3) 교사세미나
      • 4) 교회학교 교사연구회
      • (2) 개교회별 계속교육 = 329
      • 1) 계속교육의 원칙
      • 2) 계속교육의 계획
      • 3) 계속교육의 형태
      • 4) 교사교육을 위한 교과목
      • 교회교육의 실제(實際)
      • 교과과정(敎科課程)의 구성(構成) = 336
      • 교과과정의 정의(定義) = 336
      • (1) 언어적 정의 = 336
      • (2) 광의적 정의 = 336
      • (3) 협의적 정의 = 336
      • 교과과정의 약사(略史) = 336
      • (1) 성서시대 = 336
      • 1) 구약시대의 교과과정
      • 2) 신약시대의 교과과정
      • (2) 사도시대 = 336
      • (3) 중세시대 = 337
      • 1) 종교개혁 이전의 교과과정
      • 2) 종교개혁시대의 교과과정
      • (4) 근대 이후 = 337
      • 1) 근대의 교과과정
      • 2) 현대의 교과과정
      • 교과과정의 원리(原理) = 338
      • (1) 교과과정의 구성요소 = 338
      • 1) 목적
      • 2) 범위
      • 3) 포괄성
      • 4) 균형
      • 5) 경험
      • 6) 교사의 자질
      • 7) 학생의 흥미
      • 8) 응용도
      • 9) 해설
      • 10) 매력
      • (2) 교과과정의 원리 = 338
      • 1) 기독교적인 내용과 목적
      • 2) 구체적 실제적인 주제
      • 3) 학생들의 요구 반영
      • 4) 개인의 성장 도모
      • 5) 학생들의 경험 반영
      • 6) 역동적인 커리큘럼
      • 7) 예수 그리스도 중심
      • 8) 가정과의 협력
      • 9) 지역사회에 대한 지도력 공급
      • 10) 인류의 문화유산 활용
      • 교과과정의 구성(構成) = 340
      • (1) 교과과정 구성의 전제 = 340
      • 1) 그리스도의 감독
      • 2) 성경
      • 3) 학생과의 연관성
      • 4) 사회적 적용
      • (2) 교과과정의 구성원리 = 341
      • 1) 와이코프의 교과과정 구성원리
      • 2) 번의 교과과정 구성원리
      • (3) 교과과정의 구성법 = 342
      • 1) 편집위원 선정
      • 2) 편집위원들의 편집 진행
      • 3) 보조자료 준비
      • (4) 교과과정의 평가 = 344
      • 교회교육 교과과정의 실례(實例) = 345
      • (1) 요리문답서 = 345
      • (2) 성구발췌교안 = 345
      • (3) 통일공과 = 346
      • (4) 계단공과 = 346
      • 1) 학년별 계단공과
      • 2) 부별 계단공과
      • 교회학교의 교육상담(敎育相談) = 347
      • 상담(相談)의 기초(基礎) = 347
      • 상담의 정의(定義) = 347
      • 상담에 대한 견해(見解) = 347
      • (1) 상담에 대한 과거의 견해 = 347
      • 1) 명령과 금지
      • 2) 훈계
      • 3) 시사
      • 4) 정화법
      • 5) 충고와 설득
      • 6) 지성적 설명
      • (2) 상담에 대한 새로운 견해 = 348
      • 지시적 상담과 비지시적 상담 = 348
      • (1) 근본적 차이 = 348
      • (2) 방법의 차이 = 349
      • 1) 지시적 상담과 방법
      • 2) 비지시적 상담의 방법
      • (3) 공통적인 방법 = 349
      • 상담의 조건(條件) = 349
      • (1) 상담에 유리한 조건 = 349
      • (2) 상담을 방해하는 조건 = 350
      • (3) 상담시의 유의사항 = 350
      • 교회학교 상담의 원리(原理) = 351
      • 교회학교 상담의 정의(定義) = 351
      • 교회학교 상담의 원리(原理) = 351
      • (1) 성경 = 351
      • (2) 성령의 인도하심 = 351
      • (3) 내담학생의 구원 = 352
      • (4) 상담방법 및 내담자 사전 조사 = 352
      • 교회학교 상담교사의 자격(資格) = 352
      • (1) 일반적 자격 = 352
      • (2) 종교적 자격 = 352
      • 예수의 상담모범(相談模範) = 352
      • (1) 만남과 대화 = 352
      • (2) 동기와 개방 = 352
      • (3) 동일시와 자기결정 = 353
      • 교회교육 상담의 실례(實例) = 353
      • (1) 상담을 통한 개인전도 = 353
      • (2) 부모와 자녀문제에 대한 상담 = 353
      • (3) 위기에 처한 학생에 대한 상담 = 353
      • (4) 병상의 학생에 대한 상담 = 354
      • 교회학교 상담의 실제(實際) = 355
      • 교회학교 상담의 시작(始作) = 355
      • 교회학교 상담의 단계(段階) = 355
      • 교회학교 상담의 종결(終結) = 356
      • (1) 성공적인 상담의 종결 = 357
      • (2) 실패한 상담의 종결 = 358
      • 교회학교 상담의 평가(評價) = 358
      • 교과준비 과정(敎科準備 過程) = 358
      • 교과준비 계획(敎科準備 計劃) = 358
      • 이론적(理論的) 계획 = 358
      • (1) 교과계획의 중요성 = 358
      • (2) 교과계획의 종류 = 358
      • 1) 공식계획
      • 2) 연대순 계획
      • 3) 논리적 계획
      • 4) 심리학적 계획
      • 5) 기록된 계획표
      • (3) 교과계획의 단계 = 359
      • 실제적(實際的) 계획 = 359
      • (1) 교수내용 = 360
      • (2) 학습내용 = 360
      • (3) 활동계획 = 360
      • (4) 자료선택 = 360
      • (5) 동기부여 = 361
      • (6) 교육환경 조성 = 361
      • (7) 질문 = 361
      • (8) 지시사항 = 361
      • (9) 학습 후 처리 = 361
      • 교과준비 과정의 실제(實際) = 361
      • 기본개념(基本槪念) = 361
      • (1) 개념설정 = 361
      • (2) 개념설정의 실례 = 361
      • 1) 1단계
      • 2) 1단계
      • 3) 3단계
      • 4) 4단계
      • 5) 5단계
      • 6) 6단계
      • 7) 7단계
      • 교수목표(敎授目標) = 362
      • (1) 목표설정의 기준 = 362
      • (2) 목표설정의 실례 = 363
      • 1) 1단계
      • 2) 2단계
      • 3) 3단계
      • 4) 4단계
      • 교수-학습활동(敎授-學習活動) = 364
      • (1) 교수활동 = 364
      • 1) 언어활동
      • 2) 시각적 상징
      • 3) 고안된 경험
      • 4) 직접적 경험
      • 5) 교수활동 선정시 유의사항
      • (2) 교수-학습활동의 작성방법 = 364
      • 1) 교과의 시작
      • 2) 주제의 제시
      • 3) 주제의 탐구
      • 4) 창의적 응답
      • 5) 교과의 결론
      • 교수-학습자료 = 365
      • (1) 언어활동 자료 = 366
      • (2) 시각활동 자료 = 366
      • (3) 고안된 결험활동 자료 = 366
      • 교수-학습안 작성 = 366
      • (1) 학습안 기초 = 366
      • 1) 교재
      • 2) 학생
      • 3) 환경
      • (2) 학습안의 작성단계 = 366
      • 1) 공과연구
      • 2) 교수목표 설정
      • 3) 학습내용의 계열화
      • 4) 학습경험의 선택
      • 5) 교수절차 계획
      • 6) 교수진행안 작성
      • (3) 교수-학습안의 실례 = 367
      • 1) 기본개념
      • 2) 교수목표
      • 교수-학습안 평가(評價) = 368
      • 1) 요점은 몇 개의 기본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2) 요점과 목표가 학생의 연령에 알맞는가
      • 3) 요점과 목표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가
      • 4) 어떤 방법의 교수활동이나 자료들이 사용되는가
      • 5) 학습시간중 교사는 어떤 종류의 질문을 했나
      • 6) 학습시간중에 학생들은 어떤 선택을 하였나
      • 7) 학습시간을 위하여 계획된 활동과 자료들은 다양한가
      • 8) 학생들이 새로운 활동을 원할 경우 그런 기회를 제공하였나
      • 9) 교실은 목표를 달성하도록 편리하게 정리되어 있는가
      • 10) 활동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어느 정도인가
      • 교수법의 실제(實際) = 370
      • 예수의 교수법(敎授法) = 370
      • 교사로서의 예수 = 370
      • 예수의 교육방법 = 370
      • (1) 일상용어를 통한 교육 = 370
      • (2) 상징적 언어를 통한 교육 = 370
      • (3) 일상생활을 통한 교육 = 370
      • 지식중심(知識中心)의 교수법 = 372
      • 독서보고(讀書報告) = 372
      • 강의(講義) = 372
      • 패널(Panel)토의 = 372
      • 질문(質問)과 응답(應答) = 373
      • 연구보고(Research and Report) = 373
      • 주제강연(主題講演) = 374
      • 1) 지도자의 임무
      • 2) 회원들의 임무
      • 3) 강연자의 임무
      • 심포지움(Symposium) = 374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3) 강연자의 임무
      • 심포지움식 토론 = 375
      • 1) 지도자의 임무
      • 2) 강연자의 임무
      • 3) 전문가의 역할
      • 인식중심(認識中心)의 교수법 = 375
      • 심층 성서연구(深層 聖書硏究) = 375
      • (1) 제1단계 = 375
      • (2) 제2단계 = 375
      • 귀납적(歸納的) 성서연구 = 376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독서보고(讀書報告) = 376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세미나(Seminar) = 376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원탁 토의(圓卓 討議) = 377
      • 담화 토의(Colloquy Discussion) = 377
      • 1) 지도자의 임무
      • 2) 대표자의 임무
      • 3) 자원인사의 임무
      • 그룹 토의(Group Discussion) = 377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면접토론(Interview Forum) = 378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3) 자원인사의 임무
      • 논쟁토론(Debate Forum) = 378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3) 논쟁연사의 임무
      • 소그룹 주제 토의(Buzz Groups) = 379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3) 서기의 임무
      • 작품감상회(作品鑑賞會) = 379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역할극(Role-playing) = 379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3) 참관자의 임무
      • 공동 그리기(Group Drawing) = 380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사례연구(Case Study) = 380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활동중심(活動中心)의 교수법 = 381
      • 시범활동(示範活動) = 381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현장답사(現場踏査) = 382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활동그룹(Work Groups) = 383
      • 1) 지도자의 임무
      • 2) 그룹 회원의 임무
      • 워크숍(Workshop) = 383
      • 1) 지도자의 임무
      • 2) 참여자의 임무
      • 3) 자원인사의 임무
      • 교육평가(敎育評價) = 385
      • 교육평가의 기초(基礎) = 385
      • 교육평가의 정의(定義) = 385
      • 교육평가의 과정(過程) = 386
      • (1) 교육목적의 재확인 = 386
      • (2) 교육평가 방법 결정 = 386
      • (3) 교육평가 도구의 선정 및 제작 = 386
      • (4) 교육평가의 실시 = 386
      • (5) 평가결과의 처리 = 386
      • (6) 평가결과의 정리 및 활용 = 386
      • 교육평가 방법의 기준(基準) = 386
      • (1) 타당도 = 387
      • (2) 신뢰도 = 387
      • (3) 객관도 = 387
      • (4) 실용도 = 388
      • 교육평가의 원리(原理) = 388
      • 평가계획의 절차(節次) = 388
      • (1) 전교사의 협력 = 388
      • (2) 평가목적 설정 = 388
      • (3) 평가도구의 선택 = 388
      • (4) 교사의 훈련 = 388
      • (5) 평가의 실천과 활용 = 389
      • (6) 평가계획과 방법 평가 = 389
      • 1) 평가계획의 목표
      • 2) 평가방법의 선택
      • 3) 평가의 환경
      • 4) 평가결과의 기록과 활용
      • 학습(學習)의 평가방법 = 389
      • (1) 학습 평가방법의 여러 형식 = 389
      • 1) 단답형 학습평가
      • 2) 배합형 학습평가
      • 3) 선다형 학습평가
      • 4) 완결형 학습평가
      • 5) 논문형 학습평가
      • (2) 학습 평가방법의 제작시 유의사항 = 390
      • 1) 선택형 평가방법
      • 2) 단답형 평가방법
      • 3) 완결형 평가방법
      • 4) 논문형 평가방법
      • 행동(行動)의 평가방법 = 390
      • (1) 질문지법 = 390
      • (2) 관찰법 = 391
      • (3) 면접법 = 391
      • (4) 평정법 = 391
      • (5) 투사법 = 392
      • 교육평가의 실제(實際) = 392
      • 교회교육의 학습평가 실제 = 392
      • (1) 단답형 학습평가 = 392
      • 1) 진위형 학습평가
      • 2) 군집형 학습평가
      • (2) 배합형 학습평가 = 392
      • (3) 선다형 학습평가 = 393
      • (4) 완결형 학습평가 = 393
      • (5) 논문형 학습평가 = 393
      • 교사 자체평가(自體評價) 실제 = 393
      • (1) 배우는 교사 = 393
      • (2) 준비하는 교사 = 393
      • (3) 교안작성 = 394
      • (4) 주일수업 = 394
      • (5) 학생들의 참여 = 395
      • (6) 학생들에 대한 이해 = 395
      • (7) 교사의 자질 = 395
      • (8) 교사들의 화합 = 395
      • (9) 교사와 학부모 = 395
      • (10) 교회교육의 결과 = 395
      • 교회학교 운영(敎會學校 運營)
      • 교회학교 교육정책(敎育政策) = 400
      • 교회 교육정책 수립(樹立)의 원리 = 400
      • 교회 교육정책의 필요성 = 400
      • (1) 교육정책의 문제점 = 400
      • 1) 예산상의 문제
      • 2) 일관성 결여
      • 3) 교육정책 전문가의 절대부족
      • (2) 교육정책의 중요성 = 400
      • 1) 교육정책 실행을 위한 예산마련
      • 2) 일관된 교육정책 실행
      • 3) 합리적 과학적 방법 도입
      • 4) 전문인력 확보·양성
      • 개교회 교육정책의 수립원칙(樹立原則) = 401
      • (1) 전교회의 협력 = 401
      • (2) 개교회의 현실과 교육정책 = 401
      • 교회 교육정책과 교육부 = 402
      • (1) 교회의 전체 정책과 교육정책 = 402
      • (2) 교육부의 역할 = 403
      • (3) 교육부의 통일성 = 403
      • 교회교육 목표의 설정(設定) = 404
      • 교회교육 계획서(計劃書) = 404
      • (1) 교육정책의 문서화 = 404
      • (2) 계획서에 따른 교회교육 = 404
      • (3) 교육계획의 수정 = 404
      • 교육목표의 설정원리(設定原理) = 404
      • (1) 장기계획과 단기계획 = 404
      • (2) 과학적 교육계획 = 405
      • (3) 민주적 교육계획 = 405
      • 교육목표 작성법(作成法) = 406
      • (1) 상위목적과 하위목적 = 406
      • (2) 전년도의 미비점 보완 = 406
      • (3) 교육계획서 작성의 예 = 406
      • 교회교육의 실행(實行) = 407
      • 실행계획서(實行計劃書) 작성 = 407
      • (1) 행사계획표 = 407
      • (2) 예배계획표 = 409
      • (3) 기타 안내자료 = 409
      • 교회교육 실행과 점검 = 409
      • (1) 책임한계 설정 = 409
      • (2) 교육실행의 점검 = 410
      • (3) 점검과 수정 = 410
      • 교회교육과 교사(敎師) = 410
      • (1) 교사의 신앙 = 410
      • (2) 교사의 관심 = 410
      • (3) 교사의 기쁨 = 410
      • 교회학교의 조직과 행정 = 411
      • 교회학교의 조직(組織) = 411
      • 교회학교 조직의 의의(意義) = 411
      • (1) 교회학교 조직의 정의 = 411
      • (2) 교회학교 조직의 원리 = 411
      • 교회학교 조직의 실제(實際) = 412
      • (1) 교육위원회 = 412
      • (2) 교사조직 = 412
      • (3) 교사회 = 413
      • (4) 학생조직 = 413
      • (5) 학생회 = 414
      • 교회학교의 행정(行政) = 414
      • 교회학교 행정의 의의(意義) = 414
      • (1) 교회학교 행정의 정의 = 414
      • (2) 교회학교 행정의 성격 = 414
      • 1) 봉사적 성격
      • 2) 기술적 성격
      • 3) 전문적 성격
      • 4) 민주적 성격
      • (3) 교회학교 행정의 요소 = 415
      • 1) 계획
      • 2) 조직
      • 3) 지휘
      • 4) 조정
      • 5) 통제
      • 교회학교 행정의 실제(實際) = 415
      • (1) 사무관리 = 415
      • (2) 시설관리 = 417
      • 1) 교실
      • 2) 비품
      • 3) 교구·교재
      • (3) 인사관리 = 417
      • 1) 교사의 지도력
      • 2) 교사의 선발
      • 3) 교사의 훈련
      • 4) 교사의 유지
      • 교회학교의 재정(財政) = 418
      • 교회학교 재정의 의의(意義) = 418
      • (1) 교회학교 재정의 의미 = 418
      • (2) 교회학교 예산편성의 원리 = 418
      • 교회학교 재정의 실제(實際) = 419
      • (1) 예산의 편성과정 = 419
      • (2) 예산의 집행 = 420
      • (3) 회계보고 및 감사 = 420
      • 학생·교사관리 = 421
      • 교회학교 학생관리(學生管理) = 421
      • 사무적 관리(事務的 管理) = 421
      • (1) 입학관리 = 421
      • (2) 문서관리 = 422
      • 1) 교회학교 연혁
      • 2) 교회학교 일지
      • 3) 교사명부
      • 4) 생활기록부(학적부)
      • 5) 출석부
      • 6) 생일명부
      • 7) 수상자명부
      • 8) 교사자격증부
      • 9) 입학원서와 환경조사서철
      • 10) 교사회의록
      • 11) 행사로걸
      • 12) 휴가학교철
      • 13) 교육계획서철
      • 14) 통계보고철
      • 15) 문서철
      • 16) 인쇄물철
      • 17) 앨범
      • (3) 진급·수료 및 전입·전출 관리 = 422
      • 1) 진급
      • 2) 수료
      • 3) 전출과 전입
      • (4) 재정관리 = 423
      • 1) 회계장부
      • 2) 전표
      • 3) 예산편성
      • 4) 헌금관리
      • (5) 관리에 필요한 문서양식 = 424
      • 지도적 관리(指導的 管理) = 429
      • (1) 예배관리 = 429
      • 1) 개회 전의 준비
      • 2) 예배순서의 요소
      • 3) 예배의 저해요소
      • (2) 분반관리 = 430
      • 1) 분반의 이점
      • 2) 분반의 준비
      • 3) 분반의 지도
      • 4) 분반의 운영관리
      • (3) 행사관리 = 430
      • 1) 행사의 교육적 가치인식
      • 2) 교회학교 행사의 종류인식
      • 3) 행사계획
      • 4) 행사지도요령
      • (4) 휴가학교 관리 = 431
      • 1) 개교
      • 2) 교재
      • 3) 교사
      • 4) 대상
      • 5) 집회
      • 6) 특별활동
      • 7) 말씀의 생활화
      • 8) 학습발표
      • 9) 평가
      • 10) 문서정리
      • 11) 교재처리
      • 12) 학생처리
      • (5) 외부기관과의 관계 관리 = 432
      • 1) 연합회와의 관계
      • 2) 기독교학교와의 관계
      • 3) 일반학교와의 관계
      • 교회학교 교사관리(敎師管理) = 432
      • 교육위원회 및 교사의 관리임무 = 432
      • (1) 교육위원회의 관리임무 = 432
      • (2) 교사의 관리임무 = 432
      • 1) 담임목사
      • 2) 교장
      • 3) 부장(주임)
      • 4) 서기
      • 5) 회계
      • 6) 각부담임교사
      • 7) 음악지도자
      • 8) 도서원
      • 교사모집 및 훈련 = 434
      • (1) 교사모집 = 434
      • 1) 공개모집
      • 2) 비공개모집
      • (2) 교사훈련 = 434
      • 1) 예비훈련
      • 2) 연장훈련
      • 교사회 운영·관리 = 435
      • (1) 교사회의 목적 = 435
      • (2) 교사회의 시기와 계획 및 이점 = 435
      • 1) 교사회 시기
      • 2) 교사회 계획
      • 3) 교사회의 이점
      • (3) 교사회의 형태 = 436
      • 1) 평가회
      • 2) 학습준비 회의
      • 3) 연구모임
      • 4) 교사친목회
      • 교회학교 예배의 운영 = 437
      • 교회학교 예배(禮拜)의 기초 = 437
      • 교회학교 예배의 본질(本質) = 437
      • 1) 하나님께 겸손히 경배하는 거룩한 예전
      • 2) 하나님을 지성으로 섬기는 거룩한 예식
      • 교회학교 예배의 장소(場所) = 437
      • (1) 예배장소의 중요성 = 437
      • (2) 예배실의 분위기 조성 = 438
      • (3) 예배실 환경의 준비 = 438
      • 교회학교 예배자의 준비(準備) = 439
      • (1) 인도자의 준비 = 439
      • 1) 예배순서의 계획
      • 2) 자료의 준비와 수집
      • 3) 개인적인 준비
      • 4) 보조자들의 준비
      • 5) 예배실의 준비상황 최종점검
      • (2) 학생들의 준비 = 440
      • 교회학교 예배의 순서(順序) = 440
      • 예배의 내용(內容) = 440
      • (1) 찬송 = 440
      • (2) 성경봉독 = 440
      • (3) 설교 = 441
      • (4) 기도 = 441
      • (5) 헌금 = 441
      • 예배의 진행(進行) = 441
      • (1) 사회자의 예배진행법 = 442
      • 1) 사회자의 자세
      • 2) 사회자의 몸가짐
      • 3) 사회자의 음성과 발음
      • 4) 사회자의 복장
      • 5) 사회자의 진행
      • (2) 예배진행의 실제 = 442
      • 예배순서의 작성(作成) = 443
      • (1) 순서작성의 원칙 = 443
      • (2) 순서작성의 요령 = 443
      • 1) 협동적 방법
      • 2) 시정적 방법
      • 3) 융통성 있는 방법
      • 4) 진행상 지체되지 않게 하는 방법
      • 교회학교 각부의 예배 = 443
      • 어린이예배 = 443
      • (1) 유치부 예배(5∼5세) = 444
      • (2) 유년부 예배(7∼9세) = 444
      • (3) 초등부 예배(10∼12세) = 445
      • 청소년예배 = 446
      • (1) 중등부 예배 = 447
      • (2) 고등부 예배 = 44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