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브랜드스케이핑에 의한 백화점 공간디자인 분석 = The Spatial Design Analysis of Department Store by Brandscaping
저자
김희용 (Hyundai Department Store Construction Design Management)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47-260(14쪽)
제공처
(연구배경 및 목적) 브랜드스케이핑은 공간에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기 위해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인상(人相)을 여러 감각으로 구현해 고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각인시키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마케팅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브랜드스케이핑 관련하여 패션, 식음 브랜드 같은 단일 브랜드 공간의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지만, 이에 비해 브랜드들의 집합체라 할 수 있는 백화점 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브랜드스케이핑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백화점 또한 브랜드를 가진 대표적인 상업 공간이라 할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브랜드스케이핑의 관점에서 백화점의 공간디자인을 분석해 보고 대상에서 나타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현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첫째, 백화점을 구성하는 공간에 대해서 알아보고, 브랜드 공간과 공용공간의 개념을 확립한다. 둘째, 브랜드스케이핑 이론을 고찰하고, 선행 연구를 조사하여 표현되는 요소를 재정의한다. 셋째, 상업 공간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 및 브랜드스케이핑의 연계성을 살펴보고, 더 현대 서울을 전개하는 현대백화점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알아본다. 넷째는 사례 연구로, 브랜드스케이핑의 요소로 더 현대 서울의 공간디자인을 조사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분석해 본다. 다섯째, 사례 분석 방법을 통한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례 분석으로 백화점의 공간에서 6곳의 대상을 선정하고 브랜드스케이핑의 세 가지 요소인 공간요소, 감각요소, 컨텐츠요소의 적용 현황과 공간에서 브랜드아이덴티티의 키워드 표출을 5단계의 척도로 분석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로 6곳의 공간 중 브랜드스케이핑의 요소, 아이덴티티의 표현의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공간이 대외적으로도 가장 화제가 되었던 공간과 일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결론은 첫째, 더 현대 서울의 6개 대상 공간에서 나타나는 브랜드스케이핑의 요소와 공간에서 분석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내용을 보았을 때, 브랜드스케이핑은 단일 브랜드 매장의 공간디자인 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집합체인 백화점의 공간디자인에서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브랜드스케이핑을 공간디자인의 방법 중 하나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의 사례 분석에서는 이미 완성된 공간디자인을 브랜드스케이핑의 관점으로 분석하였지만, 역순으로 공간디자인 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디자인의 컨셉에 반영하여 브랜드스케이핑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셋째,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잘 구현된 브랜드스케이핑된 공간이 대형 상업 공간에서 고객 인지도가 높고 기억되는 공간이라는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는 상업 공간 뿐만 아닌 브랜드를 보유한 다양한 공간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공간디자인에서 브랜드스케이핑의 구현과 그 역할이 어떤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현업 실무에서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공간에 구현하기 위한 브랜드스케이핑이 적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Background and Purpose) Brandscaping can be defined as a marketing method applied within a space, where a brand’s image and identity are conveyed to customers through various sensory experiences. This approach allows brands to express their identity spatially, creating an immersive customer experience. While Brandscaping has been studied in single-brand spaces such as fashion and F&B brands, research on its application in department store spaces remains limited. Since department stores are also representative commercial spaces with distinct brand identit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ir spatial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scaping and examine how brand identity is expressed within these environments. (Method) As for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First, the Space constituting the Department Store is investigated, and the Concept of Brand Space and Common Space is established. Second, the Brandscaping Theory is considered, and the Elements expressed by Investigating prior research are redefined. Third, We look at the Connection between Brand Identity and Brandscaping in the Commercial Space, and look at the Brand Identity of Hyundai Department Store that develops THE HYUNDAI SEOUL. The Fourth is a Case Study, which examines the Spatial Design of THE HYUNDAI SEOUL as an Element of Brandscaping and Analyzes how the Brand Identity was implemented. Fifth, Conclusions are presented through Case Analysis Methods.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Six Subjects were selected in the Department Store Space as a Case Analysis, and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Three Elements of Brandscaping, Spatial, Sensory and Content, and the Expression of Keywords of Brand Identity in the Space were Analyzed and evaluated on a Five-Step Sca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among the Six Spaces, the Space that received the highest Evaluation of Brandscaping and Identity Expression coincides with the Space that was most talked about externally. (Conclusions) The Conclusion is, First, Brandscaping can realize Brand Identity not only in the Spatial Design of a Single Brand Store but also in the Spatial Design of Department Stores, which are Collections of Brands. Second, Brandscaping can also be used as one of the Methods of Spatial Design. In the case Analysis of this Paper, the already completed Spatial Design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scaping, but in reverse, it is also possible to think of a Method of Brandscaping by reflecting the Brand Identity in the Design Concept when Designing a Space. Third, the Brandscaped Space where the Brand Identity is well implemented is a Space where Customer awareness is high and remembered in a large Commercial Spac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