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알파세대의 등장과 사회과 교육의 방향 탐색: 한나 아렌트의 ‘판단’ 개념을 중심으로 = Exploring the Direc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Age of Generation Alpha : Focusing on Hannah Arendt’s Concept of 'Judgment'
저자
나경훈 (호연초)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7-170(2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의 목적은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가 제시한 ‘판단’ 개념이 첨예한 갈등의 시대를 살아가는 알파세대에게주는 시사점을 분석하여 사회과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주요 사회 문제와 알파세대의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현실을 시민교육의 핵심 교과인 사회과교육에서는 어떻게다루고 있는지 분석하여 양자 간의 간극을 도출하였다. 이어 아렌트의 판단 개념의 의미와 작동 과정을 정리하고, 현 시대를 살아가는 알파세대에게 어떤 교육적 의미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아렌트의 판단 개념은 개인주의가만연한 세태에서 타인과 소통하는 공적 담론장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사적 영역을 벗어나 소통할 수 있는 방안을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과교육의 방향성을 크게 ‘나’와 마주하고, ‘너’와 다름을이해하기’, ‘공동체 일원으로서 책임감과 연대의식 갖기’로 제시하였으며, 나아가 이러한 방향이 교육 현장에 반영될수 있도록 교육과 내 성취기준의 구체적 수정 방안을 함께 제안하였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lications of Hannah Arendt’s concept of ‘judgment’ for Generation Alpha, who are growing up in an age of conflict, and to explore its educational applications in the contex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o this end, the study first examines major social issue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d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Alpha. It then analyzes how these realities are reflecte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core subject of civic education, and identifies the gap between lived experience and curricular content. The study further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and operational dynamics of Arendt’s concept of judgment and explores its pedagogical relevance for Generation Alpha in the current context. The analysis revealed that Arendt’s concep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ublic discours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in a world dominated by individualism and proposes a practical approach to engagement beyond the private spher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wo key directions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facing the self and understanding the other’ and ‘cultivating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as members of a community’. Furthermore, it suggests concrete revisions to the national curriculum’s achievement standards to facilitate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se directions in educational practic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