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포스트모던 미디어 교육과 ‘기독교교육’의 조우에 대한 연구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Toy Story)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Study on Postmodern Media Literacy and Christian Education: Learning from the Animation, Toy Story
저자
원신애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3-319(27쪽)
KCI 피인용횟수
5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paper will demonstrate how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 media literacy and Christian education in reading the animation,Toy Story.
Nowadays, we are faced with the New Media Era which includes digital media, the Internet, SNS, and Smart-phones such as the 4G LTE(4 Generation Long Term Evolution).
I believe that the task of Christian education is related to how we realize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and interpret many media productions such as movies, animation, and so on.
First, this paper will suggest the significance of postmodern media literacy and cultural cognitive constructivism.
Secondly, it is my contention that we explore and understand human beings in terms of cognitive science and the 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the feelings of loss, denial, negotiation and acceptance learnt from the animation, Toy Story .
Toy Story trilogy will be my main example since many children around the world have watched and grow up with this animation and have felt various emotions from compassion to conflict over the last 15 years of the Toy Story production.
Through Toy story, I examine the assumptions of the cultural interactions and cultural cognitive constructivism theories.
Thirdly, this paper is an attempt for finding th possibility of encountering postmodern media literacy with Christian education.
In this paper, I think that storytelling in Christian education, the Bible as well as ‘cultural contents’ of the media era is not only the old way of teaching but also a way of the origin of digital cultural society. In this sense, Christian educators must learn how to deal with the media by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imagination by analyzing the cultural cognitive constructivism from the animation, Toy Story .
In the New Media era, it is necessary that Christian educators have to learn how to utilize media literacy due to postmodern perspective.
Hopefully, this paper proposes the task of Christian educators for the postmodern media literacy in using digital media productions such as animation.
이 논문은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Toy Story)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포스트모던미디어 교육과 기독교교육의 조우의 가능성을 살펴볼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소위 뉴 미디어 시대-디지털 미디어 문화,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 제 4세대 통신 스마트폰 문화시대-를 직면하고 있다.
인류 문명은 문자의 발명으로부터 시작해서 근대를 거쳐 인쇄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지식은 위력을 갖추고 과학이란 도구와 함께 산업혁명은 시작되었다. 21세기는 컴퓨터의 시대로서 정보기술 혹은 정보혁명과 더불어 인간의 삶과 문화 양식 전체가 변화되고 있다. 시대에따라 차이는 있으나 인간의 모습과 인간지식은 새로운 이미지(image)를 입고 재생되고 있다.
이미지는 단지 시각적인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존재하는 사회나 문화에 의해 형성된것이다. 이미지의 작동은 연속적인 인간문화의 산물이며, 이미지와 이미지 언어는 다양한분야의 참여를 이끌어 낸다. 영상문화 시대를 시각적 이미지의 강조와 확산으로 본다면,시각적 이미지가 우리 생활양식과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의사소통의 시대적 변화 속에서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첫째로 포스트모던 영상미디어 문화 읽기의 중요성과 문화 인지적 구성주의를 검토하겠다. 둘째, 포스트모던 영상미디어 문화 읽기를 통하여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기독교교육의이해를 살펴보겠다. 셋째, 포스트모던 미디어 교육의 의의를 살펴보고 포스트모던 미디어문화 읽기와 기독교교육의 조우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3-3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KCI등재 |
2014-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6-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KCI후보 |
2006-06-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87 | 1.101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