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 대학병원 양극성장애 외래 환자에서 약물 처방 경향: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을 중심으로 = A Trend of Medication Prescription Pattern for Out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in a University Hospital: Focusing on Atypical Antipsychotics
ObjectivezzAtypical antipsychotics and newly developed anticonvulsants have become increasingly popular medication for bipolar disorder. Especially, atypical antipsychotics have increasing importance in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and a number of treatment guideline recommend atypical antipsychotics for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bipolar manic and depressed episodes. This study examined the prescribing patterns for medications to treat bipolar disorder in outpatient-based psychiatric practice focusing on atypical antipsychotics.
Methodszz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patients admitted to a university hospital with a primary diagnosis of bipolar disorder in a period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2 was conducted. We reviewed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diagnosis and detailed clinical information at index episode. Psychotropic medications were grouped into six categories; atypical antipsychotics, typical antipsychotics, lithium, anticonvulsants, antidepressants, and minor tranquilizers. Severity, rapid cycling type, psychiatric comorbidity and disease duration were computed focusing on atypical antipsychotics.
ResultszzIn 344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major psychotropic medications, atypical antipsychotics were prescribed in 70.9% of subjects, anticonvulsants in 73.3%, lithium in 36.9%, antidepressants in 41.9%, and typical antipsychotics in 0.9% of subjects. About 12.5% of subjects were treated with the monotherapy. Atypical antipsychotics prescription was favored in subjects with manic and mixed episodes or severe episode. Prescribing trend is independent of rapid cycling type. Prescription of antidepressants were more frequent in subjects who were recently diagnosed as bipolar disorder or prescribed new medications or existed psychiatric comorbidity.
ConclusionzzThe development of bipolar disorder’s psychopharmacology has been reflected in the prescription pattern of psychotropic medications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that atypical antipsychotics have played major role in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최근 양극성장애의 치료에 있어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및 항경련제의 사용, 그리고 2가지 이상 약물의 병합요법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은 급성기 조증뿐만 아니라 유지치료기와 양극성 우울증에서도 선호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치료 경향이 임상에서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국내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서 양극성장애 환자에 대한 약물 처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은 양극성 조증삽화, 우울삽화, 혼재성삽화 및 유지치료기에 모두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특히 조증삽화와 혼재성삽화에서 처방 빈도가 더 높았다. 대부분의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은 조증, 우울증, 혼재성삽화 및 유지치료기에 고르게 처방되었으며, 모든 급성기삽화에서 aripiprazole이 가장 빈번하게 처방되었는데 이는 aripiprazole이 여러 삽화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로 인하여 처방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증 증례에서는 quetiapine과 olanzapine이 선호되었다. 또한 항우울제의 사용이 증가하는 경향 또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 양극성장애 약물치료 치료지침과 새로운 연구 결과들은 실제 임상 처방에서 많은 변화를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9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12-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7 | 0.25 | 0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