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의사소통언어지도(CLT)의 배경, 이론 및 실제 = CLT : Its Background, Theory, and Task
저자
趙弘燮 (韓國外國語大英語科)
발행기관
韓國外國語大學校附設 外國語敎育硏究所(INSTITUT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0
작성언어
Korean
KDC
705.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9-80(22쪽)
제공처
소장기관
We may regard CLT as a kind of approach rather than a kind of method so far. Communicative competence may be defined as an ability to make sense as a participant in discourse by the skillful deployment of shared knowledge of code resources and rules of language use. Just as Audiolingual Method has been criticized in reflection an appropriate methodology in America, Situational Approach has no longer been felt to reflect a methodology appropriate since 1970s. Combined with the features of interactive process of humanistic approach to teaching, CLT makes one of the most appealing approach nowadays. Although we cannot say that CLT is a final solution to foreign language teaching, it can not be doubted that it made another new era in language teaching. Although CLT may have some new information and insights to contribute, it may be difficult to adopt a whole new approach to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 Most language teachers, I suppose, will agree intuitively to the claim that language students should be exposed to appropriate samples of language and given relevant and motivating activities to help them learn. I believe this is what CLT should do and I think that there is something important in this. Although its philosophy is a little confused nowadays, its heart is firmly-rooted, and in some ways it has done a lot of good for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However, theoretical confusion can lead to practical inefficiency, and this can do a lot of harm, with time and effort being wasted on unprofitable activities while important priorities are ignored, We need to ask ourselves in order to get clear answers to the various qustions; whether it is suited to EFL situations, whether it requires existing grammar-based syllabus to be abandoned or merely revised, how it can be adopted in situations where students must continue to take grammar-based tests. Solving such kinds of questions may mean to a large degree a success of CLT in Korea. At the same time we need to try to fashion an integrate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ow learners acquire the ability to communicate clearly and effectively in EFL situation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