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IE
SCOPUS
다발성골수종 환자에서 질병 진행 예측인자로서 혈청 Thrombopoietin과 임상지표 분석 = The Analysis of Thrombopoietin and Clinical Parameters as a Marker for Disease Progression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SCIE,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2-88(7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Background : Multiple myeloma (MM) causes the suppression of hematopoiesis because of malignant cells in the bone marrow. Thrombopoietin (TPO) is regulated by a feedback mechanism with
platelets. Recently, it was suggested that an elevated TPO without thrombocytopenia was associated with impaired hematopoiesis. We evaluated whether TPO levels could be a marker for disease progression in MM.
Methods : The TPO levels were measured in 70 blood samples from 27 patients (newly/previously- diagnosed patients=13/14). We analyzed the TPO and clinical parameters, WBC, hemoglobin, creatinine, calcium, M-protein, protein, albumin, and β2-microglobulin. The TPO in 20 healthy controls
ranged from 6 to 69 pg/mL.
Results : The TPO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M patients with thrombocytopenia than in patients without thrombocytopenia and the healthy controls (median TPO: 293.0 pg/mL vs 59.6 pg/mL and 35.6 pg/mL, P<0.0001).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PO levels and the
blood cells, i.e., leukocytes (r=-0.293), hemoglobin (r=-0.378) and platelets (r=-0.508) (P<0.05). Elevated TPO were found in association with normal platelet counts (N=20). Among the samples without thrombocytopenia, especially one year after the diagnosis, the hemoglobin (10.3 vs 12.9
g/dL, P=0.025) and albumin (3.3 vs 4.0 g/dL, P=0.085) were lower and the M-protein and protein tended to be higher in patients with elevated TPO compared to those with normal TPO.
Conclusions : Serum TPO was elevated with thrombocytopenia and related to impaired hematopoiesis. The elevated TPO without thrombocytopenia might be considered as impaired hematopoiesis and a marker for disease progression in patients with MM.
배경 : 다발성골수종은 골수 내 악성 세포의 증식으로 인해 조
혈 기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질환이다. 최근 혈소판이 정상이지만
thrombopoietin (TPO)의 증가는 부적절한 조혈작용의 지표이
며 조혈작용을 유지하려는 보상기전이라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저자들은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TPO와 임상지표와의 분석을
통해 질병진행인자로 고려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7명의 환자로부터 채취한 70개의 혈액을 통해 혈청
TPO를 측정하였다. 13명은 새롭게 다발성골수종으로 진단받은
환자였으며, 14명은 이전에 진단받고 추적관찰 중인 환자였다.
혈청 TPO 및 혈소판 수에 따른 백혈구, 혈색소치, 크레아티닌,
칼슘, M-단백, 단백질, 알부민 그리고 β2-micoglobulin 등의
임상 지표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정상 대조군 20명의 혈청
TPO 농도범위는 6-69 pg/mL이었다.
결과 : 혈청 TPO 농도는 정상 대조군 및 정상 혈소판 수를 보
이는 다발성골수종 환자와 비교해 혈소판 수 저하를 보이는 다발
성골수종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median TPO:
293.0 pg/mL vs 59.6 pg/mL and 35.6 pg/mL, P<0.0001).
혈청 TPO가 높을수록 백혈구(r=-0.293), 혈색소치(r=-0.378)
및 혈소판 수(r=-0.508)는 저하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TPO 증가는 정상 혈소판을 보이는 검체에서도 관찰
되었다(N=20). 혈소판 수가 정상이면서 혈청 TPO가 증가되어
있는 군은 혈청 TPO가 정상인 군에 비해 질병이환기간이 1년
이상인 환자가 많았으며, 이러한 군은 혈색소치(10.3 vs 12.9 g/
dL, P=0.025) 및 알부민(3.3 vs 4.0 g/dL, P=0.085)이 낮았
으며, M-단백 및 단백질의 수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 다발성골수종에서 혈청 TPO 농도는 혈소판 저하 시 증
가되어 있었으며, 부적절한 조혈작용과 관련성을 보였다. 혈소
판 저하 없이 TPO가 증가되어 있는 경우, 부적절한 조혈기능이
진행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으며 질병 예측 인자로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2-05-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Laboratory Medicine ->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Laboratory Medicine ->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학술지 분리 (기타) | KCI등재 |
2010-06-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Laboratory Medicine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1 | 0.18 | 1.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1 | 0.81 | 0.458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