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페스티벌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연구- 수륙재를 중심으로 = A Study of Religious Festival to make a Cultural Contents : Focusing on the Suryukjae
저자
고상현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130(3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A Study of Religious Festival to make a Cultural Contents : Focusing on the Suryukjae Ko, Sang-hyun This study has been searched to make a Cultural Contents for the Suryukjae(水陸齋, the Buddhist Rite for Deliverance of Creatures) which is religious festival as well. The root of festival is based on the religious thought. Cultural Contents is all about research as well as industrial and popularize, knowledge of cultural. On the whole, making Cultural Contents of Suryukjae festival can be considered as approaching in that point of view.
Suryukjae is festival of harmonization between God and man, man and nature, this life and eternity, man and man with equality without any wall or distintion.
Suryukjae continues in day and night for 7days in the longest term.
It reflects current social aspects of dance, music, buddhist painting as well as various tangible or intangible elements. Suryukjae is stand for contents of korean culture as well as buddhist culture, but it has not been studied deeply and has no firm foundation in a various use of Cultural Contents.
Suryukjae seems to be on the decline, but recently it is starting to revive from the center of Jinkwan temple(津寬寺), Samhwa temple(三 和寺) etc. Meet the needs of the times, this study has been emphasized in terms of each period, classes and regional form of examples,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contemplated to make a method of Cultural Contents which are recently revitalized together with popular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s a local festival.
There are several ways of developing about Suryukjae and ritual series.
1. based on prototype of study 2. applying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historical education program 3. making use of video and audio contents: buddhist music of Beom-Pae, buddhist dance of Cymbals Dance, Dharma Drum Dance, Butterfly Dance 4. polytechnic contents making use of paper-flower, the making coins 5. contents of food which are set for Suryukjae 6. developing to make a festival contents of Suryukjae 7. fieldtrip of watching the Suryukjae in a temple. Making a culture and tourist industry contents 8. developing a product of culture and tourist industry contents 9. preparation of effective distribution.
수륙재라는 종교 페스티벌을 문화콘텐츠화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페스티벌은 종교적인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문화콘텐츠는 문화의 원형소스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산업화, 대중화를 아우르는 인문지식의 총합이다. 수륙재라는 페스티벌의 문화콘텐츠화도 이러한 관점에서 접근했을 때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수륙재는 신과 인간, 인간과 자연, 이승과 저승이, 인간과 인간이 평등하고막힘이 없이 원융화합하는 페스티벌이다. 수륙재는 길게는 7주야로 행해져, 그 속에서는 당대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무용과 음악, 지화장엄 등 다양한 유ㆍ무형적 요소를 담고 있다. 수륙재는 한국의 문화, 그 가운데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콘텐츠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 원형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이 빈약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인천 수륙재보존회, 서울 진관사, 강원도 삼척 삼화사, 전남 영광 법성포 등을 중심으로 한동안 명맥이 끊기는 듯 했던 수륙재가 복원되고있다. 이러한 시기에 맞춰 수륙재가 각 시대별, 계층별, 지역별 설행 형태에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최근에 활성화되고 있는 지역축제 콘텐츠로서의 대중화, 산업화를 아우러는 문화콘텐츠화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현행 수륙재와 의식집 등에 대한 ①원형연구를 바탕으로 ②역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육콘텐츠 개발 ③불교음악인 범패나 불교무용인 바라무, 법고무, 나비무 등의 영상 또는 음성콘텐츠 ④지화, 지전 등을 활용한 공예콘텐츠 ⑤수륙재에 차려지는 음식콘텐츠 ⑥수륙재의축제콘텐츠 개발 ⑦수륙재 설행 사찰순례 등 문화 관광산업 콘텐츠 ⑧문화 관광산업 상품 개발 ⑨효율적인 유통 방안 마련 등을 들 수 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