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 전승물의 양상과 문화콘텐츠화 방향 -청도를 중심으로- = Types of Takyeong Kim Il-Son's Heritage Items and the Ways to Make Them into Cultural Contents - Focused on the Cheongdo(淸道) Area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7-170(34쪽)
제공처
소장기관
탁영 김일손의 자취는 고향인 청도에 다양한 전승물로 남아 있다. 김일손은 굵직한 역사적 사건의 중심에 있고 삶의 비극성을 지니고 있다. 지적 호기심을 견인하고 정서적 긴장감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문화콘텐츠로 개발될 때 현대인에게 교훈과 감동을 동시에 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김일손의 삶에서 보편적인 의미를 끌어내는 일이 필요하다. 김일손은 고려말 節義의 정신사적 흐름을 계승하는 신진사류 가문에서 태어나 뛰어난 능력과 김종직의 후원에 힘입어 중앙정계로 진출해 사림파로 성장했다. 언관과 사관의 직분에 충실해 직간하고 직필하면서도 줄곧 사직하고자 했다. 이러한 삶의 과정을 자세히 분석해 보면 하나의 키워드를 발견할 수 있다. 김일손의 삶을 관통하는 핵심은 그의 호인 ‘濯纓’이다. ‘濯纓’은 치세에는 벼슬길에 나아가고 난세에는 물러난다는 의미이다. 김일손은 성종 대에는 ‘탁영’을 능동적으로 적용해 적극적으로 직간과 직필에 충실함으로써 이상적인 군주를 지향하려는 성종을 추동하고자 했다. 연산군 대는 ‘탁영’을 원래의 의미대로 적용해 세상에서 물러나 처사로서의 삶을 살고자 했으나, 훈구파의 공격으로 인해 불행한 비극을 겪었다. ‘탁영’이 삶의 중심이었던 만큼 김일손 전승물의 의미는 ‘탁영’을 중심으로 해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탁영기념관을 짓거나 전승물들을 하나의 관광루트로 묶거나 탁영 기념물을 제작하는 등의 방향으로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다. 이러할 때 ‘탁영’은 OSMU(one source multi use)로 손색이 없을 것이다.
더보기The legacy of Takyeong(濯纓) Kim Il-son(金馹孫) remains in the heritage items passed down in his hometown of Cheongdo(淸道). He lived during major historical events and his life was tragic. If his life and legacy are developed as cultural contents, inducing intellectual curiosity in readers and stimulating their emotional tension, it will both give modern people a lesson, move them.
Born into a family of a new generation scholar and inheriting the flow of spiritual history around integrity at the end of Goryeo, he advanced to the central political world and became a key figure in the Sarimpa(士林派) based on his superb abilities and with the support of Kim Jong-jik(金宗直). Being sincere in his position as an Eongwan(言官) and Sagwan(史官), he would submit his direct criticism in writing to the king, and continuously tried to resign.
The important keyword in his life was ‘Takyeong(濯纓)’. ‘Takyeong’ means that washing one's body in clean water and one's feet in murky water. He lived his life by applying ‘Takyeong’ actively during the reign of Seongjong(成宗) and by applying it in the original meaning during the reign of Yeonsangun(燕山君).
Based on the contemporary meanings of his heritage itemsaround "Takyeong," this study provides examples; including Takyeong Memorial Hall, a tour route encompassing the objects, and production of Takyeong souvenirs. These will make the concept of "Takyeong" as OSMU(one source, multi-us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