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전염병의 과학은 어떻게 논쟁되는가?―1911년 만주 폐페스트 발병과 국제페스트컨퍼런스 = How Was Science on Epidemic Disease Discussed? : The Pneumonic Plague in Manchuria and the International Plague Conference, 1910~1911
저자
정세권 (숙명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0-379(3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e complexity of medical practices on epidemic diseases and the relationships with the circumstances outside laboratory, by reviewing the pneumonic plague in Manchuria and the International Plague Conference in 1911. First of all, although bubonic plague had been historically rampant and its pathogen(Yersinia pestis) was identified in 1894, pneumonic form was unfamiliar disease in 1911, not only because it had rarely been seen but because its symptom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 bubonic form. Medical experts at the conference, despite their acquaintance with bubonic plague, could not conclusively confirm that pneumonic plague was the same disease as the bubonic form. Secondly, at that time the way to inspect new and perplexing diseases, such as pneumonic plague, was not single and homogenous, and a variety of medical practices from traditional patho-anatomic observations to laboratory techniques, for example, bacteriological and histological analyses and animal experiments, had to be involved. While these diverse practices served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pneumonic plague to some extent, they were judged by different standards and became the central issue of debate at the conference. Thirdly, Manchuria offered an unstable stage for scientific investigations. Medical examinations of representatives concerning pneumonic plague had been influenced by the political position of powers in Manchuria. Therefore, the conference which aimed to understand and overcome unfamiliar epidemic, had failed to draw an unanimous conclusions. This paper, reviewing the case of Manchuria in 1911, would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medical practices on COVID19 and its relationships with diverse circumstances outside laboratory.
더보기이 글은 1911년 만주에서 창궐한 폐페스트 및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컨퍼런스 사례를 중심으로, 전염병에 대한 의학적 실행 및 실험실 내외부 환경과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주고자 한다. 1911년 폐페스트는 역사적으로 발병한 적도 없고 그 증상이 완전히 달랐기에, 이미 선페스트를 경험하고 그 병원균을 알고 있던 의학 전문가들에게도 낯선 질병이었다. 의학 전문가들은 컨퍼런스 당시 폐페스트가 선페스트와 동일한 질병인지, 여러 백신들 중 어느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지 등에 대해 확실한 결론을 합의할 수 없었다. 새롭고 당혹스런 질병을 연구하고 이해하는 과정은 단순하거나 균일하지 않았고, 전통적인 병리해부학적 관찰부터 세균학적, 조직학적 분석 및 동물실험을 포함한 최신 실험적 기법까지 다양한 의학적 실행들이 동원되었다. 이런 노력들은 폐페스트를 어느 정도 이해하는 데 기여했지만, 그 과정에서 각각 연구방법들 자체의 적합성과 신뢰성이 서로 다른 기준에 의해 판단되었고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게다가 당시 여러 열강들이 경합했던 만주의 정치 역학은, 다양한 정치적 이해관계를 지닌 연구자들에게 동일한 연구 환경을 제공해주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낯선 전염병을 이해하고 극복하고자 소집된 의학 전문가 회의는, 만장일치로 합의할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잠정적인 권고안을 마련할 수밖에 없었다. 100여년 전 만주의 사례는,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전염병에 대한 과학적 연구 및 실험실 외곽의 다양한 정치사회적 환경과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9 | 1.09 | 0.9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5 | 0.85 | 1.637 | 0.5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