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프랑스어 ‘il y a SN qui/que...’ 형태 연구 = Study of the form ‘il y a SN qui/que...’ in French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5-126(3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work aims to describe the uses of the impersonal form ‘il y a SN qui/que...’ in French. In this form, the part qui/que..., is most often analyzed as an ordinary relative, but sometimes as a "pseudo-relative", PR which exhibits properties different from those of a relative. We call the form ‘il y a SN PR’ ‘il y a cleft construction’ or ‘il y a CC’. It is often used to report an event typically in response to the question “What is going on?”: e. g. “Il y a le vase qui est cassé”. But it can also be used to provide a value to the variable expressed by PR: e.g. “(Who wants to go to the cinema?) - Il y a Beth qui veut y aller, il y a Jean-Marc, il y a moi. ” (the variable X, X wants to go to the cinema, a value = Beth).
After reviewing some previous analyzes of il y a CC, we have argued that the two subgroups of il y a CC, SG1 and SG2, do not have the same syntactic structure, a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Gs resembles that which is observed between il y a existential sentences (PE) and il y a locative sentences (PL). For the SG1, il y a takes as its only complement a proposition composed of an SN and a PR, while for the SG2, il y a takes two complements: an SN and a PR. And il y a takes a single complement in PE, and two complements in PL. It therefore seems plausible to assume that the SG1 and the SG2 are in fact the expansion of the two sentence types, PE and PL, respectively.
In this work, we also looked at how the il y a CC is translated into Korean. It has been shown that it can be expressed consistently, in Korean, as a single sentence with the subject marker “~ ka”, which marks the focus of the sentence as well.
‘il y a SN qui/que...’에 포함되어 있는 qui... 부분이 일반적인 관계절인지 아니면 이른바 유사관계절 PR인지에 따라 그 형태는 두 유형으로 구별된다. 첫 유형은 내포문이 관계절인 경우로서 il y a 존재문으로 불리며 두 번째 유형은 내포문이 PR인 경우로서 흔히 il y a 분열문으로 불린다. 의미적 관점에서 il y a 존재문에는 ‘존재적 용법’과 ‘위치기술적 용법’이라는 구별되는 하위유형이 포함되어 있다. il y a 분열문에도 두 가지 구별되는 성격의 유형이 포함되어 있다. 두 하위유형은 문장구조와 정보구조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본고에서는 그 두 하위유형인 사건보고형 분열문과 초점-배경형 분열문이 각각 il y a 존재문의 두 하위유형인 존재적 용법과 위치기술적 용법과 문장구조와 정보구조에서 유사성을 보인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로의 번역 방식을 검토하며 il y a 분열문의 구어적 성격을 확인하였고, 또한 il y a의 존재적 용법과의 혼동에서 비롯되는 미세한 번역상의 오류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Lambrecht(2002:51)는 il y a 분열문의 분열요소 SN이 주절에서 il y a의 보어로서 초점의 기능을 가지고, 동시에 종속절의 주어로서 화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동일한 절 안에 새로운 지시체를 도입하고 동시에 그것에 대하여 서술하지 말라’는 이른바 ‘지시체와 관계의 분리 원칙’(Principe de la Separation entre Référence et Relation, PSRR)을 위반하지 않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하나의 문장 안에서 동일한 요소가 초점이면서 동시에 화제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은 두 개의 정보구조를 전제하는 것으로 그 문장 전체의 정보구조는 그 만큼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많은 학자들이 일치된 견해로 주장하듯이 il y a 분열문이 단일 명제를 나타낸다면, 어떻게 그 두 개의 정보구조가 합쳐져서 그러한 결과에 이르게 되는지 명확히 설명하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사건보고형 분열문에서는 PR 전체가 초점이고, 초점-배경형 분열문에서는 SN만이 초점이라는 보다 명확한 주장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주장에서도 il y a 분열문들은 PSRR을 위반하지 않으며, 본고의 설명에서는 분열요소의 이중적 역할을 강조할 필요도 없다는 이점이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1 | 0.21 | 0.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1 | 0.2 | 0.404 | 0.1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