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 : 디지털 역사학과 공공역사의 적용과 전망 = New Horizons in Korean History Separatio n: Digital History and Public Engagement
저자
윤혜민 (건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7-158(42쪽)
제공처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의 융합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은 세계적 수준의 정보통신기술 강국으로, 디지털 정보기술의 발전이 한국사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지털화된 역사자료를 대규모로 양산해 냄으로써, 이제는 이를 어떻게 처리하고 활용할 것인지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것이 ‘디지털 역사학(Digital History)’이다. 아울러 방대하게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가 대중적 확산을 이루면서, ‘공공역사(Public History)’의 발전을 가져왔다.
디지털 역사학은 디지털 역사자료가 한 개인이나 소수의 집단이 처리할 수 있는 양을 넘어서자, 서로 다른 영역의 학자들이 협력하고 새로운 대화 공간을 탐색한 결과로써 나타난 것이다. 공공역사는 디지털 역사자료가 접근성의 제한 없이 개방되어 역사의 대중적 확산에 기여함으로써, 광범위한 대중이 능동적으로 역사를 소비·생산하는 주체로서 변화하며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 연구의 새로운 추세에 따라 디지털 역사학과 공공역사 분야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그 연구의 흐름을 진단한 후, 이를 토대로 디지털 역사자료의 다양한 활용을 위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의 모색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이는 한국사를 더욱 풍요롭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새로운 인문학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haracterized by the converg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Korea has become a world-class ICT powerhouse,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Korean history. With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questions regarding their processing and utilization have emerged. In this context, Digital History has emerged. Furthermore, the widespread availability of digital historical materials has fostered the development of Public History. Digital History emerged as scholars from various fields collaborated and explored new spaces for dialog, as the volume of digital historical data surpassed the capacity of an individual or small group to manage. Public History has emerged as digital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made accessible without restrictions, facilitating the dissemination of history and transforming the broader public into active consumers and producers of history. Accordingly, this study reviews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s of digital and public history, examines research trends, and highlights the need to explore new methodologies for the diverse utilization of digital historical materials in line with evolving trends in Korean history research. It is anticipated that these efforts will not only enrich Korean history but also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new humaniti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