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핑크노이즈 믹싱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 : 음악 제작 분야 실용음악 전공자를 중심으로 =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Pink Noise Mixing Education: Focusing on Music Production Majors in Contemporary Popular Music
저자
임승규 (상명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33(9쪽)
제공처
본 연구는 뮤직프로덕션 분야 실용음악 전공자를 대상으로, 핑크노이즈 믹싱 기법의 교육적 필요성과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믹싱 능력은 현대 음악 제작에서 작곡가에게도 필수적인 역량으로 요구되지만 학생들은 체계적인 기준 없이 주관적인 청감이나 시각적 정보에 의존하여 작업하는 경향이 있어 비효율적인 믹스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1명의 실용음악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동일한 멀티트랙 기반의 믹싱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사전 믹스 후 핑크노이즈 믹싱 교육을 실시하고, 사후 믹스를 수집하여 정량적·정성적으로 변화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항목은 Gain Balance와 Tonal Balance를 중심으로 설정되었다. 그 결과, 사후 믹스에서는 전체 21명 중 17명의 믹스가 –6.5dBFS 내외의 안정적인 헤드룸을 확보하였고, 21명 전체 믹스의 게인 밸런스의 편차 평균이 11.4 LUFS에서 6.5 LUFS 이하로 개선되었다. 토날 밸런스의 경우, 사전 믹스에서는 단 4개의 믹스만이 상업 트랙 기준 범위에 부합했던 반면, 사후 믹스에서는 19명의 믹스가 레퍼런스 트랙의 주파수 분포 범위 안에 수렴하였다. 이는 핑크노이즈 믹싱 기법이 믹싱의 핵심 요소인 게인 밸런스와 토날 밸런스를 개선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했음을 입증한다. 또한, 학생 대부분이 열악한 모니터링 장비와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하고 있었음에도 불구, 핑크노이즈 믹싱은 실용적인 청각 기준점으로 기능하여 교육적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핑크노이즈 믹싱은 뮤직프로덕션 분야 실용음악 전공 학생에게 올바른 레벨 관리 기준 제시, 적절한 악기 밸런스의 체득, 불완전한 믹싱 환경의 실용적 대안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그 필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핑크노이즈 믹싱이 실용음악 교육 현장에서 믹싱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이고 직관적인 대안으로서 기능하기를 바란다.
더보기This study investigates the educational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pink noise mixing for students majoring in music production within contemporary popular music programs. As mixing has become an essential skill for modern music creators, the ability to manage gain and tonal balance is critical to achieving high quality results. However, students often rely on subjective hearing or visual cues without a clear standard, leading to inconsistent mixes. To address this, 21 students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using a common multitrack project. After submitting pre-mixes, they received training in pink noise mixing and submitted post-mixes. Analysis focused on gain balance and tonal balance using LUFS-S values and iZotope’s Tonal Balance Control 2. Following the training, 17 students secured stable headroom near –6.5 dBFS, and the average gain deviation improved from 11.4 LUFS to 6.5 LUFS. In tonal balance, 19 of 21 post-mixes aligned with the reference track’s frequency distribution, compared to only 4 pre mixes. Despite working in acoustically limited environments with entry level equipment, students reported improved judgment using pink noise as an auditory reference. The study concludes that pink noise mixing serves as a practical and intuitive tool for teaching level management, instrument balance, and critical listening in real world educational setting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