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RISS 인기논문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병존 언어 교수를 활용한 실행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외국인 유학생이 전공 관련 분야에서 학문적인 성취를 이루도록 돕는 것이다. 이는 2000년대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된 전공과목 관련 한국어 교육이라는 학습자의 요구와 직결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실증적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검증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S대학의 경영학 전공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수업 실행과 평가 과정을 거쳐 그 효용성을 검증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제안은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을 활용한 것으로, 언어 교수자가 내용 교수자로부터 강의계획서를 제공받는 최소한의 협력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단계별로 나누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첫 단계는 요구조사이다. 2019학년도 2학기 S대학 경영학 전공 신입생 17명을 대상으로 전공 한국어에 대한 학습자 요구조사 및 상황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들을 위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은 학문목적 기능별 기초 한국어 교육과정과 세부 전공 한국어 교육과정을 통합시킨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학문목적 읽기’를 기반으로 하는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방식을 적용하고 언어 수업 후 전공 내용 수업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는 교육과정 설계 단계로, 먼저 학습자의 요구조사 및 상황분석 결과와 내용 중심 교수 및 읽기 교육과정의 원리를 반영하여 교수요목의 내용 범주를 마련하였다. 설계된 교수요목은 주제·내용 교수요목을 기반으로 하며 읽기 전략 중심의 기술 교수요목과 과제 중심 교수 교수요목이 접목된 통합 교수요목으로 어휘와 문법 교수요목이 추가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내용 과목인 ‘경영학원론’의 강의계획서를 검토하여 각 교수요목 범주의 목표를 설정하고 어휘, 문법, 읽기 전략 관련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어휘 및 문법 등의 교육 내용 선정은 전공 텍스트를 말뭉치로 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어휘는 전공 용어를 설명하고 있는 어휘 중 동사와 명사로 활용 가능한 한자어를 ‘교육용 핵심 어휘’로 보고 전공 텍스트에서의 빈도, 교육용 어휘 목록의 중복도, 한자어 어근의 유추 가능성(학습의 용이성), 조어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문법은 학습자들이 전공 텍스트를 이해하고 학문 공동체에서 요구되는 표현을 함양해야 한다는 점에서 텍스트 관계 표지 중 문법 요소 관련 표지를 분석하여 선정하였다. 읽기 전략은 선행 연구와 학문목적 읽기 교재의 읽기 전략을 분석한 후 ‘사실적 이해’와 ‘추론적 이해’와 관련된 읽기 전략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교육과정은 학문목적 기능별 기초 한국어 교육과정과 세부 전공 한국어 교육과정이 통합된 형태이므로 중간고사를 기준으로 교육과정을 2단계로 나누고 중간고사 이전에는 개별 읽기 전략의 학습 및 연습에, 중간고사 이후에는 선수 학습한 개별 읽기 전략을 통합적으로 연습하는 것에 비중을 두어 교육 자료 및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세 번째는 교육과정 실행 단계이다. 2020학년도 2학기 신입생 22명을 대상으로 총 8주 동안 각 4주씩 최초 설계한 교육과정과 수정된 교육과정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각 교육과정이 끝난 후에는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행하여 후속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모든 교육과정이 종료된 후 교육과정 최종안을 마련하였다.
    병존 언어 교수를 활용한 특수 학문목적 교육과정의 평가 단계에서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병존 언어 교수를 활용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이 ‘전공 지식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인식하였다. 중간고사 이후 실행된 수정된 교육과정에서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교육과정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곧 전공과목에 대한 흥미 촉진 및 불안감 감소로 이어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수업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도 ‘병존 언어 교수 효과’에 대해 20명(95%)의 학생이 ‘매우 만족’과 ‘만족’으로 응답하여 높은 만족감을 드러냈다.
    둘째, 병존 언어 교수를 활용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이 ‘한국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육과정 전·후에 실시한 사전·사후 한국어 숙달도 평가를 통해 본 연구의 교육과정이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실력 향상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육 내용으로 선정한 ‘교육용 핵심 어휘’, ‘텍스트 관계 표지(문법)’, ‘읽기 전략’, ‘협력 읽기 활동’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 및 활동으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학습자들은 과제에 대해서도 높은 만족감을 드러냈다. 각 과별로 기초어휘, 학술 기본어휘, 전공 기본어휘로 구분되어 관련어 정보가 같이 제시되는 ‘새 어휘 예습 과제’와 ‘협력 읽기 활동을 위한 예습 과제’는 학습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다섯째, 전공 텍스트를 한국어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것의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총 19명의 학생, 즉 90%가 학습 자료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이 자료 개발 방법은 언어 교수자에게도 긍정적으로 인식되었다. 그 이유는 전공 텍스트를 말뭉치로 구성하여 내용을 선택하고 자료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여섯째, 특수 학문목적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는 ‘어휘’, ‘전공 기초 지식’, ‘읽기’로 일관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읽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수정된 교육과정 평가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수업 목표 달성의 측면에서 약 19%(4명)의 학생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초 실행된 교육과정과 수정된 교육과정 평가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한 학생의 비율은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를 통해 언어 숙달도가 낮을수록 전공과목과 더불어 전공 한국어 수업을 부담스러운 과목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으며, 학습자의 학업 적응에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덟째, 학습자들은 전공 한국어 수업 중 전공 기초 지식, 읽기, 어휘를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어휘와 문법은 어려움의 인식 정도가 감소한 반면 읽기, 말하기, 듣기, 쓰기, 전공 기초 지식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 정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수업 만족도 측면에서 대면 수업(교실)과 비대면 수업(Zoom)은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면 수업(교실)에 대해서는 19명(90%)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비대면 수업(Zoom)에 대해서는 15명(72%)이 만족한다고 응답하는 데에 그쳤다. 본 연구 결과가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 시사하는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은 일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과 달리 전공과목과 관련된 ‘특수성’에 초점을 맞출 때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특수성’은 특정한 분야, 학습자의 특정 요구와 관련되는 것으로 ‘전공 계열 과목’보다는 ‘특정 전공과목’이, 주제 중심 교수’보다는 ‘병존 언어 교수’가 더 바람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본 연구에서는 내용교수자의 강의계획서에 따라 한국어 수업을 진행하는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방식을 설계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은 교육 현장에 실제 적용 가능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교육 현장의 한계로 인해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이 변형되어 적용되었지만 대부분의 학습자가 그 효용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읽기’ 기반으로 병존 언어 교수 활용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은 효과적이다. ‘읽기’ 기반의 교육과정은 내용-언어 교수자 간에 ‘강의계획서’ 공유라는 최소한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므로 교육 현장에서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학습자의 요구가 높은 ‘전공 기본어휘’, ‘전공 기초 지식’을 언어 수업 내용으로 다룰 수 있다. ‘읽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수정된 교육과정 평가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난 것은 학습자들이 ‘읽기’ 기반 수업이 ‘어휘’와 ‘전공 기초 지식 습득’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인식한 것으로, 그 효용성을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넷째, 언어 학습의 측면과 교육과정 개발의 측면에서 전공 텍스트를 말뭉치로 구성하여 언어 교수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것은 유용하다. 학습자들이 교육 자료에 높은 만족도를 드러냈고, 적극적인 과제 수행을 보인 점에서 전공 텍스트 말뭉치 구성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용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교수자도 적극적으로 전공 텍스트 말뭉치를 활용해 교육 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한국어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수업이 학습 부담감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교육과정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2단계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구성하고 어휘를 반복하여 제시하였다. 그러나 약 20%의 학생이 수업 목표 달성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지 않았으며, 최초 실행된 교육과정과 수정된 교육과정 평가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한 학생의 비율은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특수 학문목적 교육과정 설계 시 학습자의 언어 숙달도를 더욱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병존 언어 교수가 특수 학문목적 언어 교육과정에 가장 이상적인 모형이나 언어 교수자와 내용 교수자의 협력이라는 한계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최소한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교육 현장에서 실행하기 위해 언어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따라 계획,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쳤다.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모형을 기반으로 설계하고, 그 설계 절차를 구체적으로 밝혔으며 평가의 과정을 통해 효용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The ultimate goal of teach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s to help foreign students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their major fields of study. The goal is closely linked to Korean learners’ needs or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their major, which has consistently been raised since the early 2000s. To meet these needs, the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onducted in Korean should be empirically studied and verified using various methods. In this study, I developed a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onducted in Korean for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business administration at S University, Seoul. I verified the curriculum’s effectiveness through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course to propose a direction for developing curriculum in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that can be used in the classroom. The suggestions made in this study apply a modified Adjunct Language Instruction (ALI) model that assumes minimal cooperation and where the language instructor receives a syllabus from the content instruct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Needs Analysis: I conducted a survey and situation analysis for 17 first-year students majoring in business administration at S University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9 on the learners’ need for the Korean language for their major. The results indicated it would be most desirable to integrate the courses by func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as concentrations under the major. More specifically, it was found appropriate to apply a modified Adjunct Language Instruction (ALI) method, based on “reading for academic purposes,” and to organize major subject classes after language classes.
    Curriculum Design: I then established the categories of syllabus contents that reflect the result of the learners’ needs survey and situation analysis and the principles of the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and reading curriculum. The designed syllabus integrates the reading strategy-oriented technical syllabus and the task-oriented syllabus based on the subject and content syllabus, with the addition of the vocabulary and grammar syllabus. Next, I reviewed the syllabus of “Principl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to set goals for each syllabus category and select the content for teaching vocabulary, grammar, and reading strategies. For the educational content under vocabulary and grammar, I built a corpus from the texts in the major field and utilized it. For vocabulary, Chinese characters that can be used as verbs and nouns, were selected as “keywords for education,” among terms used in the major. The frequency of these terms in the major’s text, the overlap of the educational vocabulary, the possibility of inference of Chinese roots (ease of learning), and word formation ability wer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process. For grammar, grammatical element-related markers, were analyzed for selection from the text-structure markers, considering that grammar education should aid students’ comprehension of texts in the major and learn expressions required in the academic community. For reading strategies, I analyzed existing studies and the suggested strategies in textbooks relating to reading for academic purposes, selecting appropriate strategies primarily related to “literal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Finally, the curriculum developed in this study integrates the courses by func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as concentrations.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wo parts by the midterm; the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ing/learning model were developed focusing on the learning and practice of individual reading strategies before the midterm, and on the comprehensive practice of individual strategies after the midterm.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final process involved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his was divided into the first draft and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for a total of 8 weeks for 22 freshmen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2020 academic year. After the first draft curriculum was implemented, I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to reflect the findings in the follow-up curriculum. After all curriculum were completed, a final draft of the curriculum was prepared.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applying the ALI mode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stated that the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onducted in Korean applying the ALI mode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cquiring knowledge of the major.”Regarding the modified curriculum which was implemented after the midterm, more students reported a positive influence, citing the effect of sparking interest in and easing anxiety about major subjects.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also indicated positive results about the “Adjunct Language Instruction (ALI) effect”; 20 students, or 95%, said they were “very satisfied” or “satisfied,” implying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curriculum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Korean language competence.” The ex-ante and ex-post Korean proficiency test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confirmed that i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respondents’ Korean reading skills.
    Third, “Key Vocabulary for Education,” “Text-structure Markers (Grammar),” “Reading Strategies,” and “Collaborative Reading Activities,” selected as educational content,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for the curriculum developed in this study.
    Fourth, The “New Vocabulary Preview”(are presented with related language informations **which are divided into basic vocabulary, basic academic vocabulary, and specialized vocabulary for each chapter) and “Preview for Collaborative Reading Activities” can be a burden to students. Nevertheless it was observed that respondents perceived them positivel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and assignments.
    Fifth, the use of textual material from the majo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ved to be helpful. In total, 19 students, or 90%, reported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materials; the material was also perceived positively by the instructors, as a corpus was built from the textual material from the major and used to select the contents and develop course material.
    Sixth, the learners’ needs for a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were consistently represented as a needs for “vocabulary,” “basic knowledge of the major,” and “reading.” However, the level of perception regarding the need for “reading” was considerably higher in the assessment of the modified curriculum.
    Seventh, it was found that four students, or about 19%, did not view the curriculum positively with regard to achieving class goals. There was little change in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negatively perceived the first draft curriculum and the modified curriculum assessment. This indicates the lower the language proficiency of the student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perceive the major class and major subjects being in Korean as burdensome, which may negatively affect their academic adjustment.
    Eighth, the learners were observed to have difficulties with basic knowledge, reading, and vocabulary in major classes conducted in Korean. As the curriculum proceeded, the perceived difficulty regarding vocabulary and grammar decreased, while the perceived difficulty regarding reading, speaking, listening, writing, and basic knowledge of the major increased.
    Ninth, for class satisfaction, face-to-face classes (classroom) and online classes (Zoo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face-to-face classes (classroom), 19 students, or 90%, provided a positive evaluation, while for online classes (Zoom), only 15 students, or 72%, reported that they were satisfi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curriculum in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in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an be effective when focused on “specificity” related to major subjects, unlike the curriculum in Korean for general academic purposes. This “specificity” is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areas or needs of learners, implying that the “specific subject of the major” can become more desirable than the “subjects related to the major” and “Adjunct Language Instruction (ALI)” more desirable than “Theme-Based Instruction.” From this perspective, I developed a modified ALI model where Korean classe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syllabus of the content instructors.
    Second, the modified ALI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Korean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which can be applied in the classroom. Although the ALI model was modifi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education environment, a majority of the students reported positively regarding its effectiveness.
    Third, it is effective to design a curriculum in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that applies the ALI model centered around “reading.” Based on the minimal cooperation between the content and language instructors regarding sharing a “syllabus,” this curriculum can be highly feasible in the classroom situation and can cover “basic vocabulary of the major” and “basic knowledge of the major,” which is the principal needs of learners. The fact that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the need for “reading” was considerably higher in the assessment of the revised curriculum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learners perceiving the effectiveness of “reading-based classes” for acquiring “vocabulary” and “basic knowledge of the major.”
    Fourth, it is useful to organize the textual materials from the major into a corpus and use them as basic materials for teaching language in terms of learning the language and curriculum development. The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materials and active task engagement, which implies the usefulness of constructing this corpus. Additionally, since it is practical for the instructor to organize the textual materials into a corpus and use it as basic materials,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for major classes in Korean based on this corpus is recommended.
    Fifth, for learners with a low proficiency in Korean, the special academic Korean classes may increase the burden of learning; hence, it is necessary to design a curriculum taking this aspect into account. In this study,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wo stages keeping these points in mind. It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stages and the same level of vocabulary was repeatedly presented. However, about 20% of the students did not respond positively to the achievement of class objectives and the proportion of those who answered negatively showed almost no change in the assessment of the curriculum that was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and the revised one. This suggests that the leaner’s language proficienc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more carefully when designing a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for special academic purposes.
    In this study, I proposed a modified ALI model based on the minimal cooperation between the language instructor and content instructor,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ALI model has not been actively used due to the limitation in cooperation between language and content instructors, despite it being an ideal model for a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designed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Additionally, we set the language education categories for implementation in the classroom by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develop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general process of developing a language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was designed based on the most realistic model that can be applied in the classroom, the design procedure was identified in detail, and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through the evalu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