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프랑스 사례를 통해 본 이주민 방송 연구 = Étude des programmes télévisés sur les migrants en France
저자
임재일 (경기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5-196(22쪽)
제공처
파실드(FASILD, 1958-2006)는 원래 알제리 이주노동자와 이들의 가족을 위한이주민 센터였다. 이 기관은 이주노동자가 프랑스에 정착하는 과정을 도왔는데, 이후주거환경, 일자리 제공, 언어교육, 인권개선 등 다양한 사업을 펼친다. 1970년대 중반 북아프리카 등 비유럽 출신의 이주민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이들에 대한 직간접적 차별이 발생한다. 이런 상황에서 파실드는 방송 프로그램 제작 지원을 통해 프랑스인들이 이주민의 삶을 이해하고 사회적 관심을 이끌어내어 이방인에 대한 선입견을개선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모자이크>(1977-1987), <사가 시테>(1991-2002), <아름다운 인생 Plus belle la vie>(2004-2022)은 10년 이상 진행된 프로그램이다. 초창기 이주민 1세대를 대상으로 프랑스 사회에 대한 적응과 고국에 대한 향수를 달래는 것에서 출발하여, 이주민 2세대, 실업자, 장애인, 방리유의 문제 등 소외계층과 지역으로 확대한다. 더불어 프로그램의 성격도 버라이어티 성격의 리얼리티 방송에서 벗어나 다큐멘터리, 드라마 등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하여 이주민의 삶과 이미지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주민을 모티브로 한 <아름다운 인생>은 최근 일일 드라마의 열풍을 만들 만큼 많은 인기를 얻기도 하였다. 프랑스는 현재 이주민에 국한하지 않고 지리적,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어려움에 처한 이들을 대상으로 확대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소외계층의 문제를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 전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있는 상황에서 방송 쿼터제 등 프랑스가 추진하는 이주민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Le FASILD, le Fond d’Action et de Soutien pour l’Intégration des Travailleurs Migrants(1958-2006), était à l’origine un centre destinés aux travailleurs migrants algériens et leurs familles. Cette organisation aidait les migrants à s’établir en France. Par la suite, elle a élargi ses activités en se concentrant sur divers domaines, tels que le logement, l’emploi, l’apprentissage linguistique, le respect des droits humains, etc.
Au milieu des années 1970, avec l’augmentation rapide du nombre de migrants provenant d’Afrique du Nord et d’autres régions non européennes, des discriminations directes et indirectes envers ces migrants ont commencé à se manifester. Dans ce contexte, le FASILD a soutenu la production de programmes de télévision dans le but de sensibiliser les Français à la vie des migrants, et susciter ainsi un intérêt social pour prévenir les préjugés envers les étrangers.
Les programmes télévisuels «Mosaïque»(1977-1987), «Saga-Cités»(1991-2002) ou «Plus belle la vie»(2004-2022) ont été diffusés pendant plus de 10 ans. Leur objectif initial était de soutenir la première génération de migrants en les aidant à s’adapter à la société française et en apaisant leur nostalgie de leur pays d’origine. Par la suite, ces programmes ont élargi leur portée pour inclure la seconde génération de migrants, les chômeurs, les personnes handicapées et les habitants des banlieues, ainsi que d’autres groupes marginalisés ou des identités régionales. De plus, la nature de ce type d’émissions a évolué, ne se limitant plus uniquement à des émissions de télé-réalité de type variétés, mais incluant également des documentaires ou adoptant le format de séries dramatiques pour répondre aux changements de la société et améliorer la vie et l'image des migrants. «Plus belle la vie», une série inspirée notamment par la vie des migrants, a même connu récemment un grand succès, créant une véritable vague de séries quotidiennes populaires. Aujourd'hui, en France, on ne se limite plus à aborder les problèmes des seuls migrants mais on fait le choix d’élargir les champs d’action afin de permettre l’inclusion de toutes les personnes confrontées à des difficultés géographiques, économiques, sociales et environnementales, dans le but de résoudre les problèmes des populations marginalisées à l’échelle nationale. Dans le contexte actuel, alors que la société sud-coréenne devient rapidement multiculturelle, il est important de prêter attention aux différentes initiatives que la France met en place pour soutenir les migrants, tel le système de quotas à la télévis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